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22

1. 연구 추진 배경 및 목적 23

2. 연구 방법 25

3. 연구 내용 26

제2장 미국 출판산업 현황 27

1. 미국 출판시장 규모 및 현황 28

1) 개요 28

2) 분야별 출판산업 규모 34

⑴ 소비자 도서(Consumer Book) 36

⑵ 교육 도서(Education Book) 40

⑶ 전문 도서(Professional Book) 43

3) 주요 출판사 현황 및 분석 45

⑴ 베텔스만 유럽주식합자회사(Bertelsmann SE & Co. KGaA) 45

⑵ 피어슨 PLC(Pearson PLC) 46

⑶ 하퍼콜린스 LLC(Harpercollins Publishers LLC) 47

⑷ 사이몬&슈스터(Simon & Schuster INC.) 48

4) 독서 현황 48

⑴ 독서율 현황 48

⑵ 독서 포맷 분석 52

⑶ 독서 시간 분석 54

⑷ 도서관 주요 현황 56

5) 작가 현황 63

2. 미국 전자책 시장 규모 및 현황 66

1) 개요 66

2) 전자책 시장의 주요 요인 67

3) 전자책 시장의 현황과 전망 69

⑴ 전자책 시장의 현황 69

⑵ 전자책 시장의 전망 73

4) 전자책 상품과 시장 분석 76

⑴ 전자책 분야별 매출 분석 76

⑵ 전자책 주요 유통시장 분석 78

5) 주요 전자책 사업자 현황 81

⑴ 펭귄랜덤하우스 오디오(Penguin Random House AUDIO) 82

⑵ 아마존(Amazon) 83

⑶ 아셰트 출판사(Hachette Book Group) 85

⑷ 하퍼콜린스(Harpercollins Publishers LLC) 86

⑸ 맥밀란 출판사(Macmillan Publishers LTD) 87

⑹ 사이먼&슈스터(Simon&Schuster) 87

3. 오디오북 시장 규모 및 현황 89

1) 개요 89

2) 오디오북 시장의 주요 요인 91

3) 오디오북 시장 실적 및 전망 93

⑴ 오디오북 시장의 현황 93

⑵ 오디오북 시장의 전망 96

4) 오디오북 상품과 소비자 분석 98

⑴ 상품과 서비스 구분 98

⑵ 소비자 분석 100

⑶ 오디오북 설문 조사 101

5) 주요 오디오북 사업자 현황 108

⑴ 오더블(Audible) 109

⑵ 펭귄랜덤하우스 오디오(Penguin Random House AUDIO) 111

⑶ 블랙스톤 오디오(Blackstone AUDIO) 112

⑷ 하퍼콜린스(Harper Collins Publishers LLC) 112

⑸ 샤이먼 & 슈스터(Simon & Schuster INC) 113

4. 미국 서점시장 규모 및 현황 114

1) 개요 114

2) 서점 시장의 주요 요인 115

3) 서점 시장의 현황과 전망 117

⑴ 서점 시장의 현황 117

⑵ 서점 시장의 전망 120

4) 서점 상품과 소비자 분석 123

⑴ 상품과 서비스 구분 123

⑵ 소비자 분석 125

5) 주요 서점 사업자 현황 127

⑴ 반스앤노블(Barnes & Noble Inc.) 130

⑵ 반스앤노블 교육(Barnes & Noble Education Inc.) 131

⑶ 풀렛 고등 교육 그룹(Follett Higher Education Group Inc.) 133

⑷ 아마존 북스(Amazon Books) 135

⑸ 북스 어 밀리언(Books A Million) 135

⑹ 파웰 북스(Powell's Books) 136

5. 미국 교육시장 규모 및 현황 137

1) 개요 137

2) 교육 시장의 주요 요인 138

3) 교육 시장의 현황과 전망 140

⑴ 교육 시장의 현황 140

⑵ 교육 시장의 전망 144

4) 상품과 소비자 분석 145

⑴ 상품과 서비스 구분 145

⑵ 소비자 분석 148

5) 주요 교육 사업자 현황 151

⑴ 뉴욕 교육국(New York City Department of Education) 151

⑵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154

⑶ 캘리포니아 커뮤니티 칼리지(California Community Colleges) 156

⑷ 아폴로 교육 그룹(Apollo Education Group Inc) 158

제3장 미국 출판정책 및 제도 160

1. 미국 출판산업의 역사 161

1) 종이책 출판 162

2) 디지털 출판 164

3) 미국 출판산업 분류 168

2. 미국 출판정책 환경 170

1)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 170

2) 저작권 수출에 대한 지원 173

3) 민간단체 지원 174

⑴ 미국출판협회(Association of American Publishers, AAP) 174

⑵ 미국출판마케팅협회(Publishers Marketing Association, PMA) 175

⑶ 미국서점협회(American Booksellers Association, ABA) 176

⑷ 교육출판 177

⑸ 일반출판 178

3. 미국 출판 관련 현행법과 제도 180

1) 미국의 저작권법 180

2) 미국의 출판 관련 저작권법 182

⑴ 저작권의 보호대상(Chapter 1. Subject Matter and Scope of Copyright Section 102-105) 182

⑵ 저작물에 대한 배타적 권리(Chapter 1. Subject Matter and Scope of Copyright Section 106-109) 183

⑶ 저작권 소유 및 이전(Chapter 2. Copyright Ownership and Transfer Section 201-205) 183

⑷ 저작권의 존속기간(Chapter 3. Duration of Copyright Section 301-305) 184

⑸ 저작권의 침해와 구제(Chapter 5. Copyright Infringement and Remedies Section 501-505) 185

⑹ 디지털 오디오 녹음장치와 매체(Chapter 10. Digital Audio Recording Devices and Media Section 1001-1010) 186

3) 미국의 출판계약 187

⑴ 이용허락제도의 역사 189

⑵ 배타적 이용허락제도 191

⑶ 배타적 이용허락에 대한 종결권 제도 192

⑷ 미국 저작권법상 출판자의 위상 194

4) 미국의 도서가격제도 195

5) 출판유통과 표준화 200

⑴ 코로나19 이후 출판유통의 환경 변화 200

⑵ 출판유통구조 및 현황 202

⑶ 출판유통 표준화와 도서분류 체계 206

⑷ 납본제도 220

⑸ 미국 디지털 교과서 정책 222

6) 출판 관련 저작권기관 224

⑴ 저작권 사무소(The Copyright Office) 225

⑵ 저작권처리센터(Copyright Clearance Center) 226

⑶ 신탁관리단체 및 기타 228

4. 출판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지원 230

1) 문화예술 지원정책 230

⑴ 문학 출판 프로젝트 231

⑵ 독자 및 전문 개발 프로젝트 232

⑶ NEA Literature Fellowships 233

⑷ NEA Big Read 235

⑸ 시 낭송(POETRY OUT LOUD) 239

⑹ 전국 도서 축제(National Book Festival) 240

⑺ 비영리 출판사 지원 240

⑻ 코로나19 관련 지원정책 240

2) 독서진흥정책 242

제4장 미국 출판산업의 분야별 주요 기관 및 현황 251

1. 생산 영역의 주요 기관 및 현황 253

1) 작가 관련 단체 현황 253

⑴ 작가조합(Authors Guild) 253

⑵ 아동도서 작가 삽화가 협회(Society of Children's Book Writers and Illustrators) 262

⑶ 아시아계 미국인 작가 워크숍(Asian American Writers' Workshop) 262

⑷ 미국 문학 번역가 협회(The American Literary Translators Association, ALTA) 264

⑸ 펜 아메리카(PEN America) 266

⑹ 저작권 사무소(US Copyright Office) 270

2) 출판 관련 단체 현황 271

⑴ 미국출판협회(Association of American Publishers, AAP) 271

⑵ 독립도서 출판사 협회(Independent Book Publishers Association, IBPA) 274

⑶ 오디오 출판사 협회(Audio Publishers Association, APA) 275

2. 수요 영역의 주요 기관 및 현황 277

1) 공립 도서관(Public Libraries) 278

⑴ 연방 도서관 및 서고(Federal Libraries and Archives) 278

2) 미국 도서관 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 281

3) 공립 도서관 협회(Public Library Association, PLA) 289

4) 미국 학교 사서 협회(The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ASL) 291

5) 인터넷 아카이브(Internet Archive)의 열린 도서관(Open Library) 291

3. 유통 영역의 주요 기관 및 현황 294

1) 미국서점협회(The American Booksellers Association, ABA) 295

2) 출판광고마케팅협회(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AMA) 299

4. 출판 관련 교육기관 300

1) 컬럼비아 대학교 저널리즘 스쿨(Columbia Journalism School)의 출판 과정(The Columbia Publishing Course) 300

2)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 NYU)의 출판센터(Center for Publishing) 300

3) 뉴욕 시립대학교(City College of New York, CCNY)의 출판 자격증 과정 301

제5장 미국 출판문화 생태계 조성 및 사례 302

1. 미국 독서문화 진흥현황 및 사례 303

1) 미국 도서관 협회(ALA)의 프로그램 303

⑴ 장학금 303

⑵ 보조금 & 펠로우십 305

⑶ 여름 독서 프로그램(Summer Reading Program) 310

⑷ 아웃리치(Outreach) 프로그램 311

⑸ 북모빌(Bookmobiles) 312

2) 북클럽(BookClubs) 312

3) 독립서점의 부활 314

2. 팬데믹(COVID-19) 대응 사례 316

1) 출판사 316

⑴ 팬데믹으로 인한 계약 연장 316

⑵ 소셜 미디어 마케팅 317

⑶ 출판업계와의 협력 317

2) 도서관 318

⑴ 디지털 도서관 사용 318

⑵ 도서관용 Covid 대응 콜렉션(OverDrive's COVID Response Collections for libraries) 324

⑶ 테이크 홈 키트(Take-Home Storytime Kits) 325

⑷ 도서관의 부재자 우편 투표 지원 325

3) 도매 및 배급사 326

4) 서점의 코로나19 실태와 서점협회 326

⑴ 반스앤노블(Barns & Nobles) 326

⑵ 스트랜드 북스토어(Strand Book Store) 326

⑶ 파웰스 북스(Powell's Books) 327

⑷ 미국서점협회(American Booksellers Association, ABA) 327

5) 펜 아메리카 작가 긴급 기금(PEN America Writers' Emergency Fund) 330

6) 북샵의 독립서점 지원(Bookshop.org) 330

7) Books are Essential 캠페인 332

3. 도서 관련 주요 문학상 및 축제 현황 333

1) 주요 문학상 333

⑴ 퓰리처상(Pulitzer Prize) 333

⑵ 의회도서관의 미국 소설상(Library of Congress Fiction Prizes) 333

⑶ 전미 도서 상(National Book Awards) 334

⑷ 최우수 픽션/논픽션 앤드류 카네기 메달(Andrew Carnegie Medals for Excellence in Fiction and Non-fiction) 335

⑸ 미국 도서관협회의 문학상(ALA Awards) 335

⑹/⑺ 전국 도서 비평가 연합상(National Book Critics Circle Awards) 338

⑺/⑻ PEN 아메리카 문학상(PEN America Literary Awards) 339

⑻/⑼ SF & 판타지 문학상 342

⑼/⑽ 미스터리 & 스릴러 문학상 343

⑽/⑾ 최우수 번역 도서상(Best Translated Book Awards) 344

⑾/⑿ 미국 문학 번역가 협회상(The American Literary Translators Association) 344

⑿/⒀ 굿리즈 초이스 어워즈(Goodreads Choice Awards) 345

⒀/⒁ 아동도서와 일러스트레이터 협회상(SCBWI Awards & Grants) 345

2) 주요 페스티벌 349

⑴ 북콘(BookCon) 349

⑵ 북엑스포 아메리카(BookExpo America, BEA) 349

⑶ 뉴욕 저작권 박람회(New York Rights Fair) 349

⑷ 브루클린 북 페스티벌(Brooklyn Book Festival) 350

⑸ 샌디에이고 코믹콘(San Diego Comic-Con, SDCC) 350

⑹ 뉴욕 코믹콘(New York Comic Con) 351

⑺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도서 축제(Los Angeles Times Festival Of Books) 351

⑻ 마이애미 도서전(Miami Book Fair International) 352

⑼ PEN 월드 보이스(PEN World Voices) 352

⑽ PEN 아메리카 문예 갈라(PEN America Litical Gala) 353

⑾ PEN 아메리카 문학 갈라 및 리트페스트 353

⑿ 프린터스 로 문학 축제(Printers Row Lit Fest) 353

⒀ 텍사스 북 페스티벌(Texas Book Festival) 354

⒁ 사바나 북 페스티벌(Savannah Book Festival) 354

⒂ 독립서점의 날(Independent Bookstore Day) 355

4. 출판유통 선진화와 활성화 사례 356

1) 미국 저작권 사무소의 현대화 작업(Copyright Office modernization) 356

⑴ 엔터프라이즈 저작권 시스템(Enterprise Copyright System) 356

⑵ 지원 IT 시스템의 현대화(Modernizing Supporting IT Systems) 356

⑶ 역사적 공공 기록물의 디지털화 357

⑷ 미국 저작권 카드 카탈로그(U.S. Copyright Card Catalog)의 디지털화 357

2) 미국 무역 대표부의 악명 높은 시장 목록(Office of the U.S. Trade Representative) 360

3) 아마존에 대한 반독점 제소 360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362

1. 미국 출판산업의 종합적 평가 363

1) 출판산업 현황 363

2) 출판 관련 기관 현황 365

3) 저작권 계약과 인식 현황 366

4) 출판 표준 및 유통 현황 368

2. 미국 출판산업의 영역별 평가 및 시사점 370

1) 민간단체 중심의 협업시스템 운영 370

2) 서점 공간의 재해석과 확장 371

3) NEA 중심의 출판지원 373

4) 저자 양성과 저작 환경 375

5) 독서 장려와 도서관 활성화 376

6) 배타적 이용허락제도와 출판계약 관행 378

7) 출판유통 선진화와 활성화 379

3. 한국 출판산업에 대한 정책적 제언 382

1) 출판자와 저자 권리 강화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 및 인식 확대 382

2) 출판유통 선진화 시스템 구축 인프라 조성 383

3) 창작자의 경제적 사회 안전망 구축 384

4) 저작권자의 출판계 영향력 강화 385

5) 출판 관련 시상 및 장학금 신설 386

6) 도서관의 역할 확대 387

7) 독립서점 지원 389

8) 다양한 도서 축제 개최 389

9) 미국 출판 관련 단체와의 교류 및 수출 지원 강화 390

참고문헌 392

국내단행본 393

해외단행본 393

학위논문 394

학술지ㆍ기타 간행물 394

신문ㆍ잡지 기사 395

인터넷 자료 395

연구진 399

판권기 399

표목차

〈표 1-1〉 미국 출판산업 연구의 주요 추진 내용 26

〈표 2-1〉 카테고리별 미국 출판산업 매출 현황(2015-2019) 30

〈표 2-2〉 포맷별 미국 출판산업 매출 현황(2015-2019) 31

〈표 2-3〉 채널별 미국 출판산업 매출 현황(2015-2019) 32

〈표 2-4〉 종이책 분야별 미국 출판산업 규모 현황(2015-2019) 33

〈표 2-5〉 베텔스만의 매출현황 45

〈표 2-6〉 피어슨의 매출현황 47

〈표 2-7〉 미국 성인의 성별에 따른 독서 현황 49

〈표 2-8〉 미국 성인의 연령별에 따른 독서 현황 50

〈표 2-9〉 미국 성인의 교육수준별에 따른 독서 현황 50

〈표 2-10〉 미국 성인의 연간 소득별에 따른 독서 현황 51

〈표 2-11〉 미국 성인의 인종별에 따른 독서 현황 51

〈표 2-12〉 미국 성인의 거주 지역에 따른 독서 현황 52

〈표 2-13〉 미국인의 여가 중 독서 시간 55

〈표 2-14〉 미국 전자책 산업 주요 지표 현황(2011-2020) 70

〈표 2-15〉 미국 전자책 산업 주요 지표 전망(2020-2025) 75

〈표 2-16〉 펭귄랜덤하우스의 재무성과 현황 83

〈표 2-17〉 아마존의 재무성과 현황 84

〈표 2-18〉 미국 오디오북 산업 주요 지표 현황(2010-2019) 95

〈표 2-19〉 미국 오디오북 산업 주요 지표 전망(2019-2024) 97

〈표 2-20〉 오더블의 재무성과 현황(2014-2019) 110

〈표 2-21〉 펭귄랜덤하우스 오디오의 재무성과 현황(2014-2019) 111

〈표 2-22〉 미국 서점의 주요 지표 현황(2011-2020) 117

〈표 2-23〉 미국 서점의 주요 지표 전망(2020-2025) 122

〈표 2-24〉 반스앤노블의 매출현황 131

〈표 2-25〉 반스앤노블 교육의 매출현황 133

〈표 2-26〉 풀렛 고등 교육 그룹의 매출현황 134

〈표 2-27〉 미국 교육 주요 지표 현황(2011-2020) 143

〈표 2-28〉 미국 교육 시장 전망(2020-2025) 144

〈표 2-29〉 뉴욕 교육국의 재무성과(2015-2020) 153

〈표 2-30〉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재무성과(2015-2020) 155

〈표 2-31〉 캘리포니아 커뮤니티 칼리지의 재무성과(2015-2020) 157

〈표 2-32〉 아폴로 교육 그룹의 재무성과 159

〈표 3-1〉 미국 출판산업 분류 코드 168

〈표 3-2〉 현행 미국 저작권법상 저작권 보호기간 개요 185

〈표 3-3〉 미국의 출판계약 기본 항목 188

〈표 3-4〉 홀세일 모델(Wholesale Model)과 에이전시 모델(Agency Model) 비교 199

〈표 3-5〉 ISBN 부여 대상 출판물 및 제외 대상 215

〈표 4-1〉 미국 도서관 종류별 운영 현황 277

〈표 5-1〉 미국 도서관 협회(ALA)의 장학금 프로그램 303

〈표 5-2〉 미국 도서관 협회(ALA)의 보조금 프로그램 305

〈표 5-3〉 미국 도서관 협회(ALA)의 연구지원 보조금 목록 307

〈표 5-4〉 미국 도서관 협회(ALA)의 사서교육 보조금 목록 308

〈표 5-5〉 미국 도서관 협회(ALA)의 기타 보조금 목록 310

〈표 5-6〉 미국의 대표 북클럽(BookClubs) 목록 313

〈표 5-7〉 미국 도서관 협회의 문학상 337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추진방법 25

〈그림 2-1〉 글로벌 도서 출판시장의 매출 비중(2017년, 국가별) 29

〈그림 2-2〉 2004~2019년 미국 내 종이책 판매량 34

〈그림 2-3〉 미국 도서 매출 현황 및 전망(2014-2023) 35

〈그림 2-4〉 미국 소비자 도서 매출 현황 및 전망(2014-2023) 36

〈그림 2-5〉 미국 교육 도서 매출 현황 및 전망(2014-2023) 41

〈그림 2-6〉 미국 전문 도서 매출 현황 및 전망(2014-2023) 44

〈그림 2-7〉 미국인의 포맷별 독서율 변화(2011-2019) 49

〈그림 2-8〉 2019년 미국인의 포맷별 독서 현황 53

〈그림 2-9〉 미국인의 독서 시간 분석(2014-2019) 54

〈그림 2-10〉 세대별 도서관 신뢰도 차이 57

〈그림 2-11〉 공공도서관 제공 프로그램 현황 59

〈그림 2-12〉 공공도서관 대출 자료 흐름(2011-2018) 60

〈그림 2-13〉 연령별 도서관 이용 현황 61

〈그림 2-14〉 미국의 작가 현황(2011-2019) 64

〈그림 2-15〉 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작가 수입 현황(2018.6~2019.5) 65

〈그림 2-16〉 연도별 전자책 매출, 모바일 인터넷 연결 수, 광대역 연결 수 추이 68

〈그림 2-17〉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을 줄이고 싶은 구매자 연령별 비율 73

〈그림 2-18〉 전자책 산업의 제품과 서비스 구분 76

〈그림 2-19〉 전자책 시장 유통사 점유현황 78

〈그림 2-20〉 미국 대표 전자책 사업자와 매출 비중(2014-2019) 81

〈그림 2-21〉 오디오북 산업 현황 2011-2024 93

〈그림 2-22〉 오디오북 산업의 제품과 서비스 구분 99

〈그림 2-23〉 오디오북 산업의 주요 소비자 분석 100

〈그림 2-24〉 오디오북 독자의 성별 비율 102

〈그림 2-25〉 오디오북 독자의 연령별 비율 102

〈그림 2-26〉 오디오북 독자의 인종별 비율 103

〈그림 2-27〉 오디오북 독자의 교육수준별 비율 104

〈그림 2-28〉 오디오북을 즐겨듣는 카테고리 현황 104

〈그림 2-29〉 상황별 종이책/전자책/오디오북 선택 비율 105

〈그림 2-30〉 주로 구매하는 도서 포맷 현황 106

〈그림 2-31〉 오디오북의 주요 이용 채널 현황 107

〈그림 2-32〉 오디오북의 주요 이용 디바이스 현황 107

〈그림 2-33〉 미국 지역별 오디오북 사업자 분포 현황 108

〈그림 2-34〉 미국 대표 오디오북 사업자와 매출 비중 (2014-2019) 109

〈그림 2-35〉 미국 서점 매출 현황 및 전망(2011-2025) 115

〈그림 2-36〉 서점 산업의 제품과 서비스 구분 124

〈그림 2-37〉 서점 산업의 주요 소비자 분석 126

〈그림 2-38〉 미국 지역별 서점 분포 현황 128

〈그림 2-39〉 미국 대표 서점과 매출 비중(2015-2020) 129

〈그림 2-40〉 교육 산업 현황 2012-2025 140

〈그림 2-41〉 미국 교육 서비스의 세분화 현황 145

〈그림 2-42〉 교육 산업의 주요 소비자 분석 148

〈그림 2-43〉 주요 교육 사업자와 시장 점유율(2015~2020) 151

〈그림 3-1〉 미국 연방정부 및 지방정부의 예술지원정책 추진체계 171

〈그림 3-2〉 국립예술기금(NEA)의 문학예술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금액 173

〈그림 3-3〉 전자책 판매 방식인 홀세일 모델(Wholesale Model)과 에이전시 모델(Agency Model) 198

〈그림 3-4〉 미국 출판유통 흐름도 204

〈그림 3-5〉 QR코드를 활용한 뉴욕타임즈 북 리뷰 광고 208

〈그림 3-6〉 국가별 ISBN 등록기관 및 비용 213

〈그림 3-7〉 도서 분야별 ISBN 발급 수(2002-2013) 218

〈그림 3-8〉 ISSN 홈페이지 219

〈그림 3-9〉 NEA Literature Fellowships 홈페이지 233

〈그림 3-10〉 창작 펠로우십과 번역 프로젝트 홈페이지 234

〈그림 3-11〉 NEA Big Read 홈페이지 236

〈그림 3-12〉 NEA Big Program에서 이용할 수 있는 도서목록(2021) 237

〈그림 3-13〉 성인 연간 독서율 243

〈그림 3-14〉 디지털 독자 연간 독서율 244

〈그림 3-15〉 연령대별 독서유형 비율 245

〈그림 3-16〉 도서 분야별 이용 미디어 246

〈그림 3-17〉 독자 유형별 문학활동 참여율 247

〈그림 5-1〉 2020년 상반기 디지털 도서관 신규 가입자 수 319

〈그림 5-2〉 2020년 상반기 디지털 도서관 학생 신규 가입자 수 320

〈그림 5-3〉 상반기 디지털 도서관 도서 열람 수 321

〈그림 5-4〉 2020년 상반기 디지털 도서관 학생 도서 열람 수 322

〈그림 5-5〉 2020년 상반기 디지털 도서관 보유 도서 수 323

〈그림 5-6〉 2020년 상반기 디지털 도서관 오디오북과 전자책 열람 수 비교 323

〈그림 5-7〉 2020년 상반기 디지털 도서관 아동 픽션과 논픽션 도서 열람 수 324

〈그림 5-8〉 서점협회(ABA)의 코로나19 대응 매뉴얼 329

〈그림 5-9〉 미국 저작권 카드 카탈로그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