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발간사 / 홍태유

서문 / 고한구

화보

목차

敬次硬山道統祝題(연산도통사의 운을 삼가 따르다) 19

次東邱濟(朴承簧)扁植餘(在春川都)十景題(동구재(박승익)의 편미여의(춘천군에 있음) 십경시 운자를 따르다) 20

九峯靑松(구봉의 푸른 소나무) 22

三岳照陽(삼악산에 비춘 석양) 22

龍山朝雲(용화산의 아침 구름) 22

屬峀曉笛(봉의산 골짜기 아침 피리소리) 23

鎬屛淸風(금병산의 맑은 바람) 24

石溪暮煙(석계의 저녁연기) 24

德井甘泉(덕정 물맛 좋은 샘) 25

昭陽歸帆(소양강에 돌아오는 윷배) 25

道城新月(도성에 새로 뜬 달) 26

十景再題(십경시를 다시 옮다) 26

九莑靑松(구용의 푸른 소나무) 26

三岳照陽(삼악에 비춘석양) 27

龍山朝雲(용화산의 아침 구름) 27

鳳峀曉笛(봉의산 골짜기 아침 피리소리) 27

錦屛淸風(금병산의 맑은 바람) 28

石溪暮煙(석계의 저녁연기) 28

德井甘泉(덕정 물맛 좋은 샘) 29

昭陽歸帆(소양강에 돌아오는 돛배) 29

道城新月(도성에 새로 뜬 달) 29

德谷荷塘(덕곡의 연꽃 핀 못) 30

純宗國葬奉悼詞(순종황제 국장에 애도의 글을 받들어 드리다) 30

早鴈(일찍 온 기러기) 32

文蘭大享參調(문묘의 대성전 제향에 참여 하여 배알하다) 33

書谷淸溪(서곡의 맑은 시내) 34

竹林疎雨(대숲에 내리는 성긴 비) 35

梧川漁笛(오천에서 듣는 어부의 피리 소리) 35

金山朝陽(금산의 아침 햇살) 36

石鼎午煙(석정의 낮 연기) 37

贊安義士重根撃倭寇伊藤五十週年紀念(안중근 의사가 왜구 이등박문을 격살한 오십주년을 기념하여 찬양함) 38

題或聯隊長奉蓋再建施設(함 연대장이 봉개마을 재건시설을 읊다) 41

題鄕敬老會有感(우리마을에서 경로회를 열어 감회가 있어서) 43

題鄭中靑年敬老筵(마을의 청년들이 연 경로잔치에 붙여) 45

悼複子瓚瑩(아들찬형의 죽음을 애도하다) 48

哭子琇選早遊(자식 수형이 이른 나이의 죽음을 슬퍼하다) 49

早雅(일찍 온 기러기) 50

先考終祚日感立述懷(선고의 상례를 마치는 날 감읍하고 짓다) 51

瀛軒自題(영헌이라고 스스로 호를 짓다) 52

題重構(거듭 얽어 짓다) 53

賢竹坤先生回甲(죽파 선생의 회갑을 축하하다) 53

護次夫子影顧落成輯(공자 영정을 모신 전각의 낙성 시 운을 삼가 따르다) 54

同題(같은 제목으로 짓다) 56

廳別權君寧普唱和輯(권녕보 군을 떠나 보내며 부르고 화답한 시) 59

同題(같은 제목으로 짓다) 61

次平原都詩社漁翁題(평원군 시모임 「어옹」 을 차운하다) 62

賢金直員朱養翊洙啐輯(주암 김익수 직원의 환갑을 축하하다) 67

早確(일찍 온 기러기) 70

敬次大聖院建設輯(「대성원 건설」 시의 운자를 공경히 따르다) 73

逢賢金淸魔壽辰(김청암의 생신일을 멀리서 축하하다) 77

代作(대신 짓다) 78

贊安竹儂孝賢(안죽농의 효도와 현명함을 찬양하다) 80

次石盤阿台聞別墅新築輯韻(석반아 태합이 별장을 신축한 시 운자를 따르다) 82

次梁大雅節齋晬韻(양절재 대아의 회갑시 운을 따르다) 85

次竹軒金直員基錄晬韻(죽헌 김기수 직원의 환갑을 축하하다) 88

同題(같은 제목으로 짓다) 91

同題(같은 제목으로 짓다) 94

哭高君寬熙控(고관희 군의 죽음을 슬퍼하다) 95

甘雨(단비가 내리다) 95

敬賢塵洞書院新刱追憶安子晦軒先生(녹동서원이 새로 창건되어 안차 회헌 선생을 추억하다) 96

塵洞書院f需林示以曲阜聖願兵灾文朝驚有感於閔先聖衛吾道 而奉呈(녹동서원 유림이 곡부의 성묘가 전쟁의 재앙을 입었다는 글을 보여주어서 놀라웠다. 선성을 보호하고 유학의 도를 지킴에 느낌이 있어 지어 바친다) 97

聖朝恩安主健安大夫淳煥至誠繼述 以供-解款贊(곡부의 성묘 위안을 주최한 안순환 대부가 지성으로 일을 이어 나감에, 이 한 편의 글을 바치고 기뻐하며 칭찬하다) 98

追賢曲車聖願慰安全蘇需林代表朴安兩先 生行李埈回(곡부 성묘의 위안에 참여 하여 모든 조선의 유림을 대표한 박·안 두선생이 여행에서 돌아와 마친 것을 늦게 하례하다) 99

追懷曲車兵福後聖門狗道孔陳兩氏(곡부가 전쟁의 재앙을 입은 뒤에 성인의 사당에 가서 도를 따라 순사한 공씨와 진씨 두 분을 돌이켜 기리다) 100

奉讀聖願感安實紀 述感(성묘위안실기를 삼가 읽고 감회를 짓다) 101

敬次族義짧鄕校復設輯('정의향교를 다시 설치함' 시의 운자를 삼가 따르다) 102

漢拏山(한라산) 103

過劉賢祠遺據有感(향현사터를 지나며 느낌이 있어서) 104

敬題道統祠聖學淵源圖(공경히 도통사 성학연원도 시를 짓다) 105

同題(같은 제목으로 짓다) 106

本州文願大享 宿威調大成顧述感(우리고장 문묘대향에 숙계하고 대성전을 알현함에 느낌을 적다) 107

追幕勉魔崔先生(면암 최익현 선생을 추모하다) 108

次百和堂唱和輯(백화당의 창화시 운자를 따르다) 109

同題(같은 제목으로 짓다) 114

甲子首春謂浮海安先生子朝天(갑자년 초봄에 부해 안선생을 조천에서 뵙다) 120

梅邨書齋階浮海先生(매촌서재에서 부해 선생을 모시다) 122

呈朴東邱齋承寶扁植(동구재 박승익의 편미에 드리다) 123

孝子輯(효자를 읊다) 124

春日朝天途中(봄날 조천으로 가는 길에) 134

重修夫子廟(공부자의 묘당을 중수하다) 135

朝天館頭奉別浮海先生(조천관 부두에서 부해 선생을 이별하여 보내다) 141

春鷰(봄에 찾아온 제비) 142

次劉氣農晬韻寶烈(국농 유익렬의 환갑시 운자를 따르다) 145

를훌次宜休亭韻(삼가 의휴정 시의 운자를 따르다) 148

書谷淸溪(서곡 맑은 시내) 151

佛堂歸雲(불당으로 몰려드는 구름) 153

竹林疎雨(죽림의 성긴 비) 154

梧川漁笛(오천 어부의 피리소리) 155

馬峙落照(마치(말재)의 저녁놀) 156

兎嶺霽月(토령(토끼고개) 갠 날의 달) 157

金山朝陽(금산의 아침 햇빛) 158

石鼎午煙(석정(돌솥)의 낮 연기) 159

漢陽懷古(한양을 회고하다) 160

意意(봄기운) 161

暮春(늦봄) 163

挑始華(복사꽃이 처음 피다) 169

春服旣成(봄옷이 완성되었으니) 175

秋蟬(가을 매미) 180

秋夜(가을밤) 183

秋月(가을 달) 190

秋聲(가을 소리) 193

廳輕(귀뚜라미) 197

新京(초가을 서늘한 기운) 198

同題(같은 제목으로 짓다) 203

甘雨(단비) 206

豊年樂(풍년이 지꺼져서) 211

同題(같은 제목으로 짓다) 213

同(같은 제목) 216

賀金雅石友啐輯景鍾(벗 석우 김경종의 회갑 축하시) 219

農桑園(농사짓고 뽕나무 심은 동산) 220

暮春(늦봄) 222

望海(바다를 보며) 226

梅花(매화) 231

聞鴈(기러기 소리를 들으며) 240

次太田情城隆社月下貼聲韻(대전 유성음사의 「월하침성」 운자를 따르다) 246

湖上聞秋雁步前輯(호숫가에서 가을 기러기소리 듣고 앞 시 운자를 따르다) 252

次大靜鄕校白場觀海韻(대정향교 백일장 「관해」 시의 운자를 따르다) 257

最勝臺(최승대) 264

秋月(가을 달) 265

聽韻(매미소리를 듣고) 266

漢拏山(한라산) 268

次崔友石元淳別莊石假山(우석 최원순의 별장 석가산(시)을 따르다) 278

次濟州士林儒道彰明會韻(제주 사림의 유도창명회 운자를 따르다) 284

晬韻(회갑시의 운자) 296

春草(봄풀) 298

駿馬(준마) 302

濟州市升格(제주시로 승격되다) 305

咸中將炳善歡迎有感(함병선 중장 환영 감회가 있어) 307

辛局長逢別後日述感(신 국장을 만나고 이별한 뒷날 느낌을 쓰다) 309

聽宣懶警官樂有感(선무하는 경관의 연주 악을듣고 감흥이 있어) 310

追悼卓東江金先生挽(동강 김선생을 추도하는 만시) 312

辛局長相默到鄕奉別述感(신상묵 경찰 국장이 마을에 이르러 작별하고 감회를 적다) 315

咸中將炳善歡迎述感(황병선 중장을 환영 하고 감회를 적다) 318

慶祝李大統領八十壽誠辰(이승만 대통령 80수 탄신일을 경축하다) 319

官暑落成日辛局長讓揚韻(제주경찰 관서의 낙성일에 신국장을 찬양한 시) 325

贊畵伯朴生光繪事展示(박생광 화백의 그림 전시를 찬양함) 331

答文總薛昌洙傳信(문총 설창수의 편지에 답함) 333

警察局辛局長主催觀德享詩會韻(경찰국 신국장이 주최한 관덕정 시회의 운자) 334

祝濟大本館落成 道廳主催(제주대학교 본관 낙성을 축하함 도청주최) 336

勸孫鍾斗等 勉學愼謹(손자 종두 등에게 면학과 신근하기 권장하다) 339

心齋金先生錫翼追悼挽(심재 김석익 선생 을 추도하는 만시) 342

次養谷梁講長重培晬辰韻(능곡 양중배 강장의 회갑시 운자를 따르다) 343

護和玄鎬岩商坤講長晬辰鎭(삼가 금암 현상곤 강장의 회갑시에 화운하다) 344

代某作(아무개를 대신하여 짓다) 346

西溪金講師回甲唱和輯炳琳(서계 김병림 강사의 회갑에 노래로 화운하다) 347

謹和魔講師金炳澤晬韻(삼가 등암 김병택 강사의 회갑운에 화답하다) 349

哭竹團李班首熺錠控(죽포 이희정 반수를 곡하는 만시) 350

哭李雅韺兌先文靈筵(벗 이영태의 아버님 빈소에 곡하다) 351

秋興(가을 흥취) 354

落葉(떨어진 잎사귀) 361

漫題晨星女校展示(신성여학교 전시를 보고 느낌대로 짓다) 366

祝安城學園三十周年紀念(안성학원 30주년을 기념하다) 367

祝安城忠塊搭建立紀念(안성충혼탑 건립을 축하하며 기념하다) 371

次濟州圖書館新柳韻(제주도서관 창설의 시운을 따르다) 374

同題(같은 제목으로) 378

哭崔款齋先生秉心輓(흠재 최병심 선생을 애도하는 만시) 381

轉愚野(우헌을 애도하는 만시) 383

祝張講師小筠晬辰(장소균 강사의 회갑을 축하하다) 384

初夏(첫여름) 387

哭老濟梁訓長擺(노재 양훈장을 곡하며 지은 만시) 392

哭陽鴻邊先生德能(양오 변덕능 선생을 곡하다) 392

入營壯別曲(입영을 장렬히 격려하며 이별하는 노래) 393

建國十周年紀念(건국 10주년을 기념하며) 401

次文淵高講師景洙六-晬輯(문연 고경수 강사의 61세 시의 운자를 따르다) 404

次南谷高講師七旬二歲壽韻(남곡 고강사의 72세 수운을 따르다) 409

賀玄講師回巹(현강사의 결혼 60주년을 축하하다) 412

五賢高校設立七週年祝賀(오현고교 설립 7주년을 축하하다) 413

與島隱姜君游靜齊任君炳禮和龍(도은 강유 군과 정재 임병기 군과 더불어 운에 화답하다) 415

後夜相訪和輯(뒷날 밤에 찾아가서 운자를 화답하다) 417

時事感(당시의 사건에 느낌이 일어) 418

偶哈(우연히 읊다) 418

上巳(삼짇날) 419

露春(봄을 보내다) 423

天地淵(천지연) 424

老儒(나이든 유생) 428

錢(돈) 430

次光州湖南詩社祝童命韻(광주 호남시사의 시 「축혁명」의 운자를 따라서) 431

哭晚悟金講士學眞(만오 김학진 강사를 애도하다) 433

제목을 붙이지 않은 칠언절구 8수 434

제목을 붙이지 않은 칠언절구 14수 438

題金海璿源姓譜(김해김씨 선원성씨의 족보에 쓰다) 443

天民(천도(天道)를 깨친 훌륭한 이) 445

追慕宣聖誕生魯昌平鄕(공자께서 노의 창평에서 태어나심을 추모하다) 445

羅災民救濟有感(이재민을 구제하니 느낌이 있어서) 446

癸卯春文廟舍菜入齋守夜 與諸彦共今抽 葉絡句(계묘년 봄에 문묘에서 석채례가 있어 들어가 재계하며 밤을 새는데 여러 선비들과 함께 「새싹이 돋음」을 절구로 읊다) 447

民參議選學後有感(민·참의원 선거 뒤에 느낌이 있어서) 448

賀民議院高湛龍再當選(민의원 고담룡의 재당선을 축하하며) 448

寶參議員康才良當選(참의원 강재량 당선을 축하하며) 449

戒花酒(꽃과 술을 경계함) 449

牛(소) 450

牛(소) 452

牛(소) 452

厚生(넉넉히 살게 하기) 455

厚生(넉넉하게 살게 하기) 458

厚生(넉넉하게 살게 하기) 459

牛(소) 460

領春(봄을 칭송하다) 464

次金松軒永海回甲韻(송헌 김영해의 회갑시 운자를 따르다) 466

初雪(첫눈) 467

鋼未當午(검질매기 한낮이 되다) 468

二聖祠(이성사) 469

魯鄒祠(노추사) 471

祝祖國光復(조국의 광복을 축하하다) 473

祝新政府(새로운 정부를 축하하다) 473

題四月革命(사월혁명을 읊다) 477

賀武臺面會(연무대에서 면회하다) 479

贊民議院高湛龍再當選(민의원 고담룡의 재당선을 축하하다) 481

鍊武臺面會(연무대에서 면회하다) 482

寄張勉首相(장면 수상에게 보내다) 483

張首相動 答書(장면 수상이 회답한 편지) 487

天民(천리를 깨친 이) 487

丹樞(단풍) 490

田家夏日(농가의 여름날) 492

政黨(정당) 492

聽蛙(개구리 소리를 듣다) 493

自由(자유) 494

歛輕賦薄(세금 부과 가벼이) 495

觀游魚(노니는 물고기를 바라보다) 498

種樹(나무를 심다) 499

時局所感(시국의 느낌) 500

勸文盲讀書(글 모르는 이들에게 독서를 권장함) 502

春耕(봄갈이) 503

厚生(넉넉하게 살게 하다) 505

麥秋(보리 거두기) 507

除夕(섣달 그믐날) 509

新春(새 봄) 513

母情船路(어머님 사랑의 뱃길) 516

讓金孝子鍾奉孝行(효자 김종봉의 효행을 찬양함) 519

漁翁(고기잡는 노인) 521

彈琴(거문고를 타다) 523

酒(술) 525

仁者無敵(어진 이는 미워할 사람이 없다) 526

擺前道知事漢權金公忠熙(전 도지사 한초 김충희 공을 애도하다) 529

祝三一節(삼일절을 축하하며) 530

三一節紀念(삼일절을 기념하며) 531

次觀海金翁回甲韻(관해 김노인의 회갑시의 운자를 따르다) 533

落葉(떨어진 잎사귀) 535

賞楓(단풍을 구경하다) 536

次金講士宗鉉回甲韻(김종현 강사의 회갑시 운자를 따르다) 537

與士卒同甘苦(병사들과 더불어 단맛 쓴맛 함께하다) 539

主權在我天民齊(주권은 우리들 백성 모두에게 있다) 540

避暑(더위 피하기) 544

驟雨(소나기) 545

夏夜消風(여름밤 바람쐬기) 545

征婦秋懷(출정간 님을 기다리는 여인의 가을 심정) 546

秋夜思鄉(가을밤 고향 생각) 547

雪岳山(설악산) 552

賀金春園炳朝回甲(춘강 김병조의 회갑을 축하하다) 556

讀春崗詩集有感(춘강시집을 읽고 감회가 있어서) 564

純宗國裵日奉悼有感(순종 국장일에 받들어 애도하니 감회가 있어서) 572

靈軒年譜(영헌연보) 575

판권기 586

이용현황보기

(국역) 영헌시고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96146 811.91 -21-3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96147 811.91 -21-3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