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영남지역 지석묘의 기원과 출현 / 윤호필 7

Ⅰ. 머리말 9

Ⅱ. 청동기시대 전기 분묘 연구현황 및 연구성과 10

1. 전기 분묘의 연구현황 10

2. 전기 분묘의 연구성과와 향후 과제 14

Ⅲ. 한반도 지석묘의 출현 배경 15

1. 전환기의 분묘 양상 15

2. 지석묘의 출현 배경 17

Ⅳ. 영남지역의 지석묘 기원 20

1. 전기 분묘 현황과 지석묘 양상 20

2. 전기 취락 분묘로 본 지석묘의 기원과 출현 32

Ⅴ. 맺음말 40

참고문헌 41

「영남지역 지석묘의 기원과 출현」에 대한 토론문 / 김병섭 43

2. 영남지역 지석묘 문화의 변화와 사회상 / 이수홍 46

Ⅰ. 머리말 49

Ⅱ. 청동기시대 전기 : 무덤 문화의 시작 51

1. 무덤의 출현시점과 양상 51

2. 무덤 출현과 전개의 의미 53

Ⅲ. 청동기시대 후기 : 지석묘 문화의 전성기 55

1. 무덤문화의 지역성 55

2. 후기 사회의 성격 59

Ⅳ. 초기철기시대 : 목관묘의 등장과 지석묘문화의 종말 61

1. 초기철기시대 무덤의 양상 62

2. 불평등사회의 지배자 등장 65

Ⅴ. 취락과 무덤으로 본 우두머리의 변화 - 통시적 검토 67

1. 우두머리의 성격과 명칭 67

2. 취락·무덤·우두머리의 변화 69

Ⅵ. 맺음말 76

참고문헌 77

「영남지역 지석묘문화의 변화와 사회상」에 대한 토론문 / 이성주 82

3. 김해지역 지석묘 축조의 지속과 사회적 의미 / 이제현 86

Ⅰ. 머리말 89

Ⅱ. 김해지역 지석묘의 입지와 특징 90

1. 지석묘의 분포양상과 의미 90

2. 입지와 특징 94

3. 지석묘와 취락의 관계 97

Ⅲ. 김해지역 지석묘의 변천 과정 106

1. 마제석검 107

2. 적색마연호 108

3. 매장주체부 109

4. 단계별 특징 111

Ⅳ. 김해의 지석묘 사회 112

1. 지석묘 사회는 어떤 사회였는가 112

2. 초기철기시대 지석묘의 사회적 기능 113

Ⅴ. 맺음말 117

참고문헌 118

「김해지역 지석묘 사회」에 대한 토론문 / 윤형규 121

4. 고 대산만 지석묘 사회와 다호리 집단 / 이동희 128

Ⅰ. 머리말 131

Ⅱ. 고 대산만의 지석묘 사회 133

1. 고 대산만의 지석묘 개요 133

2. 군집도에 따른 지석묘군의 성격 135

3. 발굴된 지석묘군의 검토 138

4. 고 대산만의 지석묘 사회 148

Ⅲ. 고 대산만 지석묘집단과 다호리 세력과의 관련성 164

1. 다호리 유적 개요 164

2. 다호리 세력의 出自 165

3. 덕천리 지석묘군의 분석을 통해 본 다호리세력과의 관련성 168

4. 다호리 세력의 성장 배경과 그 기원 172

Ⅳ. 맺음말 175

참고문헌 176

「古大山灣 支石墓 社會와 茶戶里 集團」 토론문 / 박진일 179

편집 후기 185

판권기 187

이용현황보기

영남의 지석묘 사회 : 가야 선주민의 무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22202 951.109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22203 951.109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국립김해박물관이 2020년 7월 11일부터 11월 20일까지 5회에 걸쳐 실시한 학술대회 ‘2020 가야학술제전’의 자료집인 <2020년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가 5권 전집으로 간행되었습니다. 국립김해박물관은 2019년에도 6월부터 10월에 걸쳐 오프라인 학술대회 ‘2019 가야학술 제전’을 개최하여 가야의 문자 문화, 삼한의 신앙과 의례, 삼국시대 마구, 가야의 편두 문화, 가야의 직물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토론하였으며, 그 결과를 <2019년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로 발간한 바 있습니다. 가야학술제전 학술행사는 올해에도 4월부터 시작되어 11월 성료를 앞두고 있으며, 그 결과물은 내년에 정리되어 간행될 예정입니다.
올해 발간된 <2020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는 1권 『가야의 기록, 『가락국기』를 이야기하다』, 2권『영남의 지석묘 사회-가야 선주민의 무덤』, 3권 『삼국시대 금동관 비교연구』, 4권 『가야의 비늘갑옷』, 5권 『가야의 주거문화』 등 총 5권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권 별로 4~8명의 전문연구자가 작성한 발표문 총 26편이 수록되었고, 전체 분량은 1,000쪽에 이릅니다.
2권 『영남의 지석묘 사회-가야 선주민의 무덤』 영남지역에서 발견되는 지석묘에 대한 발표문 4건으로 구성되는데, 2편은 영남 지석묘 전반에 대한 내용을 개괄하고, 2편은 각각 김해지역 지석묘 유적군과 고 대산만 지역의 유적을 심층적으로 소개합니다.

2019년부터 2021년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가야학술제전 학술행사는 한반도 철기 문화 및 고대국가 형성과정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라, 백제에 비해 연구 실적이 부족한 가야 역사 및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넓히고 한층 심화하는데 기여하여, 향후 가야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