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1. 영남지역 지석묘의 기원과 출현 / 윤호필 7
Ⅰ. 머리말 9
Ⅱ. 청동기시대 전기 분묘 연구현황 및 연구성과 10
1. 전기 분묘의 연구현황 10
2. 전기 분묘의 연구성과와 향후 과제 14
Ⅲ. 한반도 지석묘의 출현 배경 15
1. 전환기의 분묘 양상 15
2. 지석묘의 출현 배경 17
Ⅳ. 영남지역의 지석묘 기원 20
1. 전기 분묘 현황과 지석묘 양상 20
2. 전기 취락 분묘로 본 지석묘의 기원과 출현 32
Ⅴ. 맺음말 40
참고문헌 41
「영남지역 지석묘의 기원과 출현」에 대한 토론문 / 김병섭 43
2. 영남지역 지석묘 문화의 변화와 사회상 / 이수홍 46
Ⅰ. 머리말 49
Ⅱ. 청동기시대 전기 : 무덤 문화의 시작 51
1. 무덤의 출현시점과 양상 51
2. 무덤 출현과 전개의 의미 53
Ⅲ. 청동기시대 후기 : 지석묘 문화의 전성기 55
1. 무덤문화의 지역성 55
2. 후기 사회의 성격 59
Ⅳ. 초기철기시대 : 목관묘의 등장과 지석묘문화의 종말 61
1. 초기철기시대 무덤의 양상 62
2. 불평등사회의 지배자 등장 65
Ⅴ. 취락과 무덤으로 본 우두머리의 변화 - 통시적 검토 67
1. 우두머리의 성격과 명칭 67
2. 취락·무덤·우두머리의 변화 69
Ⅵ. 맺음말 76
참고문헌 77
「영남지역 지석묘문화의 변화와 사회상」에 대한 토론문 / 이성주 82
3. 김해지역 지석묘 축조의 지속과 사회적 의미 / 이제현 86
Ⅰ. 머리말 89
Ⅱ. 김해지역 지석묘의 입지와 특징 90
1. 지석묘의 분포양상과 의미 90
2. 입지와 특징 94
3. 지석묘와 취락의 관계 97
Ⅲ. 김해지역 지석묘의 변천 과정 106
1. 마제석검 107
2. 적색마연호 108
3. 매장주체부 109
4. 단계별 특징 111
Ⅳ. 김해의 지석묘 사회 112
1. 지석묘 사회는 어떤 사회였는가 112
2. 초기철기시대 지석묘의 사회적 기능 113
Ⅴ. 맺음말 117
참고문헌 118
「김해지역 지석묘 사회」에 대한 토론문 / 윤형규 121
4. 고 대산만 지석묘 사회와 다호리 집단 / 이동희 128
Ⅰ. 머리말 131
Ⅱ. 고 대산만의 지석묘 사회 133
1. 고 대산만의 지석묘 개요 133
2. 군집도에 따른 지석묘군의 성격 135
3. 발굴된 지석묘군의 검토 138
4. 고 대산만의 지석묘 사회 148
Ⅲ. 고 대산만 지석묘집단과 다호리 세력과의 관련성 164
1. 다호리 유적 개요 164
2. 다호리 세력의 出自 165
3. 덕천리 지석묘군의 분석을 통해 본 다호리세력과의 관련성 168
4. 다호리 세력의 성장 배경과 그 기원 172
Ⅳ. 맺음말 175
참고문헌 176
「古大山灣 支石墓 社會와 茶戶里 集團」 토론문 / 박진일 179
편집 후기 185
판권기 18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822202 | 951.109 -2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822203 | 951.109 -21-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