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마르크스인가: 해방적 비판의 재해석을 위하여_임경석 2. ‘실재적 관계들 안의 현실적 인간’ 또는 ‘인간’ 개념의 변증법적 의미 전형(轉形)을 통한 사적 유물론의 철학적 근거 정립_홍윤기 3. 공산당 선언 탄생사_최치원 4. 마르크스와 링컨 그리고 노예제_이국배 5. 사회주의의 재구성: 인간중심 민주주의론의 경우_김원식 6. 마르크스와 유령적 모더니티: 상품의 이중성과 ‘객관적 사유 형식’_한상원 7. 변증법적 ?자본론? 독해_홍승용 8. 생태적 재생산과 생태기본소득: 마르크스에 대한 비판적 변형_권정임 9.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의 한계와 그 극복 방향: 인간중심 변증법의 비판적 지적과 그 대안의 타당성 검토_선우현 10. 마르크스와 알튀세르 사이의 푸코_진태원
이용현황보기
왜 지금 다시 마르크스인가 : 마르크스 사상의 비판적 재해석 및 재구성에 관한 실천철학적 성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24522
335.4 -21-5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24523
335.4 -21-5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82244
335.4 -21-59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마르크스 사상의 비판적 재해석 및 재구성에 관한 실천철학적 성찰
마르크스는 자신이 발 딛고 살아가던 19세기 당시의 서구 자본주의체제의 구조적 모순과 비인간적인 억압적 실태에 관해 비판적․과학적 규명 작업을 벌여나갔던 비판적 지식인이자,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 가장 소외되고 착취당했던 노동자 계급의 처지와 입장을 대변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자신의 삶 전부를 바쳤던 진정한 휴머니스트였다. 나아가 사회적 지위나 신분에 상관없이 누구나 자유롭고 인간다운 삶을 마음껏 향유할 수 있는, 그 어떤 착취나 수탈, 억압도 존재치 않는 진정한 ‘인간 해방’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현실화 가능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는 데 전력을 기울였던, ‘이론과 실천의 통일’을 추구하고 체화한 진정한 의미에서의 실천 철학자였다. 이 책에서는 ‘오늘의 시점에서 왜 마르크스 철학이 다시 요청되는가?’라는 물음을 중심으로 새롭게 살펴본 마르크스 사상에 관한 비판적 논구 작업은, 빠르게 변모해나가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제대로 규명하고 드러난 난제들을 해결해나가는 데 기여할 새로운 철학적 접근 방식과 조망점, 분석틀과 실질적 극복 방안 등에 관한 유의미한 논변들을 우리 실천철학계에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한국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여러 난맥상들을 제대로 짚어주고 그로부터 벗어날 현실적 타개책 및 한국 사회의 변혁 방안 등을 모색․제시해줄 ‘자생적 사회철학 모델’의 정립과 관련해서도 적지 않은 지침과 시사점, 교훈 등을 개진해줄 수 있을 것이라 감히 기대해본다. 현실 사회주의의 붕괴로 인해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외재적 비판’의 준거점이 상실된 현 시점이야말로, 이전과 질적으로 달라진 새로운 자본주의 체제의 근본적 한계와 모순 등을 보다 철저히 직시하고 규명해야 할 적기라 할 수 있다. 사정이 이렇다면, 마르크스의 사상은 조소와 냉소의 대상으로서 ‘죽은 개’ 취급은 아직 받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왜냐하면 이제껏 살펴본 것처럼 기존의 마르크스 사상으로부터 오늘의 시대 상황에 부합하게끔 새로이 그 이론적․실천적 함의와 의의를 끄집어내어 규명해볼 경우, 마르크스의 실천철학은 현존 자본주의 체제의 구조적 모순과 한계에 대해 신랄하게 ‘짖어댈(비판할)’ 수 있는 ‘살아 있는 개’로서의 역할을 여전히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런 한에서 이 책은 이 점을 보다 더 설득력 있는 다양한 논변의제시를 통해 확인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