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은 달라, 달라!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C00001144
아동1 823 ㅇ368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우리 몸은 서로 달라서 더욱 특별해요!
우리는 외모에 대해서는 유독 ‘예쁘다, 멋있다’ 혹은 ‘못생겼다’라는 이분법적 기준으로 판단해요. 특히, 보통 체격인데도 스스로 뚱뚱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유독 많죠. TV에 나오는 획일적인 몸은 선망하고, 상업적인 외모와 비교하며 좌절하고, 항상 다이어트 중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하곤 해요. 우리 사회는 왜 이렇게 외모에, 몸에 민감한 걸까요? 다양한 매체 속 문화를 그대로 흡수하는 아이들이 자라서 자신의 몸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요? 『우리 몸은 달라, 달라!』와 함께 자신의 몸을 존중하고 긍정하기를 바라요.
누구나 몸을 갖고 있어요. 어떤 사람은 농구 골대만큼 몸이 길쭉길쭉하고, 어떤 사람은 바람이 살랑 불어도 날아가 버릴 것 같은 약한 몸을 가졌죠. 또, 어떤 사람은 피부가 보이지 않을 만큼 털이 북슬북슬 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뼈가 없는 연체동물처럼 몸이 유연하기도 해요. 이렇게 우리의 몸은 다 다르게 생겼어요. 어디 하나 똑같은 곳 없죠. 우리 몸에도 언어가 필요해요. ‘예쁘다’ 혹은 ‘못생겼다’라는 시시한 기준에 나의 소중한 몸을 가두지 마세요. 다양한 몸을 표현하는 언어는 무한하잖아요. 세상에서 유일한 나의 몸을 찬찬히 들여다보고 이름 붙이는 놀이를 해 봐요. 이 책을 읽고 나면, 똑같은 나의 몸이지만 더욱 특별하고 자랑스럽게 느껴질 거예요.
‘팝 아트 스타’ 존 버거맨의 작품을 그림책으로 소장하세요!
팝 아트에 한 획을 그은 ‘팝 아트 스타’ 존 버거맨. 강렬한 색채와 익살스러운 캐릭터가 전 세계의 이목을 사로잡았는데요. 존 버거맨이 사랑하는 팝 아트는 무엇일까요? 팝 아트는 대중 예술을 의미하는 말로, 1960년대 뉴욕에서 일어난 미술의 한 경향이에요. 팝 아트는 순간, 대중성, 대량 생산이라는 특징이 있어요. 존 버거맨은 영국에서 줄곧 미술 작업을 하다가 익숙한 재료, 기법, 그림체에서 스스로 벗어나고자 뉴욕으로 이주하였다고 해요. 특히, 팝 아트의 제왕으로 불리는 앤디 워홀의 영향을 많이 받았어요. 그는 캔버스, 벽화, 조각, 장난감, 의류, 인쇄물 등 매체를 넘나드는 자신의 작업을 ‘두들(doodle)’이라고 정의하고 스스로 ‘두들러(doodler)’라고 부른답니다. ‘무언가를 끄적거리다, 낙서하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두들은 존 버거맨의 작업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 줘요.
존 버거맨은 두들을 그릴 때 의도적으로 생각을 배제하고 손이 흘러가는 대로 둔다고 해요. 그 덕분에 존이 그린 캐릭터는 같은 게 단 하나도 없어요. 사용하는 색채 또한 화려해 보이지만, 절제된 몇 가지 색을 사용했어요. 그런데 그렇게 다채로워 보일 수 있다니 신기하죠? 엄선된 색을 사용해서 그만의 개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어요. 자유분방해 보이는 ‘선’ 또한 그저 끄적인다고 되는 것이 아니에요. 오랜 수련과 노력 끝에 현장에서도 일필로 그려낼 수 있게 된 것이죠. 그렇기에 더욱 가치 있는 두들이랍니다.
존은 한국뿐 아니라 뉴욕, 독일, 멕시코 등 여러 나라에서 전시를 열었으며, 나이키, 퓨마, 삼성 등 세계적인 브랜드와 협업을 진행했어요. 매번 획기적인 디자인으로 대중들을 놀라게 하며 전 세계의 이목을 사로잡았어요. 존 버거맨의 작품은 영국 런던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을 비롯해 전 세계의 여러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어요. 유명 박물관에서도 소장한 존 버거맨의 작품을 그림책으로 만나볼 수 있다니!! 아이들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예술의 경지를 보여주는 팝 아트 그림책을 독자분들께 선사합니다. 영롱한 색채와 유연한 선의 춤사위, 팡팡 튀는 캐릭터가 그림책에서 어떻게 구현될지 궁금하다면 『우리 몸은 달라, 달라!』를 펼쳐 보세요.
책을 소리 내어 읽으면 예술과 운율의 매력을 동시에 느낄 수 있어요!
아이들의 언어 능력을 키우는 데에는 적절한 언어 자극이 필요해요. 이때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의성어·의태어를 사용하는 것이에요. 『우리 몸은 달라, 달라!』 한국어판은 영문판과는 다르게 다양한 몸의 형태를 의태어와 함께 표현하였어요. ‘둥실둥실, 북슬북슬, 푸근푸근, 몰랑몰랑’ 등 각각의 몸에 꼭 맞는 의태어를 소리 내어 읽으면 마치 노래를 부르는 듯해요. 소리글자인 우리말의 맛과 멋을 살려 번역한 서남희 선생님의 언어 감각이 돋보이는 대목이랍니다. 역동적인 그림과 노랫말 같은 글이 만나 완벽한 조화를 이루었지요.
운율과 리듬이 느껴지는 의태어로 다양한 놀이도 할 수 있어요. 몸에 어울리는 의태어를 표현해 보는 의태어 놀이를 할 수 있어요. 의태어는 일반적인 단어와 다르게 귀에 쏙쏙 들어오고, 음절이 반복되어 쉽게 발음할 수 있어요. 다양한 형태의 몸을 동작으로 표현하거나 소리로 나타내는 놀이도 할 수 있고요. 또, 의태어에 어울리는 몸을 그림으로 표현해 보는 활동은 두뇌 발달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다양한 몸을 놀이하듯 알게 된다면 아이들은 자신의 몸을 축복하고 사랑하게 될 거예요.
존 버거맨은 아이들에게 몸이 어떻든 모두 자랑할 만하다는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캐릭터를 가장 단순한 선으로 표현했다고 해요. 『우리 몸은 달라, 달라!』와 함께 다양한 신체를 경험하면 이제는 자신의 몸으로 시선이 갈 거예요. 눈, 코, 입, 귓불, 목선, 팔꿈치, 손톱 모양까지 나의 고유한 신체를 들여다보아요. 신체의 다름이 소중함을 만든다는 것을 온몸으로 느끼면 자기 존중과 자기 긍정의 마음을 갖출 수 있어요. 다시, 내가 소중하면 다른 사람도 소중하다는 것을 알고 평등과 존중의 가치를 체험하게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