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1. 국립국어원(2017)의 실태 조사 어휘 총 목록 ; 2. 국립국어원(2017)의 실태 조사 어휘별 결과(매체 통합)(빈도순)(비율순)(가나다순)(역순) 참고문헌(p. [509]-519)과 색인 수록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1.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 무엇이 문제인가 1.1.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의 관계17 1.2. 사이시옷 표기의 조건에 따른 문제점26 1.2.1. 합성 명사의 판정에 따른 사이시옷 표기의 문제26 1.2.2. 합성 명사의 어종에 따른 사이시옷 표기의 문제31 1.2.3. 사잇소리 현상과 관련된 사이시옷 표기의 문제38 1.3. ?한글 맞춤법 영향 평가?에서의 사이시옷 표기48 2. 어문 규범 변천사 속에서의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 규정 2.1. 〈國文硏究 議定案〉(1909)와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1912)61 2.1.1. 〈國文硏究 議定案〉(1909)61 2.1.2.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1912)65 2.2.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大要〉(1921)과 사이시옷 표기 규정69 2.3. 〈諺文綴字法〉(1930)과 사이시옷 표기 규정76 2.4.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과 사이시옷 표기 규정86 2.5.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 이후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97 2.5.1.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7)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97 2.5.2. 〈한글 맞춤법 통일안〉(1940)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99 2.5.3. 〈한글 맞춤법 통일안〉(1946)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102 2.5.4. 〈한글 맞춤법 통일안〉(1948, 1956), 〈한글 맞춤법〉(1980)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104 2.5.5. 〈한글 맞춤법〉(1988)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105 2.6. 북한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변천108 3. 사이시옷의 형태소성과 사잇소리 현상의 실현 3.1. 사이시옷의 형태소성117 3.1.1. 형태소와 공형태소117 3.1.2. 사이시옷 지위의 변천122 3.1.3. 현대 한국어 사이시옷의 지위에 대한 견해125 3.1.4. 현대 한국어 사이시옷의 형태소성128 3.1.5. 사이시옷의 유형론적 검토 가능성133 3.1.6. 사이시옷을 내재적으로 가지는 명사들136 3.2. 구성족의 관점에서 본 사잇소리 현상의 실현과 비실현140 3.2.1. 사이시옷의 개재에 따른 사잇소리 현상과 구성족140 3.2.2. 구성족과 합성어에서의 구성족 개념의 효용성143 3.2.3. 실험 및 결과 분석147 3.2.3.1. 실험의 설계 및 실험 방식147 3.2.3.2. 실험 결과의 분석151 3.2.3.2.1. ‘단독 설문’과 ‘상관 설문’에서의 평음, 경음 실현 양상151 3.2.3.2.2. 구성족에서의 목표 단어의 평음, 경음 실현 양상155 4. 인터넷 웹 검색을 통한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의 실태 4.1. 웹 검색 표기 실태 조사를 위한 대상 어휘의 선정175 4.1.1. 변수별 조사 대상 어휘의 규모176 4.1.1.1. 어종에 따른 조사 대상 어휘의 규모176 4.1.1.2. 음절 수에 따른 조사 대상 어휘의 규모177 4.1.1.3. 전문 용어 여부에 따른 조사 대상 어휘의 규모178 4.1.1.4. 구성 방식에 따른 조사 대상 어휘의 규모178 4.1.1.5. 사이시옷 발음에 따른 조사 대상 어휘의 규모179 4.1.2. 변수별 조사 대상 어휘의 목록180 4.1.2.1. 어종에 따른 조사 대상 어휘의 목록180 4.1.2.2. 음절 수에 따른 조사 대상 어휘의 목록184 4.1.2.3. 전문어에 따른 조사 대상 어휘의 목록187 4.1.2.4. 구성 요소에 따른 조사 대상 어휘의 목록188 4.1.2.5. 사이시옷의 발음에 따른 조사 대상 어휘의 목록191 4.1.2.6. 기타 조사 대상 어휘의 목록192 4.2. 조사 방법론196 4.3. 조사 결과 및 분석204 4.3.1. 어종에 따른 조사 결과 및 분석205 4.3.1.1. ‘고유어+고유어’의 사이시옷 표기 실태206 4.3.1.2. ‘고유어+한자어’의 사이시옷 표기 실태209 4.3.1.3. ‘한자어+고유어’의 사이시옷 표기 실태211 4.3.1.4. ‘한자어+한자어’의 사이시옷 표기 실태214 4.3.1.5. ‘외래어’가 선행 요소인 경우의 사이시옷 표기 실태215 4.3.2. 음절 수에 따른 조사 결과 및 분석217 4.3.2.1. 2음절어의 사이시옷 표기 결과217 4.3.2.2. 3음절어의 사이시옷 표기 결과218 4.3.2.2.1. 2음절어+ㅅ+1음절어219 4.3.2.2.2. 1음절어+ㅅ+2음절어220 4.3.2.3. 4음절어의 사이시옷 표기 결과222 4.3.2.3.1. 1음절어+ㅅ+3음절어222 4.3.2.3.2. 2음절어+ㅅ+2음절어223 4.3.2.3.3. 3음절어+ㅅ+1음절어224 4.3.2.4. 5음절 이상 어휘의 사이시옷 표기 결과225 4.3.2.4.1. 5음절어의 사이시옷 표기 결과225 4.3.2.4.2. 6음절어의 사이시옷 표기 결과227 4.3.3. 전문 용어 여부에 따른 조사 결과 및 분석229 4.3.4. 사이시옷의 발음에 따른 조사 결과 및 분석232 4.3.4.1. 뒷말이 된소리로 나는 경우의 사이시옷 표기 실태233 4.3.4.2. 뒷말의 첫소리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235 4.3.4.3. 뒷말의 첫소리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237 4.4. 실태 조사에 대한 통계적 분석238 4.4.1. 통계 처리 방법 및 개요238 4.4.2. 통계 분석 결과240 4.4.2.1. 어종별 오류율 분석240 4.4.2.1.1. 어종별 오류율의 빈도 분포240 4.4.2.1.2. 어종별 오류율의 중간값242 4.4.2.1.3. 어종별 사용 빈도와 오류율의 상관관계243 4.4.2.2. 발음에 따른 오류율 분석244 4.4.2.3. 어종에 따른 연도별 오류율 추이247 5. 설문 조사를 통한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의 실태 5.1. 설문 조사를 통한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 실태 조사의 필요성249 5.2.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일반인 실태 조사252 5.2.1. 조사 개요252 5.2.2. 주요 연구 문제 및 어휘 선정 변수253 5.2.2.1. 주요 연구 문제253 5.2.2.2. 어휘 선정 변수256 5.2.3. 조사 대상 어휘의 선정257 5.2.3.1. 사전 등재 여부가 사이시옷 표기에 영향을 미치는가258 5.2.3.1.1. ‘3음절/된소리/고유어+고유어’ 어휘의 선정259 5.2.3.1.2. ‘3음절/된소리/고유어+한자어’ 어휘의 선정260 5.2.3.1.3. ‘3음절/된소리/한자어+고유어’ 어휘의 선정260 5.2.3.1.4. ‘3음절/ㄴ(ㄴ) 소리/고유어+고유어’ 어휘의 선정261 5.2.3.1.5. ‘3음절/ㄴ(ㄴ) 소리/한자어+고유어’ 어휘의 선정262 5.2.3.1.6. ‘4음절/된소리/고유어+고유어’ 어휘의 선정262 5.2.3.1.7. ‘4음절/된소리/고유어+한자어’ 어휘의 선정263 5.2.3.1.8. ‘4음절/된소리/한자어+고유어’ 어휘의 선정264 5.2.3.2. 전문 용어 여부가 사이시옷 표기에 영향을 미치는가265 5.2.3.3. 음절 수가 사이시옷 표기에 영향을 미치는가268 5.2.3.3.1. 음절별 ‘된소리/고유어+고유어’ 어휘의 선정269 5.2.3.3.2. 음절별 ‘된소리/고유어+한자어’ 어휘의 선정270 5.2.3.3.3. 음절별 ‘된소리/한자어+고유어’ 어휘의 선정271 5.2.3.4. 사이시옷 관련 표기 규정의 한자어 예외 조항은 정착되었는가273 5.2.3.5. 외래어 혼종어의 사이시옷 표기 양상은 어떠한가273 5.2.3.6. 사잇소리 발음 여부는 사이시옷 표기에 영향을 미치는가274 5.2.4. 설문 문항 개발276 5.2.4.1. 설문에 대한 소개278 5.2.4.2. 사이시옷 관련 어휘의 발음278 5.2.4.3. 사잇소리 관련 어휘의 표기281 5.2.4.4. 기타(규정에 대한 관심도)283 5.2.5. 일반인 설문 조사 방법론284 5.2.5.1. 일반인 조사 설계의 주안점284 5.2.5.2. 일반인 설문 조사 표본285 5.2.5.3. CAWI 조사 전체 흐름도288 5.2.5.4. 설문 응답률 제고 방안289 5.2.5.5. 조사의 객관성 및 신뢰도 향상 방안290 5.2.5.6. 자료 처리291 5.3. 전문 용어의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전문가 조사291 5.3.1. 조사 개요291 5.3.1.1. 조사 목적 및 조사 내용291 5.3.1.2. 조사 방법292 5.3.2. 조사 대상 어휘 선정294 5.3.3. 설문 문항 개발299 5.4. 실태 조사 결과 및 분석307 5.4.1. 일반인 실태 조사 결과 및 분석307 5.4.1.1. 조사 결과 개요 및 통계 처리 방법307 5.4.1.1.1. 조사 결과 개요307 5.4.1.1.2. 통계 처리 방법308 5.4.1.2. 사잇소리 관련 어휘의 발음 및 표기 실태 조사 결과310 5.4.1.2.1. 사전 등재 여부에 따른 사이시옷 표기 실태310 5.4.1.2.2. 전문 용어 여부에 따른 사이시옷 표기 실태314 5.4.1.2.3. 음절 수에 따른 사이시옷 표기 실태317 5.4.1.2.4. 사잇소리 발음 여부에 따른 사이시옷 표기 실태329 5.4.1.2.5. 한자어 예외 조항의 정착과 관련한 사이시옷 표기 실태335 5.4.1.2.6. 외래어 혼종어의 사이시옷 표기 실태338 5.4.1.2.7. 어종 및 발음 변화의 유형에 따른 사이시옷 표기 실태339 5.4.1.2.8. 연령에 따른 사이시옷 표기 실태346 5.4.1.2.9. 사이시옷 표기의 선택 요인353 5.4.2. 전문가 조사 결과 및 분석355 5.4.2.1. 전체 조사 결과 개요355 5.4.2.2. 전문 용어와 일반 용어의 전문성 인식 차이 조사357 5.4.2.2.1. 수학 분야 전문가의 전문 용어와 일반 용어 전문성 인식 차이358 5.4.2.2.2. 과학 분야 전문가의 전문 용어와 일반 용어 전문성 인식 차이360 5.4.2.2.3. 전문가의 전문 용어와 일반 용어 전문성 인식 차이363 5.4.2.3. 전문 용어와 일반 용어의 사이시옷 표기 조사365 5.4.2.3.1. 전문가의 전문 용어와 일반 용어의 사이시옷 표기 실태365 5.4.2.3.2. 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372 5.4.2.4. 전문가의 사이시옷 관련 규정에 대한 인식 조사377 5.4.2.4.1. 규정에 대한 인지도377 5.4.2.4.2. 규정에 대한 수용도382 5.4.2.4.3. 사이시옷 관련 규정 수용도에 대한 인식385 6.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의 개선 방안 6.1. 국립국어원(2017)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 개선 방안389 6.1.1. 사이시옷 표기 규정 개선 방안389 6.1.1.1. 한자어 예외 규정 삭제389 6.1.1.2. 사이시옷 표기의 폐지391 6.1.1.3. 사이시옷 표기 축소393 6.1.1.4. 현행 규정 유지396 6.1.2. 사이시옷 규정 개선 방안 비교 및 검토397 6.1.3. 사이시옷 규정 개선을 위한 설문 조사399 6.1.3.1. 전문가 대상 설문 조사399 6.1.3.1.1. 설문 조사 개요399 6.1.3.1.2. 설문 조사 결과 분석400 6.1.3.2. 교사 대상 설문 조사422 6.1.3.2.1. 설문 조사 개요422 6.1.3.2.2. 설문 조사 결과 분석425 6.1.3.3. 전문가와 교사 대상 설문 조사 결과 비교443 6.1.3.3.1. 현행 사이시옷 개정의 필요성443 6.1.3.3.2. 사이시옷 규정 개선안의 타당성444 6.1.3.3.3. 사이시옷 규정 개선안의 적절성445 6.2. 국립국어원(2018)의 사이시옷 표기 개선 방향447 6.2.1. 국립국어원(2018)의 〈연구 문제〉와 사이시옷 표기 개선 방향448 6.2.2.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개선 방향451 6.2.2.1. 사이시옷 미표기에 대한 허용451 6.2.2.2. 사이시옷의 단계적 미표기456 6.2.2.2.1. 한자어가 포함된 어휘의 사이시옷 미표기456 6.2.2.2.2. 전면적인 사이시옷의 미표기461 7.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의 실태 조사와 개선안에 대한 평가 7.1. 국립국어원(2017)과 국립국어원(2018)의 실태 조사 평가467 7.1.1. 국립국어원(2017)의 실태 조사에 대한 평가467 7.1.2. 국립국어원(2018)의 실태 조사에 대한 평가479 7.2. 국립국어원(2017)과 국립국어원(2018)의 개선안 평가485 7.2.1. 국립국어원(2017)의 개선안에 대한 평가485 7.2.2. 국립국어원(2018)의 개선안에 대한 평가487 8.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과제와 전망 8.1.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과제491 8.2.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전망504
참고문헌 ㆍ 509
부록 〈부록 1〉 국립국어원(2017)의 실태 조사 어휘 총 목록 ㆍ 521 〈부록 2〉 국립국어원(2017)의 실태 조사 어휘별 결과(매체 통합) ㆍ 529 〈부록 2-1〉 국립국어원(2017)의 실태 조사 어휘별 결과(빈도순) ㆍ 545 〈부록 2-2〉 국립국어원(2017)의 실태 조사 어휘별 결과(비율순) ㆍ 561 〈부록 2-3〉 국립국어원(2017)의 실태 조사 어휘별 결과(가나다순) ㆍ 577 〈부록 2-4〉 국립국어원(2017)의 실태 조사 어휘별 결과(역순) ㆍ 593
찾아보기 ㆍ 609
이용현황보기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계량적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28034
411.1 -2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28035
411.1 -2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계량적 연구 이 책은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계량적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는 석사 학위 논문은 물론 박사 학위 논문의 주제로도 여러 번 채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주제로 한 소논문은 일일이 그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업적이 쌓여 있다. 이는 사잇소리 현상이나 사이시옷 표기가 매우 많은 쟁점을 가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이 책은 이 두 가지 문제 가운데 특히 사잇소리 현상이 표기로 드러나는 양상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사잇소리 현상이 사이시옷 표기와 관련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이는 이 두 가지가 어떤 점에서 상관관계가 있고 또 어떤 문제가 존재하는지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다음으로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규정이 어떤 변화의 과정을 겪었는지에 대해 관심을 기울였다. 다만 기존의 논의가 대부분 사이시옷 표기 규정 자체의 변천에만 관심을 기울인 반면 이 책에서는 사이시옷 표기 규정을 어문 규범의 변천 과정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미시적인 관점을 극복하고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지향점을 확인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 과정에서 사이시옷 표기 규정이 어문 규범 가운데 가장 많은 변동을 거쳤다는 사실을 부각하였다. 또한 북한의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변천 과정도 함께 살펴 그 차이와 공통점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