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책머리에

두 가지 스타일의 결혼식이 생기기까지_주영하
1. 두 가지 스타일의 결혼식
2. 1758년의 혼례 절차
3. 모던보이와 모던걸의 결혼식
4. 1969년 〈가정의례준칙〉과 그 이후의 새로운 혼례 규정
5. 결혼식의 맥도날드화

전통식 혼례의 존재 방식과 현재적 의미_양미경
1. 구식혼례의 소멸과 ‘전통혼례’의 등장
2. 21세기 전통식 혼례의 모습: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3. 전통식 혼례의 의례 절차: 지속과 변용
4. 전통식 혼례의 존재 방식: 상품화·규격화
5. 예식 참여자들과 전통식 혼례의 의미
6. 전통식 혼례의 전망

한국의 혼례복식: 욕망과 형식의 복합체_조희진
1. 현대식 혼례와 혼례복식의 조합: 두 가지 예식과 두 가지 복식
2. 현대식 혼례와 혼례복식의 재구성: 웨딩드레스와 한복의 혼효
3. 현대식 혼례와 혼례복식의 상품화: ‘스·드·메’ 패키지와 한복 대여
4. 혼례복식의 선택지 확대: 인식 변화와 정보 습득 통로의 다원화
5. 혼례복식의 의미 구획과 위상 변화: 필수적 낭비와 선택적 실용

한국 혼례음식에 융합된 전통과 현대_김혜숙
1. 혼례음식의 범위
2. 예식장 폐백과 폐백 음식
3. 이바지 음식과 큰상
4. 뷔페식으로 수렴된 피로연 음식
5. 혼례음식의 현재

‘작은 결혼식’의 대두와 변화: 대안의 모색과 실천_정헌목
1. 현대 한국의 혼례문화와 ‘작은 결혼식’의 대두
2. 현대식 혼례에 관한 연구 동향
3. 일반적인 예식 형태에의 순응
4. 획일적인 예식 형태를 넘어서
5. 예식의 탈정형화 추구가 갖는 의미

책을 마치며_양영균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두 가지 스타일의 한국 결혼식 : 전통과 현대의 이중주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42268 392.50951 -2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42269 392.50951 -2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48602 392.50951 -22-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오늘날 ‘결혼식’ 하면, 화려한 결혼예식장에서 서양식 예복을 입은 두 사람이 주례자 앞에서 본식을 치르고 난 뒤에 온돌방에서 한복을 입고 폐백을 드리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떠올릴 것이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이는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이 공존해 있는 묘하고 특이한 광경이다. 이러한 ‘동서양 결혼식 문화의 융합체’인 한국 결혼식은 19세기 말부터 서양식 생활 방식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문화적 진화를 거듭한 결과이다. 특히 한국의 결혼식 문화는 시대마다 그 의미가 많이 변화하였고, 점차 성스러운 의례라기보다 이벤트처럼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혼례는 한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치르는 일생의례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기에 지난 100여 년 사이에 정착된 한국 결혼식의 변화 양상과 형식, 혼례를 둘러싼 논의 과정과 결과, 혼례 복식과 음식 등 혼례와 관련된 중요 지점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그 의미를 분석한 이 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