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책을 내면서

1. 조선후기의 사회모순과 서구열강의 도전
1) 조선후기 사회의 모순
2) 조세수취체제의 문란
3) 서구열강의 도전

2. 출생과 가계, 그리고 유년시절
1) 해월 최시형의 가계
2) 해월 최시형의 유년시절
3) 검곡과 화전민 생활

3. 동학의 창명와 입도
1) 동학 창명의 시대적 배경
2) 수운 최제우
3) 동학의 창명과 배척
4) 해월 최시형의 동학 입도

4. 도통 전수와 동학의 최고책임자
1) 동학의 도통과 해월 최시형
2) 동학의 최고책임자

5. 도피와 은신으로 연명한 해월 최시형
1) 도피와 은신의 시작
2) 영양 일월산 윗대치와 동학의 재건
3) 적서차별 철폐의 강론

6. 이필제와 영해 영해교조신원운동
1) 영해의 동학 포교와 사회적 동향
2) 영해접주 박하선과 해월 최시형
3) 해월 최시형과 이필제
4) 교조신원과 영해부 습격

7. 태백산의 지하포교와 동학의 재건
1) 태백산 중으로 피신
2) 적조암 특별기도와 제도 정비
3) 해월 최시형의 개접

8. 동학의 사적(史籍)과 경전 간행
1) 동학의 사적 간행
2) 동학의 경전 간행

9. 해월 최시형의 위생인식
1) 악질에 대처하라
2) 위생의 생활화 도모

10. 신앙의 자유화를 위한 투쟁
1) 공주의 교조신원운동
2) 삼례의 교조신원운동
3) 광화문의 교조신원운동

11. 척양척왜의 깃발을 든 창의운동
1) 동학교단의 척왜양 인식
2) 보은 장내와 척왜양창의운동
3) 원평 금구의 척왜양창의운동

12. 해월 최시형과 동학 동학농민혁명
1)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인식
2) 동학 조직의 총기포령 발포

13. 해월 최시형의 체포, 그리고 순도
1) 체포령과 재연되는 도피와 은신
2) 해월 최시형의 피체
3) 서소문 감옥 수감과 최후
4) 처형지의 새로운 과제

14. 해월 최시형의 사상적 특성

15. 해월 최시형과 인물들
1) 해월 최시형과 수운 최제우
2) 해월 최시형과 의암 손병희

16. ‘동학 선생’으로서의 실천적 삶

17. 해월 최시형의 동학 리더십


부록 1. 해월 최시형 주요 법설
부록 2. 해월 최시형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해월 최시형 평전 : 새로운 세상을 실천한 최보따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44981 181.158092 -2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44982 181.158092 -2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50296 181.158092 -22-1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동학의 2세 교조로 1863년 8월 14일 동학의 최고책임자가 되어 36년간 도바리 생활을 해월 최시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흥미로운 일화들이 많다. 그 중의 하나가 ‘최보따리’이다. 최시형은 성리학 이데올로기의 조선에서 이단으로 지목을 받아 끝없이 잠행하면서 보따리를 어깨에 메고 다녔다. 그래서 제자들이 붙여준 별명이다. 또 하나의 별명이 있는데, ‘해월 선생’이었다. ‘선생’과 ‘보따리’ 두 별명은 상반되는 듯하지만, 해월 최시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모습이다. 선생의 이미지는 동학 지도자로써 보여준 다양한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다.
검곡에서 ‘만민평등’에 대해 처음으로 설교를 한 이래 천지부모(天地父母), 대인접물(待人接物), 경천(敬天)·경인(敬人)·경물(敬物)의 삼경설(三敬說), 부부화순(夫婦和順), 향아설위(向我設位), 이천식천(以天食天), 양천주(養天主), 내수도문(內修道文) 등 동학의 실천적 생활철학은 ‘선생’으로서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