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초기철기시대 태자하 중상류역 토착문화의 이문화 접촉과 반응 / 오강원
1. 머리말
2. 주요 유물·유적의 조사 현황
3. 토착집단의 이문화 접촉과 반응
4. 맺음말

점토대토기문화기 요동~서남한 지역 묘제의 전통과 변형 / 박진일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부장 토기의 검토
4. 점토대토기 등장기 묘제의 전통
5. 점토대토기 부장 묘제의 변형
6. 맺음말

묘제를 통해 본 점토대토기문화기 호남지역의 전통과 변형 - 만경강 유역을 중심으로 / 한수영
1. 머리말
2. 송국리형 무덤의 검토
3. 만경강 유역 송국리형 무덤의 양상
4. 만경강 유역 적석목관묘의 검토
5. 묘제의 전통과 변형
6. 맺음말

삼연 마구의 기원과 계통 / 김일규
1. 머리말
2. 중국 마구 문화의 형성과 전개
3. 동진-16국시대의 마구
4. 삼연 마구 문화의 성립과 계보
5. 맺음말

이문화의 접촉과 물질문화의 혼종 / 이성주
1. 머리말
2. 문제의 제기: 이주론의 부활
3. 한국 고고학의 계통론과 이주론
4. 이주·이동의 고고학적 재고
5. 접촉의 맥락과 혼종
6. 맺음말

이용현황보기

철기문화 수용 시기의 분묘와 매장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55961 950.1 -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55962 950.1 -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문화 지역으로 다른 집단이 이주·정착하게 될 때 원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이문화 집단과 기존의 토착인(토착집단)과의 접촉은 불가피하다. 이 경우 두 집단의 접촉은 필연적이며 상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 자연스럽게 물질문화 또는 개별적인 유물요소가 점차적으로 또는 급격하게 변한다. 그 결과는 기존 물질문화의 방향과 성격 등이 바뀌는 것으로 귀결된다. 따라서 과연 두 집단이 어떠한 상호작용 관계를 형성하였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특정 물질문화로 변동되었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동북아 초기 역사시대라 할 수 있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3세기까지의 기간을 중심으로, 문화 집단들 사이의 접촉에 의해 유발된 물질문화의 변동 과정을 여러 맥락에서 분석한다. 전국시대 연나라와 그 직후 진·한제국의 동진은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의 토착 사회들에게 이전에 겪어보지 않은 새로운 정치사회적 상황을 조성하였다. 바로 이 시기에 새로운 유형의 접촉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다양한 물질문화 현상의 발로되었음을 밝히는 것이 이 책의 출발점이며, 동북아 초기 역사시대 물질문화와 역사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