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한국보훈학회 국제보훈학술대회(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Studies)
개회사 / 양정훈
축사 / 민병두
축사 / 김종석
축사 / 장병완
축사 / 윤소하
축사 / 피우진
국제보훈 워크숍 기조연설(12.17, 러시아 극동연방대학교)
목차
제Ⅰ주제 : 연해주 애국지사들의 발자취(Footsteps of Patriots in Primorsky Krai) 30
주제 1. 1910년대 러시아 연해주지역 독립운동 : 1990~2010년대 한국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기술을 중심으로(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Primm"sky during the 1910s) / 최재성 32
1. 머리말 32
2. 러시아 한인사회 형성 34
3. 독립운동 37
4. 맺음말 48
토론문 1. / 오영달 51
토론문 2. / 양병진 54
주제 2. 위만주국시기 동만지역 일위특무조직과 특무 밀정들의 침략죄행 연구(Study on Aggressive Behaviors of Groups of Special Duty and Special Secret Agents in Eastern Manchia during Manzhouguo) / 고승룡 56
1. 들어가는말 57
2. 만주사변전 동만지역의 특무조직 그리고 특무 밀정들의 활동 58
3. 만주사변 후 동만지역 특무조직기구와 특무 밀정들의 활동 60
4. 결론 67
토론문 1. / 강우철 69
토론문 2. / 김재기 71
주제 3. 새로운 애국주의적 이데올로기 개발(Developing of the New Patriotic Ideology) : 한국 이주민 3세의 역할(on the Role of Three Centres of Korean Emigration) / TOLSTOKULAKOV Igor A. 72
토론 1. / 서영득[내용없음] 30
토론 2. / 타마라[내용없음] 30
주제 4. 무관심과 망각의 경계 : 블라디보스토크 지역 독립운동의 사적지(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Damaged Historic Site of the Patriots in Primorsky) / 김정훈 82
토론 1. / 남광규[내용없음] 30
토론 2. / 이강수[내용없음] 30
제Ⅱ주제 : 한인 디아스포라와 함께 하는 보훈외교(Patriots & Veterans Diplomacy with Korean Diaspora) 100
주제 5. 만주사변이전 북간도 민족교육운동과 그 사상적 연원에 대한 연구(A Study on the Ideas of National Education Movement in North Gando before the Manchurian Incident) / 김해영 104
Ⅰ. 머리말 104
Ⅱ. 북간도 민족교육운동의 대 전제 105
Ⅲ. 북간도 민족교육운동의 내용과 사상적 연원 117
Ⅳ. 맺음말 138
토론문 1. / 류영하 140
토론문 2. / 박영민 141
주제 6. 보훈을 통한 국제관계의 확장성(Expans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rough Veterans Affairs) : 보훈외교의 실천과 한인 디아스포라(Challenges and Prospects- Focusing on Korean Diaspora) / 유호근 142
Ⅰ. 들어가는 말 142
Ⅱ. 한국과 보훈외교 144
Ⅲ. 보훈의 대외적 확장성: 한인 디아스포라 148
Ⅳ. 맺음말 151
토론 1. / 김의식[내용없음] 100
토론 2. / 선종률[내용없음] 100
주제 7. 공공외교를 통한 연해주 한인 독립운동의 재조명(Re-examination of the Korean Independent Activist in the Primorsky through Public Diplomacy) :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를 중심으로(Centered on the Korean Diaspora) / 라미경 154
Ⅰ. 서론 154
Ⅱ. 공공외교와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의 이론적 논의 155
Ⅲ. 연해주 독립운동사 조명 160
Ⅳ. 공공외교를 통한 연해주 한인 독립운동 재조명 167
Ⅴ. 결론 171
참고문헌 173
토론문 1. / 김철수 175
토론문 2. / 이현주 179
주제 8. 남북화해 시대의 동아시아 보훈외교(East Asian Patriots & Veterans Diplomacy in the Period of Inter-Korean Reconciliation) / 김태완 182
Ⅰ. 들어가며 182
Ⅱ. 미중경쟁의 시대 190
Ⅲ. 마무리 : 남북화해와 보훈외교 196
첨부 : 그림 197
토론문 1. / 신미애 203
토론문 2. / 허동욱 206
주제 9. "CоВеТКИЙ ВЗГПЯД На ИСТоРИЮ ДВИЖеНИЯ ЗаНеЗаВИСИМоСТЬ КоРеИ" (The Soviet Perspective on Korea' s independence Movement" Presenter: Natalia Kavergina) / КаВеРЗИНа Н.П ; БЭК Енчжун 210
ПРопцые НауЧНые ИССпеДоВаНИЯ 210
БоРьба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КоРеИ В ПРИМоРСРСКоМ КРае В СССР 211
События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в СССР 1920-1945 гг. 216
토론 1. / 신은숙[내용없음] 100
토론 2. _북한학자[내용없음] 100
주제 10. The Soviet Perspective on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 Kaverzina N.P. ; Baek YoungJun 218
서론 218
본론 220
결론 227
참고문헌(Reference) 229
주제 10. 연해주지역 애국지사[내용없음] 100
토론 1. / 황미경[내용없음] 100
토론 2. / 이용자[내용없음] 100
판권기 23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856295 | 951.63 -22-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