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4

인사말(Foreword) / 최선주 5

I. 낯선 만남 8

1. 바다를 건너 온 사람들 25

칼럼 : 바다를 건너온 설화 속 이주인들 / 이현태 35

칼럼 : 앵무조개 잔 / 김종우 40

II. 스며 들다 46

1. 고조선으로 이주한 수많은 사람들, 그리고 위만 47

칼럼 : 만조선의 성립과 중국계 유이민 / 정인성 53

칼럼 : 연나라와 고조선, 그리고 삼한의 철기 / 김상민 56

2. 준왕의 남하와 삼한사회 61

칼럼 : 고조선 준왕(準王)의 남래(南來)와 삼한사회 / 박진일 71

3. 낙랑, 새로운 문화를 덧입히다 77

칼럼 : 낙랑군의 설치와 삼한 사회의 성장 - '낙랑군영향설'을 넘어 '내재적 발전론'으로 - / 정인성 85

III. 외연을 넓히다 88

1. 사람과 문화, 초원을 넘다 89

칼럼 : 삼한의 동물형 장신구와 금속제 복(鍑) / 이우섭 95

2. 고구려의 망명객들 99

칼럼 :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이는 서역계 요소들 / 강현숙 105

칼럼 : 고구려에서 새 삶을 찾은 사람들 - 낙랑·대방 2군 사람들 / 신광철 111

3. 교역으로 권력을 과시하다 117

칼럼 : 진·변한의 대중교역 / 이창희 123

4. 남해안 일대, 한일교섭의 거점으로 거듭나다 127

칼럼 : 아이 언로드(Iron Road)와 한반도의 저팬타운(Japan Town) / 이창희 137

칼럼 : 김해 회현리 패총 출토 야요이(彌生) 옹관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 윤태영 141

IV. 다양성을 말하다 146

1. 실크로드를 거쳐 온 문물 147

칼럼 : 고대 한반도 출토 서역계 유리 및 금속공예품 / 주경미 169

2. 백제, 대중국 교섭을 주도하다 177

칼럼 : 삼국시대 중국제 도자기의 반입과 배경 / 임혜빈 191

3. 삼국과 왜계(倭系) 문물 197

칼럼 : 삼국시대 한반도의 왜계 문물과 무덤 / 김도영 221

4. 통일신라, 다양한 문화와 공존하다 227

5. 새로운 사상이 들어오다 235

칼럼 : 새로운 사상의 전래와 영향 / 주경미 247

특별논고 254

고대 한반도의 외래인과 그 역할 / 전덕재 255

1. 중국계 외래인과 사회적 역할 255

2. 왜계 백제관료의 현황과 역할 257

3. 서역계 외래인의 내왕(來往)과 사회적 역할 258

4. 고대 한반도 외래인의 역할 260

참고문헌 260

고대 한반도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 / 권오영 261

1. 한국인과 한민족 261

2. 고대 한국과 주변 세계 262

3. 이주와 정착의 역사 263

4. 인간의 이동을 증명하는 물적 증거 264

5. 한국인의 과거와 현재, 미래 265

참고문헌 266

현대 한반도의 세계화, 이주 그리고 문화다양성 / 주윤정 267

I. 서론 267

II. 세계화와 이주, 문화혼종성 268

III. 세계시민주의와 문화다양성 274

IV. 결론 277

참고문헌 278

부록 280

도판목록 281

참고문헌 287

영문초록(ABSTRACT) 291

판권기 297

뒷표지 298

이용현황보기

(고대 한국의) 외래계 문물 : 다름이 만든 다양성 = Ancient Korean artifacts with origins abroad : diversity from difference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63079 951.09 -2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63080 951.09 -2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