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프롤로그
스포츠는 열정이다 - 4

Part 1 스포츠는 돈이다
1. 올림픽은 돈 마케팅의 정점이다
올림픽은 정말 돈이 될까? - 16 I 올림픽의 주인 IOC - 18 I 시간이 돈이 되는 전쟁터 - 25
2. 방송권 구매로 승부하는 스포츠 PD
스포츠 PD와 마케터는 다른 듯 닮은 꼴 - 28 I 사람들의 영원한 관심사를 끌어내는 프로모터 - 32 I 방송권 구매, 비즈니스 마인드를 장착하라! - 35 I 구매와 판매의 적절한 저울질 - 42
3. 돈이 되는 스포츠의 수익구조
광고와 협찬 따내기의 귀재들 - 47 I 돈이 되는 것은 다 잡아라! - 50
4. 빅 스포츠 이벤트에 숨은 돈을 찾아라
마이클 조던과 타이거 우즈 - 55 I 타이거 우즈 대회 기획 - 57 I 빅 스포츠 이벤트에 숨겨진 돈 이야기- 59

Part 2 스포츠 방송을 알면 돈이 보인다
1. 디렉팅에 목숨을 거는 사람이 스포츠 PD
라이브의 황제 스포츠 PD - 66 I 스포츠 PD도 입봉을 한다 - 70
2. 스포츠 PD의 로망
스포츠 PD가 선호하는 인기 종목 - 74 I F1 - 77 I 바이애슬론 - 80 I 체조 종합 피드 - 82 I 골프 - 83 I 야구 - 88
3. 브랜드 이미지를 만드는 예고
스포츠에서 특히 중요한 예고 - 95 I 잘 만든 예고로 협찬도 받고 칭찬도 받 고 - 98
4. 테크니컬 아티스트라 불러다오
기술을 알아야 무시당하지 않는다 - 102 I 기술을 넘어 아트 - 104 I 기술을 모르면 제대로 시작도 못한다? - 106
5. 스포츠의 혁명 LSM의 등장
LSM을 모르는 PD는 낙오된다 - 110 I 아이디어를 실현시키는 LSM - 112
6. 스포츠 PD의 가늠자, 슬로비디오
스포츠 방송의 백미, 슬로비디오 - 115 I ‘무엇을, 어떻게’의 예술 - 117


Part 3 스포츠 ‘쩐의 전쟁’
1. 해설자 전쟁 - 섭외가 전부다
쩐의 전쟁 - 122 I 월드컵은 해설자 전쟁터 - 124 I 프랑스월드컵 스타 해설자 신문선 - 126 I 차붐에서 축구 해설자로. 차범근 - 128 I 춘추전국시대 개막 - 131 I 도쿄올림픽 해설자 전쟁 - 135
2. 캐스터 전쟁 - 스타 캐스터의 탄생
중계방송의 코어, 캐스터 - 142 I 여백의 미를 살리는 한명재 - 143 I 최고의 캐스터 송인득 - 145 I 예능과 스포츠를 넘나들며 전성기를 누리는 김성주 - 150 I 좋은 캐스터가 되기 위한 조건 - 155 I 캐스터의 프리 선언, 그 전쟁의 서막 - 157
3. 올림픽 시청률 전쟁 - 숨막히는 성적표를 향해 달리다
올림픽 기획의 시작은 콘셉트 잡기 - 160 I ‘나가수’와 ‘소녀시대’의 올림픽 출전? - 166 I 올림픽 시청률에 울고 웃는 방송사 - 172 I 올림픽 시청률의 비밀 - 174
4. 월드컵 전쟁 - 방송권 전쟁의 시작
월드컵 시청률의 역사 - 177 I 30일의 월드컵 마케팅 - 179 I 월드컵의 분신, 코카콜라 - 181 I 돈의 논리로 변화하는 월드컵 출전국 - 184
5. 방송권 전쟁 - OTT의 습격
지상파 삼국시대 & 그 틈을 노린 IB - 187 I 지상파 3사는 종이호랑이? - 189 I 에이클라의 방송권 사재기 - 192 I 쿠팡은 왜 올림픽 방송을 욕심냈을까 - 196

Part 4 스포츠 마케팅의 힘은 곧 콘텐츠다
1. 해외 스포츠의 마케팅 성공 사례
월드컵이 최고의 성공 마케팅 - 204 I 월드컵의 빛과 그림자 - 206 I 최고의 스포츠가 최고의 마케팅 - 208 I 명예를 중시하느냐, 돈을 먼저 보느냐? - 212
2. 성공한 국내 스포츠 마케팅의 비결
국내 콘텐츠 No.1 KBO - 216 I 심폐소생이 필요한 프로축구 - 219 I 사라진 오빠 부대는 어디로 갔나 - 224 I 기업의 이미지를 되살리는 스포츠 이벤트 - 227 I 현재진행형인 PBA 투어 - 229
3. 4차 산업 시대에 변화하는 스포츠 마케팅
온라인의 대항해 시대를 맞아 - 233 I 스포츠 마케팅으로 MZ세대 공략하기 - 236
4. 방송 프로그램은 사업화가 가능할까?
그리운 MBC청룡, 신세계(SSG)의 야구단 인수 - 240 I 방송 프로그램으로 사업화가 가능할까? - 246 I 콘텐츠만이 유일한 살길이고 미래 - 247
5. 나만의 콘텐츠 만들기 - 챔피언스트로피 골프대회
필요가 만들어낸 골프대회 - 250 I 대회의 윤곽 잡기 - 253 I 아이디어를 움직 이는 돈 - 스폰서 구하기 대작전 - 260 I 대회 호스트가 된 박인비 - 264 I 여자 라이더컵을 꿈꾸다 - '코리아 VS 월드' - 267

에필로그 - 270
참고문헌과 자료 - 272

이용현황보기

쿠팡은 왜 올림픽 방송을 욕심냈을까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64550 796.0698 -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64551 796.0698 -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05602 796.0698 -22-4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25년 동안 10번의 올림픽과 5번의 월드컵에 출전해
스포츠 방송 현장을 누볐던 스포츠PD
돈의 흐름을 읽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020 도쿄올림픽이 끝났다. 예기치 못한 코로나19로 1년이 연기된 올림픽. 개최 여부를 놓고 많은 뉴스들이 나왔지만 올림픽은 강행되었다. 결국 돈의 논리였다. 올림픽을 포함한 모든 스포츠 이벤트에는 어떤 돈의 논리가 숨어있을까? 25년간 스포츠 방송을 연출하며 방송권 구매와 각종 이벤트 기획을 담당했던 스포츠PD의 눈을 통해 대회 속의 숨은 돈 이야기가 펼쳐진다. 더불어 방송권과 시청률, 해설자까지 이어지는 방송가 쩐의 전쟁을 들려준다. 그 치열한 전투 속에서 깨달은 건, 결국 스포츠는 콘텐츠를 가진 자가 진정한 위너라는 것!

쿠팡은 왜 올림픽 방송을 욕심냈을까?
신세계는 왜 야구단을 인수했을까?
스포츠 마케팅의 힘은 결국 ‘콘텐츠’다


스포츠 PD를,
스포츠 캐스터를,
스포츠 마케터를 꿈꾸는
그리고 스포츠를 사랑하는 모든 독자분들을 향한 외침

“이제는 어떤 권리를 사서 방송하는 게 아니고 내가 그 권리를 만드는 사람이 되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198] ▷ 가입한 회원의 수가 중요해진 시대, 그들이 주는 데이터가 재산이 되는 시대다. 나스닥 상장까지 한 쿠팡이 못할 일은 이제 없어 보인다. 쿠팡뿐일까? 플랫폼보다 콘텐츠가 주인공이 된 세상에서 방송권 시장에 뛰어드는 업체는 앞으로도 더 많아질 것이다.
[P. 200] ▷ 이제는 어떤 권리를 사서 방송하는 게 아니고 내가 그 권리를 만드는 사람이 되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
[P. 46] ▷ 스포츠 피디는 좋은 이벤트를 발굴하고 구매해 프로그램으로 가공하여 시청자에게 판매하는 사람이다. 이제 정보는 넘쳐나는 세상이 됐다. 수많은 정보 속에서 사람들이 좋아하고 원하는 정보를 찾아서 보여주는 것, 그것이 기획력이다. 기획이 성공하려면 정보를 찾으려는 온오프라인의 발품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방송권 구매뿐만 아니라 매체별 재판매 전략을 잘 짜는 것도 스포츠 피디의 역할이다. 그 줄타기를 잘하고 타이밍을 기가 막히게 잡아내는 것이 그들의 역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