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 지식베이스 시범구축 및 안전관리 현업지원 = Pilot development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knowledge base and its application technologies for disaster management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울산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21
청구기호
363.34 -22-2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ii, 263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주요연구 ; 2021-04-02-01
재난안전분야 지식베이스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제어번호
MONO12022000022200
주기사항
연구책임자: 김도우
부록: 1. 감사원 재난안전분야 지적사항 ; 2. TBN 월간 재난연구소 인터뷰 대본 초안 ; 3. Future Safety Issue 언론보도 내역 외
참고문헌: p. 153-159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14

1.1. 지식베이스의 정의 14

1.2. 지식베이스의 연구 동향 16

1.2.1. 국내논문 16

1.2.2. 국외논문 19

1.2.3. 연구개발(R&D) 22

1.3. 연구 목표 및 범위 26

제2장 재난안전분야 지식베이스의 정보 체계 개발 30

2.1. 그간 수요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분야 지식베이스 지식분야 도출 30

2.2. 재난안전분야 지식베이스 구성 데이터 33

2.2.1. 뉴스데이터 33

2.2.2. 안전신문고 데이터 37

2.2.3. 국회 및 감사원 자료 40

2.2.4. 예산 데이터 46

2.2.5. 연구논문 47

2.2.6. 정책홍보 49

2.3. 재난안전분야 지식베이스 구성 정보의 계층적 구조 안 52

2.4. 재난안전분야 지식베이스 개발전략 54

2.4.1. 데이터 수집 전략 54

2.4.2. 정보 추출을 위해 필요한 텍스트 마이닝 및 기계학습 기술 목록 55

2.4.3. 재난안전분야 지식베이스 개발 및 활용 체계 59

제3장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분야 지식베이스 시범 구축 64

3.1. 뉴스데이터를 활용한 태풍 피해 사건정보 추출법 개발 64

3.1.1. 분석배경 64

3.1.2. 분석방법 64

3.1.3. 분석결과 71

3.1.4. 토의 86

3.2. 안전신문고 87

3.2.1. 분석배경 87

3.2.2. 분석결과 89

3.2.3. 토의 92

제4장 데이터 분석 기반 안전관리 현업지원 96

4.1. 재난안전예산 중점투자방향 96

4.1.1. 분석배경 96

4.1.2. 분석결과 97

4.1.3. 토의 98

4.2. 코로나19 안전신문고 분석 프로그램 개발 100

4.2.1. 개발배경 100

4.2.2. 개발내역 100

4.2.3. 토의 103

4.3. 월별 안전신문고 이슈 분석 104

4.3.1. 분석배경 104

4.3.2. 분석결과 104

4.3.3. 토의 128

4.4. 여름철 안전신문고 집중신고 기간 분석 129

4.4.1. 분석배경 129

4.4.2. 분석결과 129

4.4.3. 토의 137

4.5. 울산지역 안전부패 관련 언론분석 138

4.5.1. 분석배경 138

4.5.2. 분석결과 140

4.5.3. 토의 144

4.6. TBN 부산매거진 '월간' 재난안전연구소' 코너 운영 145

4.6.1. 기획배경 145

4.6.2. 주요내용 146

4.6.3. 토의 148

4.7. 미래안전이슈(Future Safety Issue) 발굴 149

4.7.1. 17호 "기후변화 대책의 효율적인 이행을 위한 미래전략" 주요내용 149

4.7.2. 18호 "시나리오로 본 우리 나라 미래 재난 전망" 주요내용 152

제5장 요약 및 토의 158

참고문헌 164

부록 172

부록 1. 감사원 재난안전분야 지적사항 174

부록 2. TBN 월간 재난연구소 인터뷰 대본 초안 223

부록 3. Future Safety Issue 언론보도 내역 262

부록 4. 월별 뉴스 및 SNS 분석 보고서분석 266

서지자료 275

REPORT DOCUMENTATION PAGE 276

판권기 277

표 1.1. 지식베이스 용어의 다양한 정의 15

표 1.2. 국내 지식베이스 관련 연구 동향 16

표 1.3. 지식베이스 관련 국외 논문 현황 19

표 1.4. 지식베이스 관련 정부R&D 과제 연구 현황 22

표 2.1. 그간 협업기관 데이터 분석 지원 내역 32

표 2.2. 30종 언론사명 33

표 2.3. 뉴스데이터 구성 요소 34

표 2.4. 최근 5년('17~3.~'21.10.) 30종 언론사별 생산 뉴스건수 36

표 2.5. 2021년 안전신문고 데이터 구성 37

표 2.6. 국회 재난안전 지적사항 예시 40

표 2.7. 감사원 재난안전 지적사항 현황 42

표 2.8. 사업 및 예산정보 데이터 속성정보 46

표 2.9. 사업 및 예산정보 데이터 예시 46

표 2.10. 재난유형별 연구논문 건수(기간 : 2000년~2021년) 48

표 2.11. 서울특별시, 경기도, 국토교통부의 재난안전 관련 정책홍보 내역 예시(2021년 7월~10월) 50

표 2.12. 데이터 유형별로 얻을 수 있는 분야별 정보 53

표 2.13. 지식베이스 구성 데이터 별 수집 방법(안) 54

표 2.14. 지식베이스를 구성하는 정보 추출을 위해 필요한 기술 목록 58

표 3.1. 역대 한반도 상륙태풍 정보 65

표 3.2. 17가지 태풍 피해 유형 분류 67

표 3.3. 동사형 술어와 명사형 술어의 형태소 구성 패턴 67

표 3.4. 태풍 피해 관련 동사형 술어 68

표 3.5. 태풍 피해 관련 명사형 술어 68

표 3.6. 태풍 피해 유형별 술어 분류 69

표 3.7. 피해대상, 피해장소, 시간 표현의 형태소 구성 패턴 70

표 3.8. 역대 한반도 상륙태풍별 태풍 피해 사건정보 추출 건수 72

표 3.9. 소분류별 태풍 피해 사건정보 추출 결과 예시 72

표 3.10. 294개 태풍 피해 취약시설물 리스트 82

표 3.11. 태풍 피해 취약시설물 군집분석 결과 84

표 3.12. 재난유형별 분류체계 87

표 3.1. 20201년 재난유형별 신고 건수 89

표 4.1. 과거 2년간 언론에 보도된 재난안전사업예산 피해유형별 뉴스 보도량 99

표 4.2. 안전신고 데이터 분류 체계(시설유형) 101

표 4.3. 4월 인천 연수구 안전신고 사례 105

표 4.4. 4월 용인시 안전신고 관련 학교 주변 위험 뉴스 사례 105

표 4.5. 4월 용인시 안전신고 사례 106

표 4.6. 4월 장수군 안전신고 사례 106

표 4.7. 5월 광주광역시 서구 안전신고 사례 107

표 4.8. 5월 안양시 안전신고 사례 107

표 4.9. 5월 안양시 안전신고 사례 108

표 4.10. 6월 발생한 광조 공사장 건물 붕괴 사고지점 주변 안전신고 사례 108

표 4.11. 6월 발생한 광주 공사자 건물 붕괴 사고지점 준변 안전사고 사례 109

표 4.12. 6월 서울 강동구 안전신고 사례 110

표 4.13. 6월 남양주시 안전신고 사례 110

표 4.14. 6월 양평군 안전신고 사례 111

표 4.15. 6월 발생한 건물 붕괴사고 관련 건물 용도별 붕괴위험 전국 안전신고 건수 111

표 4.16. 6월 발생한 건물 붕괴사고 관련 주거지역 건뭄ㄹ 붕괴 안전신고 사례 112

표 4.17. 7월 인천부평구 안전신고 사례 112

표 4.18. 7월 인천부평구 안전신고 관련 건설현장 뉴스사례 113

표 4.19. 7월 안양시 안전신고 사례 113

표 4.20. 7월 안양시 안전신고 관련 화기작업 뉴스사례 114

표 4.21. 7월 울진군 안전신고 사례 114

표 4.22. 7월 울진군 안전신고 관련 시선유도봉 뉴스사례 115

표 4.23. 7월 주요재난인 수해 관련 안전신고 건수 116

표 4.24. 7월 주요재난인 수해 관련 뉴스사례 116

표 4.25. 7월 주요재난인 수해 관련 안전신고 사례 117

표 4.26. 7월 전남지역 수해 관련 안전신고 건수 118

표 4.27. 7월 전남지역 수해 관련 안전신고 사례 118

표 4.28. 8월 인천 미추홀구 안전신고 사레 119

표 4.29. 8월 인천 미추홀구 안전신고 관련 악취 뉴스사례 120

표 4.30. 8월 홍천군 안전신고 사례 120

표 4.31. 8월 정읍시 안전신고 관련 태풍 오마이스 피해 뉴스사례 120

표 4.32. 8월 홍천군 안전신고 사례 121

표 4.33. 8월 홍천군 안전신고 관련 피서지 쓰레기 뉴스사례 121

표 4.34. 9월 주요이슈인 벌집 위험 관련 정책 및 언론동향 122

표 4.35. 9월 벌집 위험 안전신고 사례 122

표 4.36. 9월 주효이슈인 빈집 관련 정책 및 언론동향 122

표 4.37. 9월 빈집 관련 안전신고 사례 123

표 4.38. 9월 주요이슈인 이륜차 관련 정책 및 언론동향 123

표 4.39. 9월 이륜차 관련 안전신고 사례 124

표 4.40. 9월 주요이슈인 전동킥보드 관련 정책 및 언론동향 124

표 4.41. 9월 전동킥보드 관련 안전신고 사례 124

표 4.42. 10월 주요이슈인 해제공사 현장 관련 정책 및 언론동향 125

표 4.43. 10월 해체공사 현장 관련 안전신고 사례 125

표 4.44. 10월 주요이슈인 등산사고 관련 정책 및 언론동향 126

표 4.45. 10월 등산사고 관련 안전신고 사례 126

표 4.46. 10월 주요이슈인 농기계사고 관련 정책 및 언론동향 127

표 4.47. 10월 농기계사고 관련 안전신고 사례 127

표 4.48. 10월 주요이슈인 화물차 불법증차 관련 정책 및 언론동향 128

표 4.49. 10월 화물차 불법증차 관련 안전시고 사례 128

표 4.50. 여름철 안전위험요인 집중 신고 테마별 신고 건수 130

표 4.51. 풍수해 중 침수·범람 관련 신고 건수 131

표 4.52. 풍수해 중 침수·범람 관련 신고내용 131

표 4.53. 풍수해 중 붕괴 관련 신고 건수 132

표 4.54. 풍수해 중 붕괴 과련 신고내용 132

표 4.55. 풍수해 중 생활 불편·위험 관련 신고 건수 133

표 4.56. 풍수해 중 생활 불편·위험 관련 신고내용 134

표 4.57. 수난사고 관련 신고 건수 134

표 4.58. 수난신고 관련 신고내용 135

표 4.59. 폭염 관련 신고 건수 135

표 4.60. 폭염 관련 신고내용 136

표 4.61. 분야별 시도 신고 건수 136

표 4.62. 2021년 울산광역시 안전 분야 반부패협의회 기관별 중점과제 목록 138

표 4.63. 안전 및 부패 관련 키워드 139

표 4.64. 사례 분류를 위해 사용된 키워드 140

표 4.65. 울산지역 전체 안전 분야 비리·부폐·불법 관련 뉴스 사례 140

표 4.66. 울산에 위치한 공단 관련 안전 분야 비라·부폐·불법 관련 뉴스 사례 143

표 4.67. 울산에 위치한 공사 관련 안전 분야 비리·부폐·불법 관련 뉴스 사례 144

표 4.68. 월간 재난안전연구소 코너에서 시기별로 소개된 위험 유형 148

표 4.69. 재난유형 TOP5에 대한 시나리오 154

그림 1.1. 연구 목표 및 구성 27

그림 2.1. 지난 4년간 현업기관으로부터의 분석요청 건수 30

그림 2.2. 뉴스데이터 구성 예시 34

그림 2.3. 연도별 전체 및 재난안전 관련 뉴스건수 비교 36

그림 2.4. 연도별 신고 건수 39

그림 2.5. 연도별 신고유형별 신고 건수 39

그림 2.6. EDS 웹사이트 47

그림 2.7. EDS에서 수집한 연구논문 데이터 형식 47

그림 2.8. 지방자치단체 정책홍보 보도자료 게시판 예시 49

그림 2.9. 재난안전분야 지식베이스 구축, 활용에 대한 개념도 및 개발 전략 61

그림 3.1. 태풍 피해 사건정보 추출 개념 예시 66

그림 3.2. 뉴스 내 태풍 피해 사건정보 예시 66

그림 3.3. 지역별 태풍 피해 사고유형 출현빈도 77

그림 3.4. 연도별 태풍 피해 사건정보 추출 건수 78

그림 3.5. 사고유형 분류별 과거 및 현재 사건정보 추출 건수 비율 78

그림 3.6. 월별 태풍 피해 사건정보 추출 건수 79

그림 3.7. 사고유형 대분류별 월별 사건정보 추출 건수 비율 79

그림 3.8. 계절별 태풍 피해 사건정보 추출 건수 81

그림 3.9. 사고유형 대분류별 계절별 사건정보 추출 건수 비율 81

그림 4.1. 재난안전예산 중점투자 피해유형 산정 방안 96

그림 4.2. 사회재난 피해유형별 언론 보도량 97

그림 4.3. 사회재난 및 안전신고 피해유형별 언론 보도량 98

그림 4.4. 안전신고 분석 도구 개발 방법 100

그림 4.5. 전월(3월) 대비 안전신고 증가 건수 105

그림 4.6. 전월(4월) 대비 안전신고 증가 건수 106

그림 4.7. 전월(5월) 대비 안전신고 증가 건수 109

그림 4.8. 6월 발생한 건물 붕괴사고 관련 주거지역 건물 붕괴 안전신고 주요 키워드 111

그림 4.9. 전월(6월) 대비 안전신고 증가 건수 112

그림 4.10. 7월 주요재난인 수해 관련 전월대비, 전년대비 안전신고 증가 건수 115

그림 4.11. 7월 전라남도 수해 관련 전월대비, 전년대비 안전신고 증가 건수 117

그림 4.12. 전월(7월) 대비 안전시고 증가 건수 119

그림 4.13. 여름철 집중 신고 테마별 과거3년평균 대비 증가량 130

그림 4.14. TBN 부산매거진 월간 재난안전연구소 라디오방송 145

그림 4.15. 뉴스 데이터를 활용한 시기별 주요 재난이슈 도출 절차 146

그림 4.16. 1월~12월(1990~2017년) 재난이슈 강도 147

그림 4.17. 기후변화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7개 분야 32개 요인 미래 중요도 전망 150

그림 4.18. 전문가들이 예상하는 위험성이 높아질 재난 Top5와 그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유형 151

그림 4.19. 자연재난, 사회재난, 안전신고 분야별 미래 위험도 순위 153

그림 4.20. 가까운 미래 우려되는 재난유형 TOP5 15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67235 363.34 -2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67236 363.34 -22-2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