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판권기 4

책을 펴내며 6

목차 8

01. 광주의 노블레스들 - 아름다운 나눔과 보듬의 공동체 / 이동순 13

머리말 13

광주의 사회운동단체들 16

궁민을 보듬은 단체와 사람들 19

나오면서 35

02. 근대 서양화의 도입과 광주 서양화단 / 김허경 39

1910년대 서양화의 도입 39

1920년대 광주·전남의 1세대 서양화가 46

광주·전남 일본 유학생의 활동 56

03. 도시화의 시대, 광주천과 사람들 / 박경섭 63

광주천으로부터 63

광주천 개발의 짧은 역사 : 일제강점기에서 1970년대까지 65

사진과 추억으로 남은 광주천 풍경 71

광주천 복개로 잊힌 지천들 75

동계천과 서방천 이야기 79

그린뉴딜과 광주천의 복원 83

참고한 자료와 문헌 89

04. 광주를 노래한 대중음악인들 / 주광 93

머리말 93

1950, 1960년대 광주 노래 94

1970, 1980, 1990년대 광주 노래 109

2000년대 이후 광주 노래 121

맺음말 125

05. 건축가 김태만 - 광주 근·현대건축을 어우르다 / 천득염 ; 김현숙 129

들어가며 129

생애 132

주요 작품 활동 137

공적 활동 149

마무리 152

참고문헌 및 자료 153

06. 1980년 전후 광주민중문화운동 - 광주·전남문화운동의 태동과 전개(1977~1987) / 전용호 157

광주·전남 문화운동의 태동 157

5월항쟁 선전활동의 선봉에 서다 164

확산되는 문화운동 170

참고문헌 179

07. 정근의 동요와 어린이문화운동 / 정철훈 183

들어가며 183

정근의 생애와 동요창작 배경 185

정근의 동요에 비친 시대상 203

정근과 방송동요 207

말년의 정근 211

나가며 213

08. 광주 판소리 전통과 명창 박동실 / 신은주 217

들어가는 말 217

광주의 판소리 전통 218

20세기 전반 광주의 대표 판소리 명창 박동실 230

나가는 말 : 오늘날 우리의 역할 240

09. 광주무용의 대모 박금자의 예술세계와 광주발레 / 박선희 245

들어가며 245

발레의 역사 247

박금자의 예술세계와 광주발레 250

10. 근대 도시 광주의 첫 시인, 김태오의 삶과 문학 / 이동순 265

어린이의 탄생과 소년운동 265

김태오와 어린이 잡지 『아희생활』 274

김태오의 문학과 광주의 풍경 277

김태오의 자리와 과오 289

뒷표지 292

이용현황보기

근현대 광주 사람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27959 951.984 -22-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27960 951.984 -22-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39038 951.984 -22-3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광주문화재단 ‘광주학 총서 1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기억할 만한 지역 인물들의 삶과 예술 담아


광주문화재단이 ‘광주학 총서 11’ 『근현대 광주 사람들』(심미안 刊)을 출간했다. 지난 2020년부터 최근 2년간 일제강점기부터 격변의 근현대사를 살아온 광주의 ‘사람들’과 ‘예술가’를 조망한 책이다.
지난해에는 “근현대 광주 사람들”을 테마로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을 실천해온 일제강점기 부자들에 대한 이야기, 광주의 서양화단을 개척해온 사람들과 화단의 역사, 급격한 도시화의 영향을 받았던 광주천과 주변 사람들, 광주를 노래한 대중음악가들, 그리고 근현대 광주 건축의 역사와 김태만의 건축세계 등을 온·오프라인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그리고 올해에는 “근현대 광주 예술가들”이라는 주제로 1980년대 전후 광주의 민중예술운동을 살펴보고, 아동 음악가 정근, 명창 박동실, 무용가 박금자, 시인 김태오를 차례로 조망하면서 광주 지역 출신 예술가들의 독보적인 활동과 작품을 소개하였다. 이 책은 그 결과물을 정리하여 모은 것이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관심은 곧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일과 다르지 않다. 광주문화재단은 지난 2015년부터 광주 지역의 정체성을 찾고 공동체 의식을 확장하기 위해 ‘광주학 콜로키움’을 진행해왔다. 첫해 6월 ‘광주학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를 시작으로 2018년까지 광주 고대사의 흔적들과 불교 및 백제유적, 광주천의 다리와 지명, 읍성과 광주 정신의 기원 등 광주 지역의 역사적 윤곽을 그려왔다.
‘광주학 총서’는 광주문화재단이 광주의 정체성을 추구하기 위해 지난 2012년부터 발간해 오고 있는 시리즈다. 이 책을 포함하여 ‘광주1백년 Ⅰ·Ⅱ·Ⅱ(저자 박선홍)’, ‘무등산(저자 박선홍)’, ‘광주산책 상·하(저자 김정호)’, ‘광주문학 100년(저자 이동순)’, ‘광주학의 기원과 역사 찾기(저자 김기곤 외)’ ‘정율성 음악세계와 현대성의 지평(저자 신정호 외)’ ‘광주 근현대미술의 주요 지점들(저자 장석원 외)’이 나왔다.
“하루가 멀다 하고 사라져가는 근현대 문화유산 중에서도 특히 인물자원은 누군가 기억하고 기록하지 않으면 잊히기 쉬운 무형의 자산이라는 점에서 이번 광주학 총서는 의미가 깊다.”(‘책을 펴내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