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학습상담의 개념 1. 학습상담의 정의 2. 학습상담의 목적과 내용 3. 학습상담의 서비스 방법
제2장 학업성취도와 학습자 개인 변인 1. 동기와 정서 요인 2. 인지 및 초인지 요인
제3장 학습자에게 영향을 주는 환경 변인 1. 가정환경 2. 학교환경 3. 제도적 환경
제2부 학습 문제의 진단과 평가
제4장 학습 문제의 분류 1. 학습 문제 이해의 필요성 2. 학습 호소 문제와 원인 3. 학습 문제의 분류 4. 사례로 보는 학습 문제
제5장 학습상담에서 심리검사의 이해와 활용 1. 심리검사의 기초 2. 학습상담을 위한 심리검사 3. 학습문제의 평가 및 진단 절차 4. 학습상담에서 심리검사의 활용
제3부 학습상담의 실제
제6장 학습동기의 관리와 향상 1. 학습동기의 개념과 이론 2. 학습동기의 변화를 위한 진단과 평가: 체제 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3.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학습 목표 관리·조정 방안 4. 학습 자기개념의 재구성을 통한 학습동기의 향상 5. 시험 결과와 좌절대처를 통한 학습동기의 향상 6.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의 실례
제7장 주의집중 능력의 향상 1. 주의집중의 개념 2. 주의집중 문제의 원인 3. 주의집중 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4. 주의집중 향상 전략
제8장 인지 및 초인지 전략 1. 인지 및 초인지 전략의 개념 2. PQ4R의 훈련 3. 인지 및 초인지의 활용 전략 프로그램
제9장 시간 계획 및 관리 향상 1. 시간 계획 및 관리의 개념 2. 시간 계획 및 관리 문제의 유형과 진단 3. 시간 계획 및 관리 능력의 향상
제10장 학습을 위한 생활관리 1. 학습과 음식 2. 학습과 운동 3. 학습과 수면 4. 학습과 음악
제4부 특수 장면과 특수 대상 학습상담
제11장 시험 준비 행동의 효율성 증진 1. 시험 준비 행동의 개념 2. 시험 준비 행동의 유형 3. 시험 준비 행동 개선 및 효과적인 시험 준비
제12장 평가불안 1. 시험불안 2. 발표불안
제13장 특별한 학생에 대한 학습상담 1. 영재의 학습상담 2.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상담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학습상담 = Counseling and consulting for learning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