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1월 16일생 / 배명은 -- 산이 있었다 / 서계수 -- 창백한 눈송이들 / 전혜진 -- 주인 잃은 혼례복 / 김청귤 -- 시간의 거품 / 이하진 -- 풀각시 / 김이삭 -- 제목 미정 / 코코아드림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1월 16일생(배명은) 산이 있었다(서계수) 창백한 눈송이들(전혜진) 주인 잃은 혼례복(김청귤) 시간의 거품(이하진) 풀각시(김이삭) 제목 미정(코코아드림)
이용현황보기
귀신이 오는 밤 : 귀신날 호러 단편선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69238
811.33 -22-58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69239
811.33 -22-58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음력 1월 16일 한국의 핼러윈 귀신날, 우리의 귀신들이 모이는 밤 호러적 상상력으로 꿈틀대는 일곱 명 장르 작가들이 한 권의 앤솔러지에 모였다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매해 음력 1월 16일은 한국의 세시풍속 중 하나로 이날은 일을 하거나 남의 집에 가면 귀신이 따른다고 믿고 바깥출입을 삼가고 집에서 쉬며 액운을 막기 위한 풍습을 행했다. 한국의 핼러윈이라고도 불릴 만한 이 귀신날을 소재로, 바로 지금 장르 소설계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신인과 기성 작가들이 각자 깊은 내면에서 이끌어낸 공포의 단편들을 선보인다. 실제 전승되는 설화를 소재로 한 이야기에서부터 어두운 이 사회의 이면과 가장 가까운 내 이웃의 이야기까지, 변화무쌍하고 으스스한 귀신날 그 하룻밤의 공포 속으로 초대한다.
▶ 1월 16일생 (배명은) 시골의 고향집을 오랜만에 다시 찾은 정월대보름날, 여동생의 한없이 수척해진 모습에 걱정이 되던 것도 잠시, 나는 누군가의 죽음으로 어두운 분위기가 깃든 동네와 집 안의 음식을 훔쳐 먹는 괴이한 사내를 보고 기겁한다. 나중에라도 동생을 해꼬지할까 두려워 도망치던 사내를 필사적으로 쫓던 나를 기다리는 것은….
▶ 산이 있었다 (서계수) 몰락한 마을에서 한 여인의 집에 기거하게 된 나는 마을의 거대한 공터가 사실은 산이었다는 여인의 말을 듣고 비웃는다. 따분한 밤의 재미거리나 될까 하여 가만히 듣던 나는 귀신날 당시 산이 일어나 마을을 짓밟아 버렸다는 이야기에 흥미가 돋기 시작한다.
▶ 창백한 눈송이들 (전혜진) 여군으로 입대한 유진은 부대 도착 후 한 여자의 시선을 느끼지만 동료들은 유진의 목격담을 무시할 뿐 아니라 귀신을 본다며 그녀를 따돌리기까지 한다. 자신의 시선에만 잡히는 여자와 그녀에 얽힌 비밀은 무엇일까.
▶ 주인 잃은 혼례복 (김청귤) 다정하고 우아한 아씨가 아니었다면 몸종인 나의 삶이 이리 아름답게 느껴질 수 있었을까. 아씨에 대한 사랑은 깊어가지만 아씨도, 나도 원치 않은 혼인을 해야 할 처지가 되고 두 사람은 독녀촌으로 함께 떠날 결심을 하지만….
▶ 시간의 거품 (이하진) 기존의 빛과 판이한 성질을 가진 ‘새로운 빛’이 사람들에게 나타나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이를 ‘거품’이라 부르다가 곧 ‘귀신’이라 일컫기 시작했다. 다른 세상의 자신을 보여 주는 듯한 수십 개의 거품들에 사람들은 어느 정도 익숙해졌지만, 거품이 죽음을 이끈다는 사실이 점점 증명되면서 불안은 증폭된다.
▶ 풀각시 (김이삭) 집안의 비밀스러운 과거를 알지 못한 채 현재의 기억을 잃은 할머니를 할머니의 친정으로 모시고 간 나는 넓은 고택에서 알 수 없는 찝찝함을 느낀다. 손으로 매어 만든 풀각시를 놓지 않는 할머니와 부적을 붙인 채 사당 깊은 바닥에 묻혀 있는 나무 상자. 할머니가 헤매는 기억은 어디쯤의 것일까.
▶ 제목 미정 (코코아드림) 졸업 논문용 단편 다큐를 찍어야 하는 은재는 소재를 구하지 못해 난관에 부딪힌 후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에 조언을 구한다. 연락이 닿은 제보자는 시간과 공간이 뒤얽힌 고등학교에 관한 실화를 천천히 들려주기 시작하는데….
책속에서
“을씨년스런 분위기가 남아 있는 곳에 더는 머물고 싶지 않아 걸음을 옮길 때였다. 바람에 흔들리던 나무 문이 끼이익 소리를 내며 반쯤 닫히다가 탁, 하고 무언가에 걸려 멈췄다. 자세히 보니 웃자란 풀 속에 사람의 맨발이 보였다. 소름이 돋았다. 신당에서 삐져나온 발엔 핏기라곤 없었다. 귓가에서 심장이 달음질치고 저도 모르게 뒷걸음질쳤다. 뻣뻣하게 굳은 다리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았다. 그때, 맨발이 움찔거렸다.” _「1월 16일생」 중에서
“본능적으로, 금산은 흠칫 몸을 떨었다. 들어선 안 되는 것을 들었다…. 보아선 안 되는 것을 보았다. 산을 타고 올라간, 겨울이라 누렇게 시든 담쟁이덩굴, 싱아 군락 따위라고 생각한 것들을 반석 같은 손이 툭 끊어냈고, 산은 몸을 일으켰다. 천천히, 혹은 빠르게. 금산으로선 알 수 없었다. 한 번도 산이 몸을 일으키는 모습을 본 적이 없었으므로.” _「산이 있었다」 중에서
“유진은 자기도 모르게 고개를 들었다. 사람이 죽으면서 자기 목숨을 걸고 고발하듯이 유서에 가해자들을 적어 놓아도, 처벌 같은 것은 없다고, 그냥 죽은 사람만 불쌍하다고 말하는 거야? 사관학교씩이나 나온 엘리트가 죽어도 그 짝이 나니까, 고등학교만 겨우 나온 나는, 그리고 내 친구들은 그냥 입을 다물고 참으라는 거야?” _「창백한 눈송이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