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발간사 4
Abstract 14
요약 16
제1장 서론 2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2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4
1. 연구 내용 24
2. 연구 방법 26
제2장 보건ㆍ복지 정책 및 연구 역사의 점검 28
제1절 보건의료 분야 주요 성과 31
1. 전국민 의료보험 조기정착을 위한 제도 설계(1970~1990년대) 31
2. 생활밀착형 건강사업을 위한 지역보건의료 제공체계 제안(1970~1980년대) 33
3. 한국의료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 설계(1970~2000년대) 34
4. 국민의 건강수명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사업 개발(건강증진개발원 설립 후 독립까지 지원)(1970~현재) 36
5. 공공의료를 활용한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과 격차 해소 지원(1980~2000년대) 37
6. 국민안전 제고를 위한 의약품ㆍ식품 정책 고도화(1980~2000년대) 38
7. 국민의 마음건강돌봄을 위한 정신건강정책 선도(2000~현재) 39
8. 여성과 아동의 건강권 보장정책 선도(2000년대) 41
9. 건강보험 통합과 발전을 위한 정책개발 선도(2000~2010년대) 42
10. 보편적 건강보장(UHC) 달성을 위한 근거자료 생산 및 정책개발 지원(2000~현재) 43
11. 미래 건강위기 감시ㆍ대응체계 구축 지원(2000~현재) 45
제2절 소득보장 분야 주요 성과 46
1.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기반 구축(1970~2010년대) 46
2. 한국의 체계적 사회보험제도 기틀 마련(1980~2000년대) 48
3. 국민연금 제도 도입 실무 작업과 제도개선(1980~1990년대) 49
4. 노인복지정책 체계 정립 및 정책기반 마련(1980~2000년대) 51
5.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설계(1990~2000년대) 53
6. 과학적 빈곤계측 방법 도입과 고도화(1990~현재) 55
7. 근로빈곤층 자활정책 수립 및 자립 지원 기반 마련(1990~2010년대) 57
8. 생애주기별 소득보장체계 구축과 정교화(1990~2010년대) 59
9. 기초보장제도 평가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빈곤정책의 건강성 확보(2000~현재) 61
10. 금융복지를 통한 취약계층 지원방안 마련(2000~2010년대) 63
11. 다차원적 불평등과 격차 해소를 위한 근거 기반 정책 개발(2000~현재) 64
12. 국민의 삶의 질과 행복 제고를 위한 정책 기반 구축(2000~현재) 66
13. 한국 소득보장제도 선진화 견인(2000~현재) 67
14. 맞춤형 기초보장제도 발전 방안 마련(2010년대) 69
제3절 사회서비스 분야 주요 성과 70
1. 공공복지 전달체계 개편 지원(1990~2010년대) 70
2. 사회서비스 정책화 과정의 파트너십 구축과 정책 설계 연구 선도(2000~2010년대) 72
3.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을 통한 지역중심의 서비스 공급체계 구축 지원(2000~현재) 73
4. 아동권리모니터링 센터 설립 및 아동권리보장 관련 제도화(1990~2000년대) 75
5. 아동보호체계 공공성 강화 연구 및 정책지원(2000~2010년대) 76
6. 장애인정책종합계획 수립과 평가를 통한 체계적인 장애인정책 수립 지원(2000~현재) 78
7. 장애인 자립생활 실현을 위한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설계(2000~2010년대) 79
8. 장애인복지인프라 개편 및 장애등급제 폐지(2000~2010년대) 81
제4절 인구ㆍ가족정책 분야 주요 성과 84
1. 경제개발기 인구 및 가족계획의 설계와 실시 84
2. 인구통계 분석과 전망 85
3. 저출산 사회 도래 예측과 국가적 의제 제안(1990년대) 86
4.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정책의 선도적 제안(2000년대) 87
5. 노인돌봄의 사회화를 위한 돌봄정책 설계(2000~2010년대) 88
6.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1~4차)(2000~현재) 90
7. 가족복지정책 체계 정립(2000년대) 91
제5절 정보ㆍ통계 분야 주요 성과 92
1. 보건ㆍ복지 분야 정책 지원을 위한 통계 개발 및 제공(1980~현재) 92
2. 보건ㆍ복지 분야 공공정보시스템 구축 기반 마련을 위한 정보화 계획 수립 및 평가(1980~2010년대) 94
3.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증거기반 연구 수행을 위한 양질의 보건ㆍ복지 정보 제공(1990~현재) 96
4. 국제기구 공표 통계의 신뢰성 및 정책 활용도 제고를 위한 보건ㆍ복지 국제통계 생산(1990~현재) 97
5. 보건ㆍ복지 정보센터 위탁 운영 및 정보관리 전담기관 설립 기획(2000~2010년대) 98
제6절 중장기 사회정책 분야 주요 성과 99
1. 북한 보건ㆍ복지 실태 파악 및 분석(1980~현재) 99
2. 보건ㆍ복지 국가장기발전 방향에 대한 기본 구상(1990~현재) 101
3. 한국형 복지국가와 포용국가 모형 개발(2010년대) 102
4. 사회보장재정 추계의 도입과 분석(2010~현재) 105
제7절 보건ㆍ복지 정책 발전과 정책연구의 기여 106
1. 건강보장 영역 106
2. 보건의료제공체계 112
3. 기초생활보장 118
4. 아동복지 123
5. 자녀양육 127
6. 노인복지 131
7. 장애인복지 137
8. 사회서비스 145
9. 공공복지 전달체계 147
제3장 전환기적 주요 이슈와 사회정책 대응: 해외사례 153
제1절 사회적 측면에서 본 팬데믹: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사회보장: 스웨덴 사례 154
1. 팬데믹과 예상치 못한 미래 154
2. '대침체(Great Recession)'의 교훈 155
3. 사회적 보호의 목표 156
4. 생애주기별 사회보장의 범의와 적정성: 스웨덴 사례 고찰 160
5. 팬데믹을 통한 스트레스 테스트 165
제2절 포스트 코로나19 뉴노멀 시대의 사회정책: 프랑스 사례 167
1. 디지털화된 지식기반 경제 168
2. 일자리 양극화, 업무 편향적 기술변화 169
3. 코로나 위기로 노동시장에서 드러난 양극화의 심화 170
4. 코로나19로 인한 한국 노동시장 영향: 양극화 심화 173
5. 뉴노멀(The New Normal) 177
6. 복지국가의 역할 179
7. 새로운 복지 체계 계획(The Scheme of a New Welfare System) 182
제3절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아동복지정책 추진과제: 노르웨이 사례 184
1. 노르웨이의 현황 185
2. 노르웨이와 코로나19 185
3. 팬데믹 발생 후 KINDknow의 선제 대응 187
4. 정책과제 191
제4절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비춰본 사회보장ㆍ보건의료 제도의 미래 도전과제: 독일 사례 194
1. 독일의 코로나19 팬데믹과 사회보장제도의 대응 194
2. 코로나19 위기가 미래 독일 사회보장제도에 주는 함의 201
3. 결론: 도전 과제 208
제5절 코로나19 이후의 사회 및 보건의료 정책과 정책연구기관의 역할: 핀란드 사례 208
1. 핀란드의 사회보장제도 210
2. 코로나19 관련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대책 211
3. 코로나19 정책과 국책연구기관(THL) 역할 213
4.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보건의료 및 사회정책 연구와 역할 변화 219
제6절 해외사례의 시사점 221
제4장 정책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책 방향 및 과제 논의 223
제1절 코로나19 위기상황을 통해 본 한국 보건ㆍ복지 역사의 강점 224
1. 보건 영역을 중심으로: 김용익(건강보험공단 이사장) 224
2. K방역의 강점과 대응 과제: 박능후(경기대학교 교수) 227
3. 21세기 도전과 복지개혁, 보편주의의 점검: 이혜경(연세대학교 명예교수) 228
4. 시민의 힘과 정부 대응력, 한국판 뉴딜정책: 조대엽(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231
5. 경제상황과 재정 정책을 중심으로: 최정표(한국개발연구원 원장) 233
제2절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래 사회정책 패러다임 재편 방향 234
1. 보건의료 정책을 중심으로: 김용익(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235
2. 사회보장ㆍ소득보장 정책을 중심으로: 박능후(경기대학교 교수) 237
3. 복지국가ㆍ사회서비스 정책을 중심으로: 이혜경(연세대학교 명예교수) 238
4. 고용 정책을 중심으로: 조대엽(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241
5. 재정 정책을 중심으로: 최정표(한국개발연구원 원장) 244
제3절 주요국 COVID-19 대응 사례를 통해 본 한국의 정책 과제 245
1. 코로나19 위기의 성격과 구조적 전환의 과제: 구인회(서울대학교 교수) 246
2. 코로나19 위기의 성격과 사각지대 긴급대응 정책: 이상은(숭실대학교 교수) 249
3.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보장의 과제: 박경숙(경기대학교 교수) 251
4.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보건정책 과제: 이의경(성균관대학교 교수) 254
5. 코로나19 대응상황 분석과 과제: 최병호(서울시립대학교 교수) 256
6. 노동-돌봄-젠더 이슈와 과제: 최은영(충북대학교 교수) 260
제4절 미래 보건ㆍ복지 정책을 위한 국책연구기관의 역할 265
1. 의견 1: 신영전(한양대학교 교수) 266
2. 의견 2: 김용하(순천향대학교 교수) 268
3. 의견 3: 황덕순(한국노동연구원 원장) 270
4. 의견 4: 이창곤(한겨레신문 선임기자) 272
5. 의견 5: 김미곤(세종시사회서비스원 원장) 275
제5장 결론 277
제1절 연구의 개요: 차별성 및 제한점 278
제2절 정책 제언 280
1. 한국 보건ㆍ복지정책의 발전과 연구 기여 종합 280
2. 디지털역사관의 개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컨텐츠 반영 결과 285
3. 보건ㆍ복지 정책 과제 종합 290
참고문헌 299
판권기 2
[그림 3-1-1] 균형 잡힌 세대간 복지계약-이상적인 배치형상 158
[그림 3-2-1] 거대 기술기업의 2020년 상반기 매출과 2019년 매출 비교 169
[그림 3-2-2] 평활화된 기술 백분위별 고용변화 1980-2005 170
[그림 3-2-3] 전산화 가능성과 고용 173
[그림 3-2-4] 서비스 및 비정규직 근로자 고용률 하락: 한국 174
[그림 3-2-5] 노동가능 연령 인구의 최고 수준 교육 성취도 178
[그림 3-2-6] 업무 그룹별 비중 및 변화 양상 179
[그림 3-3-1] 온라인 연구 컨퍼런스 Barnehageforskningskonferansen2020 메인화면 187
[그림 3-3-2] EX-PED-LAB(탐구 및 교육 혁신 연구소) 메인화면: 노르웨이 189
[그림 3-3-3] 원오션(One Ocean) 프로젝트 191
[그림 3-4-1] 독일의 월별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 추이 195
[그림 3-4-2] 독일의 실질 GDP 성장 및 노동규모 변화 추이 196
[그림 3-4-3] 독일 고용시장 및 연간 명목임금 변화 추이 197
[그림 3-4-4] 독일 연방정부 순융자 변화 추이 200
[그림 3-4-5] 유럽 주요 국가 GDP 대비 부채 비율(2018~2020) 201
[그림 3-4-6] 독일 공공의료보험기금 수입기반 및 자본수지 변화 추이 203
[그림 3-4-7] 입원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평균 부담금 204
[그림 3-4-8] OCED 주요 국가별 경제성장률 대비 공공의료 지출 비용 증가율 205
[그림 3-4-9] 항생제 시장에서의 시장집중도와 리베이트 계약 207
[그림 3-5-1] 핀란드의 사회보장제도 211
[그림 3-5-2] 핀란드의 코로나 맵 데이터베이스(Corona Map Database) 214
[그림 3-5-3] 코로나19 이후 다른 어려움이 있는 집단에서의 삶의 질 하락 수준 비교 216
[그림 4-3-1] 코로나19 대응의 성과지수(Lowy Institute): 한국, 대만, 영국, 독일, 프랑스 257
[그림 4-3-2] 코로나-19 Resilience Ranking (Bloomberg) 258
[그림 4-3-3] Response to Corona-19 vs. Risk Factors(EIU, 2020,6.9. 기준) 259
[그림 5-2-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디지털역사관 홈페이지 286
[그림 5-2-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디지털역사관 메뉴 구성도 287
[그림 5-2-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디지털역사관의 '기관 변천사' 및 '정책과 연구' 초기화면 288
[그림 5-2-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디지털역사관의 '기록물 아카이브' 및 'KIHASA 성과 50선' 초기화면 289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892568 | 361.61 -22-19 |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 이용제한 | |
0002892569 | 361.61 -22-19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국가전략정보센터 / 서가번호: 5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