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판권기 4

만든 사람들 5

연구 요약 6

목차 14

제I장 서론 2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2. 연구내용 23

가. 특수교육지원센터 기능 및 역할 관련 선행연구 분석 23

나. 전라북도 특수교육지원센터 현황 및 업무분석 23

다. 전라북도 특수교육지원센터 SWOT 분석 23

라. 전북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관한 설문조사 분석 23

마. 심층면담 분석 24

바. 활성화 방안 24

3. 연구방법 24

가. 문헌연구 24

나. 전문가협의회 24

다. 조사연구 24

라. 초점집단면담(FGI) 25

제II장 선행연구 28

1.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선행연구 동향 분석 28

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강경숙·최세민, 2009) 32

나.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효율화를 위한 현장 요구조사(국립특수교육원, 2010) 32

다.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현황 및 요구조사(구영희, 2010) 32

라. 특수교육지원센터 기능 역할에 따른 실태분석(이대조, 2010) 33

마.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방안 탐색: 센터 전담교사와 학교현장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핵심집단면담 연구(최재완, 2010) 33

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현황 및 개선방향(김태훈, 2011) 33

사.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전담인력 인식조사 연구(박성우·권택환, 2012) 34

아. 한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문헌들 검토(최나리·전선옥, 2017) 34

자. 특수교육지원센터 근무 기피요인과 지원요구 분석(송설희, 2018) 34

차. 경기도 특수교육 업무담당 장학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을 통해 살펴본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개선방안 연구(강은영 외, 2021) 35

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및 역할에 대한 실태 및 개선 요구 분석(서효정 외, 2021) 35

2. 소결 36

제III장 전라북도 특수교육지원센터 현황 및 업무분석 40

1. 전라북도 특수교육지원센터 기본 현황 40

가. 지역별 특수교육지원센터 지원 서비스 대상자 현황 40

나. 지역별 특수교육지원센터 인력 현황 42

2. 전라북도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분석 49

가. 전라북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 49

나. 전라북도 특수교육지원센터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업무분석 50

3. 소결 81

제IV장 전라북도 특수교육지원센터 SWOT 분석 86

1. SWOT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환경요인 분석 86

가. SWOT 분석의 개념 및 과정 86

2. 전북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SWOT 분석 결과 88

가. 강점(Strength) 요인 분석 88

나. 약점(Weakeness)요인 분석 90

다. 기회(Opportunity)요인 분석 93

라. 위협(Threat)요인 분석 96

마. SWOT분석을 통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98

3. 소결 100

제V장 전북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관한 설문조사 104

1. 전북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설문조사 및 분석방법 104

가. 조사도구 및 방법 104

나. 조사대상 104

다. 설문내용 104

라. 설문응답자의 배경 변인 105

2. 설문조사 분석 결과 107

가.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지원받고 있는 영역 107

나. 특수교육지원센터 기능에 대한 중요도(5가지) 108

다. 특수교육지원센터 기능수행 만족도 110

라.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인식 정도 111

마. 특수교육지원센터 근무에 관한 인식 정도 114

바. 특수교육지원센터 근무에서 어려운 점 117

사.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 117

3. 소결 118

제VI장 전라북도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에 대한 심층면담 분석 124

1. 심층면담 개요 124

2. 심층면담 결과 분석 125

가.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및 역할 인식과 요구 125

나. 지역규모 별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어려움 및 개선방안 135

다. 전북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 강화 143

3. 소결 147

제VII장 전라북도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방안 152

1. 도·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154

가. 전북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역사회 기반 운영 방향 정립 154

나.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업무 효율화 156

다.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 역량 강화 158

라.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근무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160

마.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에 대한 이해 확대 162

2. 지역규모별 활성화 방안 163

가. 도시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164

나. 중·소도시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165

다. 군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166

제VIII장 요약 및 정책제언 170

1. 요약 170

2. 정책제언 173

가. 특수교사 및 담당 장학사 174

나. 교육부 175

다. 전라남도교육청 177

라. 전북특수교육지원센터 178

마. 지역교육지원청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180

바. 전북교육청교육연수원 181

참고문헌 184

부록 188

뒷표지 194

표목차 16

〈표 II-1〉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선행연구 개요 29

〈표 III-1〉 전북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지원 서비스 대상 현황(특수교육대상학생 2021. 4.1, 치료지원학생 2021. 6.1. 기준) 41

〈표 III-2〉 지역별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 배치 현황(2021. 7. 30 기준) 42

〈표 III-3〉 지역별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육전문직원 경력 및 업무현황 43

〈표 III-4〉 지역별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경력 및 자격, 순회교육 시수 46

〈표 III-5〉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중요 역할 50

〈표 III-6〉 특수교육지원센터 직무별 책무에 대한 작업 52

〈표 III-7〉 특수교육지원 운영계획 담당자 현황분석 63

〈표 III-8〉 특수교육대상자 조기 발견 담당자 현황분석 64

〈표 III-9〉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선정·배치 담당자 현황분석 66

〈표 III-10〉 정보관리 담당자 현황분석 68

〈표 III-11〉 특수교육 연수 관련 담당자 현황분석 69

〈표 III-12〉 교수·학습활동지원 관련 담당자 현황분석 71

〈표 III-13〉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지원 담당자 현황분석 73

〈표 III-14〉 순회교육 등 통합교육지원 담당자 현황분석 76

〈표 III-15〉 장애학생 인권지원단 운영 담당자 현황분석 77

〈표 III-16〉 기타 관련 담당자 현황분석 78

〈표 III-17〉 장애거점화 특성지원 관련 담당자 현황분석 80

〈표 IV-1〉 SWOT 분석 전략 86

〈표 IV-2〉 SWOT 분석을 통한 전략과 그 내용 87

〈표 IV-3〉 지역별 특수교육지원센터 강점요인 88

〈표 IV-4〉 지역별 특수교육지원센터 약점요인 90

〈표 IV-5〉 지역별 특수교육지원센터 기회요인 93

〈표 IV-6〉 지역별 특수교육지원센터 위협요인 96

〈표 IV-7〉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100

〈표 V-1〉 설문조사 문항 내용 105

〈표 V-2〉 설문응답자 배경 105

〈표 V-3〉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지원받고 있는 영역(복수응답) 107

〈표 V-4〉 특수교육지원센터 기능에 대한 중요도 109

〈표 V-5〉 특수교육지원센터 기능 수행 만족도 111

〈표 V-6〉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인식 정도 113

〈표 V-7〉 특수교육지원센터 근무에 관한 인식 정도 115

〈표 V-8〉 특수교육지원센터 근무에서 어려운 점 117

〈표 V-9〉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 118

〈표 VI-1〉 연구 참여자 배경 정보 124

〈표 VI-2〉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및 역할 인식과 요구 125

〈표 VI-3〉 지역규모별 센터 운영의 어려움 및 개선방안 135

〈표 VI-4〉 전북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 강화 143

〈표 VII-1〉 분석별 중심내용 153

〈표 VII-2〉 도·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154

〈표 VII-3〉 전북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방향 정립을 위한 추진과제 154

〈표 VII-4〉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 효율화를 위한 추진과제 156

〈표 VII-5〉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 역량 강화를 위한 추진과제 158

〈표 VII-6〉 특수교육지원센터 근무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을 위한 추진과제 160

〈표 VII-7〉 타시도 특수교육지원센터 근무 인센티브 현황 161

〈표 VII-8〉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에 대한 이해 확대를 위한 추진과제 162

〈표 VII-9〉 지역규모별 활성화 방안 164

〈표 VII-10〉 도시지역 활성화 방안 164

〈표 VII-11〉 중·소도시지역 활성화 방안 165

〈표 VII-12〉 군지역 활성화 방안 166

〈표 VIII-1〉 주체별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과제 173

〈표 VIII-2〉 특수교사 및 담당 장학사 측면 운영 활성화 과제 174

〈표 VIII-3〉 교육부 측면 운영 활성화 과제 175

〈표 VIII-4〉 전북교육청 측면 운영 활성화 과제 177

〈표 VIII-5〉 전북특수교육지원센터 측면 운영 활성화 과제 178

〈표 VIII-6〉 지역교육청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측면 운영 활성화 추진과제 180

그림목차 18

[그림 III-1] 지역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운영 체계 49

이용현황보기

지역중심 맞춤형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80089 371.9 -22-3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