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3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1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4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38

제2장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현황 및 특성 41

1. 아프리카 보건의료 현황 42

가. 기대수명 42

나. 주요 질병부담 및 사망원인 44

다. 모자보건 59

2. 보건의료 거버넌스 63

가. 세계보건안전지수 63

나. 국제보건규약 69

3. 보건의료 전략 79

가. 국제사회 79

나. 아프리카 83

다. 중점협력국 85

라. 선진 공여국 및 공여기관 89

4. 소결 98

제3장 한국의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ODA 평가: 중점협력국을 중심으로 100

1. 한국의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ODA 전략 101

가.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101

나. 한국국제협력단(KOICA) 103

다. 수출입은행 116

라. 중점협력국별 지원전략(CPS) 117

2. 한국의 아프리카 보건의료 ODA 현황 및 주요 특징 121

가. 한국의 아프리카 보건의료 ODA 규모 및 비중 121

나. 원조 형태 및 유형 126

다. 클러스터별 지원 현황 및 국제적 비교 133

3. 한국의 아프리카 보건의료 ODA 사업 기획 평가: KOICA 사업을 중심으로 141

가. 평가 개요 141

나. 평가 내용 146

다. 종합평가 157

4. 소결 161

제4장 아프리카 중점협력국의 보건의료 ODA 수요 분석 163

1. 수요 분석 방법론 164

2. 보건 ODA 수요 분석 1: 의사결정나무 분석 방법의 적용 165

가. 분석 방법 165

나. 분석 결과 168

3. 보건 ODA 수요 분석 2: 텍스트 마이닝 방법의 적용 178

가. 분석 방법 178

나. 분석 결과 179

4. 소결: 향후 아프리카의 보건 ODA 수요 189

가. 세부영역별 보건 ODA 수요 189

나. 국가 유형별 보건 ODA 수요 190

다. 아프리카에 대한 보건 ODA 수요 요약 190

제5장 對아프리카 보건의료 ODA의 전략적 추진방안 192

1. 분석 결과 요약 및 전략적 추진 방향 도출 193

가. 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93

나. 우리나라의 전략적 협력 추진방안 214

2. 협력 분야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제고 242

가. 공공의료보험 시스템 지원과 연계 243

나. 민관협력사업 확대 252

3. ICT 기반 보건의료 개발협력 258

가. 모바일 진단과 정보 전달체계 261

나. 준실시간(Near real-time) 의료물품, 제약 공급망 관리 264

제6장 맺음말 267

참고문헌 276

[부록 1] 어젠다 2063의 세부 목표 299

[부록 2] 기획 평가 질문지 301

[부록 3] 코로나19 이후 보건의료 세부 분야별 서비스 붕괴 비율 304

Executive Summary 307

판권기 3

표목차

표 2-1. 아프리카 주요 5대 질병 및 발병 원인 48

표 2-2. GHS 지수의 하위분야 및 하위지표 64

표 2-3. IHR 핵심역량 및 평가영역 70

표 2-4. IHR 점수의 국별 변화 비교 79

표 2-5. 보건의료 관련 SDGs 목표 및 세부 목표 81

표 2-6. WHO 세계보건전략 2016-2021 83

표 2-7. AHS 2016-2030 목표 및 전략적 접근 방법 85

표 2-8. 5개 중점협력국 주요 보건전략 88

표 2-9. 국제보건안보구상(GHSA) 목표 및 우선순위 분야 92

표 2-10. 2012~16년 글로벌펀드 전략 프레임워크 목표 및 우선순위 분야 94

표 2-11. 2017~22년 글로벌펀드 전략 목표 및 우선순위 분야 95

표 2-12. 영국 공중보건국 국제보건전략 2014-2019 목표 및 우선순위 분야 96

표 3-1. KOICA 1, 2차 아프리카 협력전략 비교 106

표 3-2. KOICA 2010-2015 보건중기전략의 체계도 107

표 3-3. KOICA 2016-2020 보건중기전략의 체계도 108

표 3-4. KOICA 2016-2020 보건중기전략의 성과 프레임워크 109

표 3-5. KOICA 2016-2020 물 분야 중기전략 체계도 112

표 3-6. KOICA 2016-2020 물 분야 전략목표 1의 성과 프레임워크 113

표 3-7. 국별 주요 물 분야 개발 수요 114

표 3-8. ABC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116

표 3-9. 주요국의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지원 규모(2011~19년) 122

표 3-10. KOICA 멀티바이 사업 분야별 사업 규모 128

표 3-11. KOICA 멀티바이 지역별 비중 129

표 3-12. 5대 중점협력국 ODA의 전달 채널별 비중 130

표 3-13. 평가 대상 사업 클러스터링 143

표 4-1. SDGs 및 CRS 코드와 본 연구에서의 보건 ODA 지표 165

표 4-2. ODA 보건 수요 분석을 위해 선정된 지표 167

표 4-3. 변수들의 기초통계 168

표 4-4. 노드의 수 및 평균 173

표 4-5. 독립변수들의 중요도 174

표 4-6. 의사결정나무에 의한 국가 분류와 집단별 특징 177

표 4-7. 발생 단어들의 빈도 등 기초 통계 180

표 4-8. 아프리카에 대한 보건 ODA 수요 요약 191

표 5-1. 보건의료 사업에서의 위험요인 199

표 5-2. 2000년대 이후 아프리카 보건의료 관련 주요 선언 및 정책 203

표 5-3. 일차보건의료 종류별 차이점 205

표 5-4. 지역별 보편적 건강보장지수 207

표 5-5. SDGs 시행 전후 보건의료 강조 분야의 변화 210

표 5-6. WHO의 코호트 표적화 전략 211

표 5-7. 보건의료사업의 성공요인 215

표 5-8. UN SDGs 보건의료 분야 세부 목표 217

표 5-9. USAID의 우간다 협력전략(2016-2021) 매트릭스 220

표 5-10. 다자성 양자기금을 받는 기관 및 기금 종류 223

표 5-11. GHS 보건체계와 관련된 지표 229

표 5-12. 감염병 진단 및 감지에 대한 수요 236

표 5-13. WHO의 성과 연결고리에 따른 보건의료 핵심 지표 240

표 5-14. 아프리카 공공건강보험의 종류별 특징과 한계 246

표 5-15.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5개국의 건강보험체계 247

표 5-16. 보건의료 서비스 민관협력사업 주요 유형별 특성 255

표 5-17. ICT 기술을 이용한 보편적 보건의료 보장(UHC)의 주체별 이점 261

그림목차

그림 2-1. 2000년, 2019년 지역별 기대수명 44

그림 2-2. 2000년, 2019년 중점협력국 기대수명 44

그림 2-3. 2000년, 2019년 아프리카 주요 질병부담 47

그림 2-4. 2000년, 2019년 아프리카 주요 사망원인 47

그림 2-5. 2000년, 2019년 에티오피아 주요 질병부담 50

그림 2-6. 2000년, 2019년 에티오피아 주요 사망원인 51

그림 2-7. 2000년, 2019년 가나 주요 질병부담 52

그림 2-8. 2000년, 2019년 가나 주요 사망원인 53

그림 2-9. 2000년, 2019년 세네갈 주요 질병부담 54

그림 2-10. 2000년, 2019년 세네갈 주요 사망원인 55

그림 2-11. 2000년, 2019년 우간다 주요 질병부담 56

그림 2-12. 2000년, 2019년 우간다 주요 사망원인 56

그림 2-13. 2000년, 2019년 탄자니아 주요 질병부담 58

그림 2-14. 2000년, 2019년 탄자니아 주요 사망원인 58

그림 2-15. 1990년 세계 아동사망률 59

그림 2-16. 2019년 지역별 아동사망률 59

그림 2-17. 2000년 5개 중점협력국 아동사망률 60

그림 2-18. 2019년 5개 중점협력국 아동사망률 60

그림 2-19. 지역별 모성사망률 추이 62

그림 2-20. 5개 중점협력국 모성사망률 추이 62

그림 2-21. 2019년 지역별 GHS 종합지수 66

그림 2-22. 2019년 중점협력국 부문별 보건안전지수 66

그림 2-23. 2019년 지역별 GHS 종합지수 68

그림 2-24. 2019년 중점협력국 부문별 보건안전지수 68

그림 2-25. 지역별 IHR 핵심역량 평균점수 71

그림 2-26. 5개 중점협력국 IHR 핵심역량 평균점수 71

그림 2-27. 2010년, 2017년 에티오피아 분야별 IHR 핵심역량 점수 72

그림 2-28. 2010년, 2017년 가나 분야별 IHR 핵심역량 점수 73

그림 2-29. 2011년, 2017년 세네갈 분야별 IHR 핵심역량 점수 75

그림 2-30. 2010년, 2017년 우간다 분야별 IHR 핵심역량 점수 76

그림 2-31. 2011년, 2017년 탄자니아 분야별 IHR 핵심역량 점수 77

그림 3-1. 지역별 ODA 순지출액 비중(2010~19년) 102

그림 3-2. Hope with Africa의 주요 지원 분야 104

그림 3-3. DAC 회원국 및 한국의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ODA 지원 추이 123

그림 3-4. 한국의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유ㆍ무상 ODA 지원 추이 123

그림 3-5. 한국의 5개 중점협력국 보건의료 분야 ODA 지원 비율 124

그림 3-6. 한국의 5개 중점협력국 분야별 ODA 지원 규모 124

그림 3-7. CRS 코드에 따른 기관별 지원 현황(2011~19년) 126

그림 3-8. 5대 중점협력국의 전달 채널별 ODA 규모 비중(2011~19년) 131

그림 3-9. 5대 중점협력국의 유형별 지원 규모(2011~19년) 133

그림 3-10. 주요 국가 및 기관의 클러스터별 원조 지원 현황(2011~19년) 134

그림 3-11. 주요 국가 및 기관의 전달 채널별 '일반보건' 클러스터 지원 현황(2011~19년) 135

그림 3-12. 주요 국가 및 기관의 전달 채널별 '기초보건' 클러스터 지원 현황(2011~19년) 136

그림 3-13. 주요 국가 및 기관의 전달 채널별 '인구정책ㆍ시책 및 생식보건' 클러스터 지원 현황(2011~19년) 137

그림 3-14. 주요 국가 및 기관의 전달 채널별 '식수위생' 클러스터 지원 현황(2011~19년) 138

그림 3-15. 클러스터별 원조 유형 지원 현황(2011~19년) 139

그림 3-16. 클러스터별 적절성 평가 결과 147

그림 3-17. 클러스터별 효율성 평가 결과 149

그림 3-18. 클러스터별 효과성 평가 결과 152

그림 3-19. 클러스터별 지속가능성 평가 결과 154

그림 3-20. 클러스터별 일관성 평가 결과 156

그림 3-21. 클러스터별 평가 종합 결과 157

그림 4-1. 기대수명과 국가경쟁력의 관계 169

그림 4-2. 기대수명과 1인당 GDP의 관계 170

그림 4-3. 의사결정나무 분석 결과(전체) 171

그림 4-4. 의사결정나무 분석 결과(일부 확대) 172

그림 4-5. 독립변수들의 중요도(그래프) 174

그림 4-6. 영아사망률과 국가경쟁력의 관계 175

그림 4-7. 영아사망률과 기대수명의 관계 176

그림 4-8. 아프리카 보건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분석 180

그림 4-9. 보건 ODA 관련 주요 토픽 182

그림 4-10. 토픽 1: 병원시설 공급 183

그림 4-11. 토픽 2: 보건 거버넌스(자원관리 프레임워크) 구축 184

그림 4-12. 토픽 3: 감염병 치료 필요성 184

그림 4-13. 토픽 4: 보건서비스의 불균형 시정 185

그림 4-14. 토픽 5: 보건 거버넌스(정책역량) 강화 186

그림 4-15. 토픽 6: 산모/아동사망률 186

그림 4-16. 토픽 7: 보건위험의 상존 187

그림 4-17. 토픽 8: 지역사회 중심의 프로그램 및 훈련 187

그림 5-1. 코로나19 이후 대륙별 보건의료 서비스 붕괴 비율 195

그림 5-2. 전 세계 보편적 보건의료 서비스 접근성(2019년 기준) 206

그림 5-3. 중점협력국 5개국의 보편적 건강보장 서비스 역량 및 접근성 지수 208

그림 5-4. 에티오피아 보건의료 전달체계 213

그림 5-5. 모성사망이 발생하는 3가지 지연 모형 218

그림 5-6. USAID의 가나 DHS 자료 예시 221

그림 5-7. 세계 보편적 건강보장지수(2019년) 227

그림 5-8. 우리나라의 감염병 위기관리 종합체계 230

그림 5-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부문별 역할 분담 231

그림 5-10. WHO OneHealth Tool 플랫폼 239

그림 5-11. 국별 보건의료 지표 자료 수집 비율 242

그림 5-12. 보편적 건강보장 달성에 필요한 3가지 요소 243

그림 5-13. 국별 환자 본인부담금 비율(Out-of-pocket) 추이 244

그림 5-14. 2017~18년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보건의료비 부담 주체별 비율 245

그림 5-15. 지역사회 기반 건강보험의 단계별 특성 249

그림 5-16. OECD/DAC 부문별 보건의료 분야 공여 비율 253

그림 5-17. 민관협력사업에서 공공과 민간 참여 정도 257

그림 5-18. 노년층의 의료시설 접근 시간 분포 260

그림 5-19. 보건의료 데이터 통합 정도 262

그림 5-20. 개발도상국 의약품 공급 체인 265

그림 5-21. 지역사회 의약품 재고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일반적인 재고 관리 절차 265

부록표목차

부록 표 1-1. 어젠다 2063의 일곱 가지 염원(aspirations) 및 세부 목표 299

부록그림목차

부록 그림 3-1. 코로나19 이후 대륙별 모자보건 의료서비스 붕괴 비율 304

부록 그림 3-2. 코로나19 이후 대륙별 필수 백신 접종 서비스 붕괴 비율 304

부록 그림 3-3. 코로나19 이후 대륙별 감염병 의료서비스 붕괴 비율 305

부록 그림 3-4. 코로나19 이후 대륙별 비감염성 질환 의료서비스 붕괴 비율 305

부록 그림 3-5. 코로나19 이후 대륙별 정신질환 관련 의료서비스 붕괴 비율 306

부록 그림 3-6. 코로나19 이후 대륙별 소외 열대질병 관련 의료서비스 붕괴 비율 306

이용현황보기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16336 362.10425 -22-4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16337 362.10425 -22-4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