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24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4

1.2. 연구 범위 25

1.3. 연구 방법 27

1.4.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29

2. 이론적 배경 31

2.1. 자료보존관 운영체계 31

2.2. 보존서고와 자료운영체계 39

2.2.1. 보존서고 39

2.2.2. 보존서고의 장서관리 46

2.2.3. 보존환경 구성 49

2.2.4. 사전작업 공간 54

2.3. 스마트서고 55

2.3.1. ASRS 운영사례 57

2.3.2. ASRS 적용사례의 시사점 65

2.4. 디지털보존 68

2.4.1. 디지털보존의 개념 68

2.4.2. 디지털보존 관련 연구 및 운영 사례 69

2.4.3. 디지털보존 표준 참조모형 및 정보패키지 72

2.4.4. 디지털보존 솔루션 77

2.4.5. 디지털 포렌식 83

2.5. 데이터분석지원 87

2.5.1. 데이터분석의 개념 87

2.5.2. 데이터분석지원의 개념 및 필요성 88

2.5.3.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 스칼라십 서비스와의 연계 필요성 89

2.6. 문화ㆍ전시 서비스 90

2.6.1. 도서관과 문화전시 90

2.6.2. 문화전시의 유형 94

2.6.3. 체험전시 95

2.6.4. 전시에 활용되는 디지털 기술 97

2.6.5. 도서관과 디지털전시기술 활용 101

2.6.6./2.6.5. 지역사회 연계 및 협력 105

3. 국가문헌보존관 운영방향 112

3.1. 추진배경 및 현황 112

3.2. 대내외 환경분석 114

3.2.1. 내부 환경 114

3.2.2. 외부 환경 121

3.3. 국가문헌보존관 비전 및 추진전략 125

3.3.1. 사명 및 비전 126

3.3.2. 운영목표 및 추진전략 126

3.3.3. 주요추진과제 130

4. 국가문헌보존관 세부운영계획 131

4.1. 장서보존 132

4.2. 보존ㆍ복원 기능 155

4.3. 디지털보존 168

4.4. 데이터분석지 183

4.5. 문화ㆍ전시서비스 190

4.6. 확장 및 연계 서비스 운영계획 216

4.6.1. 통합온라인컬렉션 216

4.6.2. 특화 콘텐츠 패키지 서비스(가칭) 227

4.6.3. 가족사도서관(Family History Library) 237

4.6.4. 공동보존서고 252

4.7. 운영분야 중점 추진과제 261

4.7.1. 국가문헌보존관 자료보존체계 구축 262

4.7.2. 효율적인 장서 이관 및 재배치 264

4.7.3. 국가문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지털보존체계 구축 266

4.7.4. 국가적 보존복원지원체계 수립 268

4.7.5. 세대를 넘어 공감하는 문화전시서비스 구축 270

4.7.6. 미래형 스마트서고 구축 및 기술개발 272

5. 조직 및 인력 274

5.1. 조직구성 개요 274

5.2. 조직구조와 설계 원칙 274

5.2.1. 기본 방향 274

5.2.2. 기본 원칙 및 근거 기준 275

5.2.3. 기존 조직설계안 검토 276

5.3. 조직구성(안) 280

5.3.1. 조직구성 체계 280

5.3.2. 부서별 업무분장(안) 281

5.3.3. 인력배치 계획(안) 285

5.3.4. 유사기관 인력비교 308

6. 공간계획 311

6.1. 계획 방향 및 기준 311

6.1.1. 계획 방향 311

6.1.2. 계획 기준 311

6.2. 국ㆍ내외 사례조사 312

6.2.1. 해외 사례조사 313

6.2.2. 국내 사례조사 323

6.2.3. 사례조사 소결 325

6.2.4. 대통령기록관 현장조사 325

6.3. 보존서고 공간계획 328

6.3.1. 영역별 문제점 및 요구사항 328

6.3.2. 서고영역 공간 및 가구배치계획 329

6.4. 업무영역 공간계획 336

6.4.1. 보존복원영역(1층) 336

6.4.2.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3층, 직원영역) 340

6.4.3.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2층, 외주영역) 343

6.4.4. 사무영역(4층) 351

6.5. 서비스영역 공간계획 354

6.5.1. 이용자서비스영역(1층) 354

6.5.2. 식당영역 359

6.6. 환경설비 계획 364

6.6.1. 열 환경계획 364

6.6.2. 빛 환경계획 364

6.6.3. 습 환경계획 365

6.6.4. 기밀계획 365

6.6.5. 공조(환기) 설비계획 366

6.6.6. 신재생설비 계획 367

6.7. 2단계 사업 공간계획 제안 367

6.7.1. 2단계 사업 공간에 대한 건축개요 367

6.7.2. 강원도 문화&컨벤션 시설 현황 분석 367

6.7.3. 활용 가능 시설 제안 369

7. 정보시스템 구축 370

7.1. 국가문헌보존관 정보시스템 개요 370

7.1.1. 추진배경 370

7.1.2. 추진 내용 370

7.2. 국가문헌보존관 통합보존관리 시스템 구축 371

7.2.1. 자료 보존 시스템 372

7.2.2. 디지털보존 시스템 377

7.3. 국가문헌보존관 데이터분석 시스템 구축 387

7.3.1. 데이터 수집 및 관리체계 구축 387

7.3.2. 데이터 분석 및 활용체계 구축 391

7.4. 국가문헌보존관 온라인 플랫폼 구축 395

7.4.1. 자료보존 중심의 플랫폼 396

7.4.2. 데이터 활용 중심의 플랫폼 401

7.4.3. 국가문헌보존관 온라인 서비스 405

7.5. 국가문헌보존관 스마트 공간 구축 410

7.5.1. 스마트서고 구축 410

7.5.2.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공간 구축 415

7.6. 국가문헌보존관 정보 인프라 구축 425

7.6.1. 정보 인프라 구성 425

7.6.2. 전산실 구성 440

8. 사업별 예산계획안 446

8.1. 운영예산 446

8.2. 사업예산 454

8.3. 특별예산 455

8.3.1. 장서이관비 455

8.3.2. 개관행사비 457

8.4. 공간 예산 460

8.4.1. 서고영역 A안, 복층형 건축공사비 460

8.4.2. 식당영역 건축공사비 462

8.4.3. 이용자서비스영역 인테리어공사비 464

8.4.4. 영역별 가구구입비 467

8.4.5. 사업비 소결 476

8.5. 정보화예산 477

참고문헌 479

[부록 1] 조직 인력 계획 요약표 492

[부록 2] 국가문헌보존관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ISP 준비계획안 494

표목차

〈표 1〉 공동보존서고의 유형 31

〈표 2〉 영국국립도서관 자료보존관 32

〈표 3〉 미국의회도서관 자료보존관 개요 33

〈표 4〉 캐나다 국립도서관ㆍ기록관 가티노 보존센터 개요 35

〈표 5〉 간사이관 개요 36

〈표 6〉 국회도서관 자료보존관 개요 37

〈표 7〉 국내외 보존관 운영사례 요약표 38

〈표 8〉 보존서고 서가 유형. 윤희윤, 장덕현(2021)의 연구내용 요약 41

〈표 9〉 수동 및 자동 고밀집 서고의 비교(국회도서관, 2019, p.36) 42

〈표 10〉 수동 고밀집서가(HM) 수장 가능 장서량 검토 43

〈표 11〉 자동 고밀집서가(ASRS) m²당 수장 권수 44

〈표 12〉 자동 고밀집서가 수장가능 장서량 검토 44

〈표 13〉 수동 고밀집서가(HM) m²당 수장 권수 44

〈표 14〉 모듈에 따른 수장권수 종합 45

〈표 15〉 서고 규모 검토 종합 45

〈표 16〉 영구기록물 관리기관의 시설ㆍ장비 및 환경기준 50

〈표 17〉 특수기록관의 시설ㆍ장비 및 환경기준 51

〈표 18〉 캐나다 국립도서관 및 보존기록관 보존서고의 자료유형별 환경조건과 시설(국립중앙도서관, 2014) 52

〈표 19〉 호주국가기록관의 장기보존을 위한 가이드라인(Commonwealth of Australia, 2002) 53

〈표 20〉 ASRS를 구현하는 7가지 기술요소 57

〈표 21〉 디지털 정보 자원의 고유 특성(Brown 2013) 68

〈표 22〉 OAIS 기능 개체들의 역할(CCSDS, 2012) 75

〈표 23〉 무결성 검증 기법 비교(국가기록원, 2016; 유영문, 2020) 86

〈표 24〉 라키비움 구축 전략 92

〈표 25〉 전시 형태의 유형별 분류(박지수, 2019, p.7) 94

〈표 26〉 박물관 전시의 변화(강희수 등, 2017) 95

〈표 27〉 메타버스의 유형 정리(박수빈, 이현경, 2021) 100

〈표 28〉 평창군 공공도서관 현황 106

〈표 29〉 전국 및 강원도 공공도서관의 현황 비교: 1관 및 인구 1인당 통계(2020년 기준) 107

〈표 30〉 평창군 내 박물관 현황조사 107

〈표 31〉 평창지역 축제 행사 108

〈표 32〉 벤쿠버 동계올림픽 관광산업 육성 3단계 전략적 접근 방식 109

〈표 33〉 국가문헌보존관 추진 현황(KDI, 2021) 113

〈표 34〉 2020년 국립중앙도서관 이용객 현황(국립중앙도서관, 2021) 116

〈표 35〉 2020년 국립중앙도서관 자료 이용 현황(국립중앙도서관, 2021) 116

〈표 36〉 국립도서관 보존서고 현황(국립중앙도서관, 2021) 116

〈표 37〉 OASIS 수집 현황(국립중앙도서관, 2021) 119

〈표 38〉 도서관 데이터 구축 및 공개 현황(국립중앙도서관, 2021) 119

〈표 39〉 장서보존관리 업무 영역의 범주 132

〈표 40〉 도서관보존활동 스펙트럼(윤희윤, 2020, p.379) 133

〈표 41〉 자료보존의 업무 구성 134

〈표 42〉 영구기록관리기관의 시설ㆍ장비 및 환경기준(행정안전부, 2021) 140

〈표 43〉 호주국가기록관의 장기보존을 위한 가이드라인(Commonwealth of Australia, 2020) 140

〈표 44〉 장서 이전 단계별 상태 코드 검토 146

〈표 45〉 국립중앙도서관 전체 서고 현황(2021.05.31. 기준) 149

〈표 46〉 2018년말 기준 이관대상 매체별 자료량(국립중앙도서관, 2019) 150

〈표 47〉 2024년 장서이관 규모 산정 대안 150

〈표 48〉 국립중앙도서관 자료열람규정 151

〈표 49〉 목적에 따른 장서개발의 범위 152

〈표 50〉 국립중앙도서관 수탁 자료의 보관 및 활용에 관한 규정 155

〈표 51〉 종이류의 재질과 훼손도(국가기록원, n,d.) 157

〈표 52〉 시청각자료의 훼손도(KDI, 2021, p.67) 157

〈표 53〉 종이류의 손상요인(KDI, 2021, p.69) 159

〈표 54〉 시청각자료의 재질 160

〈표 55〉 국립중앙도서관 시청각자료 매체변환 대상 현황(2020.08 기준) 163

〈표 56〉 시청각자료의 상태 등급 165

〈표 57〉 시청각자료 디지털변환 파일 포맷(2020년 기준) 165

〈표 58〉 디지털콘텐츠 구축의 주요 업무 171

〈표 59〉 데이터콘텐츠 수집의 주요 업무 174

〈표 60〉 디지털콘텐츠 품질관리의 주요 업무 177

〈표 61〉 디지털콘텐츠 보존의 주요 업무 181

〈표 62〉 데이터분석 전략의 주요 업무 185

〈표 63〉 데이터분석 기술 및 구축의 주요 업무 188

〈표 64〉 2017~2021년 국립중앙도서관 전시현황 193

〈표 65〉 강원도 내 국공립 박물관 현황 198

〈표 66〉 강원도 내 전시관 현황 조사 199

〈표 67〉 문화전시 기능 수행 측면에서의 내부환경 SWOT 분석 200

〈표 68〉 저작권법 35조 관련 조항 201

〈표 69〉 문화전시서비스를 위한 외부 환경 분석 202

〈표 70〉 지역사회 연계 전략 수립 213

〈표 71〉 국외 유관기관 통합온라인컬렉션 특징 및 참고 사항 218

〈표 72〉 온라인컬렉션 초기 단계 주요 업무 및 내용 226

〈표 73〉 온라인컬렉션 중/장기 단계 주요 업무 및 내용 227

〈표 74〉 특화 콘텐츠 패키지 서비스 주요 업무 내용 237

〈표 75〉 족보자료서비스 기관 현황(2021.07 기준) 246

〈표 76〉 공동보존서고 운영 관련 국내 연구 주제 253

〈표 77〉 주요 해외 공동보존서고(강은영, 2018) 254

〈표 78〉 단계별 중점 추진 과제 선별 261

〈표 79〉 국가문헌보존관 자료보존체계 구축 관련 추진체계 263

〈표 80〉 국가문헌보존관 자료보존체계 구축 관련 추진일정 263

〈표 81〉 효율적인 장서 이관 및 재배치 관련 추진체계 265

〈표 82〉 효율적인 장서 이관 및 재배치 추진일정 265

〈표 83〉 국가문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지털보존체계 구축 관련 추진체계 267

〈표 84〉 국가문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지털보존체계 구축 관련 추진일정 267

〈표 85〉 국가적 보존복원지원체계 수립 추진체계 269

〈표 86〉 국가적 보존복원지원체계 수립 추진일정 269

〈표 87〉 세대를 넘어 공감하는 문화전시서비스 구축 추진체계 271

〈표 88〉 세대를 넘어 공감하는 문화전시서비스 구축 추진일정 271

〈표 89〉 미래형 스마트서고 구축 및 기술개발 추진체계 273

〈표 90〉 미래형 스마트서고 구축 및 기술개발 273

〈표 91〉 도서관법 제3장 19조(국가법령정보센터, n.d.) 275

〈표 92〉 기존 조직구성안 검토 표 278

〈표 93〉 기획관리과 담당주요업무 281

〈표 94〉 보존정책과 담당주요업무 282

〈표 95〉 자료복원과 담당주요업무 282

〈표 96〉 디지털보존과 담당주요업무 283

〈표 97〉 데이터분석지원과 담당주요업무 283

〈표 98〉 전시열람서비스과 담당주요업무 284

〈표 99〉 보존시스템과 담당주요업무 284

〈표 100〉 직급별 배치 요약 285

〈표 101〉 직군별 배치 요약 285

〈표 102〉 부서별 인력배치 292

〈표 103〉 기획관리과 주요 업무 및 업무량 294

〈표 104〉 보존정책과 주요 업무 및 업무량 296

〈표 105〉 자료복원과 주요 업무 및 업무량 298

〈표 106〉 디지털보존과 주요 업무 및 업무량 301

〈표 107〉 데이터분석지원과 주요 업무 및 업무량 302

〈표 108〉 전시열람서비스과 주요 업무 및 업무량 304

〈표 109〉 보존시스템과 주요 업무 및 업무량 306

〈표 110〉 국회도서관 인력 충원율 반영 기준 309

〈표 111〉 국회자료보존관과 국가문헌보존관 인력기준 비교 309

〈표 112〉 인력배치 기준별 국회도서관 자료보존관 인력산출 310

〈표 113〉 해외 및 국내 주요 사례리스트 312

〈표 114〉 The Research Collections and Preservation Consortium(ReCAP) 313

〈표 115〉 The Minnesota Library Access Center(MLAC) 314

〈표 116〉 Preservation and Access Service Center for Colorado Academic Libraries(PASCAL) 314

〈표 117〉 The Northern Regional Library Facility(NRLF) 315

〈표 118〉 The Five College Library Repository Collection(FCLRC) 316

〈표 119〉 Washington Research Library Consortium(WRLC) Shared Collections Facility 316

〈표 120〉 Library of Congress-Fort Meade 317

〈표 121〉 The Southern Regional Library Facility(SRLF) 318

〈표 122〉 Garantia d'Espai per a la Perpetuitat de l'Acces(GEPA) 318

〈표 123〉 Centre Technique du Livre De L'Enseignement Superieur(CTLes) 319

〈표 124〉 Library and Archives Canada(LAC) 320

〈표 125〉 일본국립국회도서관 간사이관 321

〈표 126〉 British Library-Boston Spa 논문 및 저사용 자료 서고 322

〈표 127〉 British Library-Boston Spa 신문 보존 서고 322

〈표 128〉 경기평생교육학습관 공동보존서고 323

〈표 129〉 대구광역시중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323

〈표 130〉 국회도서관 자료보존관(부산관) 324

〈표 131〉 대통령 기록관 324

〈표 132〉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0조의 별표6 325

〈표 133〉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제3조의 별표2 및 제4조의 별표3 326

〈표 134〉 서화유화실 & 탈산소독훈증실 배치도 326

〈표 135〉 행정박물 선물실 배치도 327

〈표 136〉 서고영역 중층형 모빌렉 개요 330

〈표 137〉 서고영역 모빌렉 배치계획 복층형 331

〈표 138〉 서고영역 모빌렉 배치계획 중층형 332

〈표 139〉 서고영역 ASRS 계획 1유니트(45m×64m) 333

〈표 140〉 서고영역 ASRS 계획 2유니트(64m×97m) 333

〈표 141〉 항온ㆍ항습 공조방식 비교 334

〈표 142〉 보존서고 수용장서량 및 사업비 335

〈표 143〉 보존복원영역(1층) 문제점 및 요구사항 337

〈표 144〉 보존복원영역(1층) 시설면적표 338

〈표 145〉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3층, 직원영역) 문제점 및 요구사항 340

〈표 146〉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3층, 직원영역) 시설면적표 341

〈표 147〉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2층, 외주영역) 요구사항 346

〈표 148〉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2층, 외주영역) 시설면적표 348

〈표 149〉 사무영역 문제점 및 요구사항 351

〈표 150〉 국가문헌보존관 예상 조직도 351

〈표 151〉 사무영역 공간 배치계획 특이사항 352

〈표 152〉 사무영역(4층) 시설면적표 352

〈표 153〉 이용자서비스영역(1층) 요구사항 354

〈표 154〉 이용자서비스영역(1층) A안 시설면적표 355

〈표 155〉 이용자서비스영역(1층) B안 시설면적표 357

〈표 156〉 식당영역 문제점 및 요구사항 359

〈표 157〉 식당계획안 장ㆍ단점 비교 359

〈표 158〉 식당 영역 공간 규모 산정 360

〈표 159〉 식당 영역 공간 제안 360

〈표 160〉 식당영역 A안 시설면적표 361

〈표 161〉 식당영역 B안 시설면적표 361

〈표 162〉 강원도 컨벤션 센터 현황(한국관광공사, n.d.) 367

〈표 163〉 강원도 공연장 현황(강원도청, n.d.) 367

〈표 164〉 강원도 박물관 현황(강원도청, n.d.) 368

〈표 165〉 강원도 미술관 현황(강원도청, n.d.) 368

〈표 166〉 평창군 문화시설 현황(강원도청, n.d.) 368

〈표 167〉 강원도 테마형 박물관, 미술관 현황(강원도청, n.d.) 368

〈표 168〉 운영 계획 및 정보화시스템 업무 관련성 374

〈표 169〉 자료 보존 시스템 추진 일정 375

〈표 170〉 자료유형별 보존 패키지 구축 적용(현행 KOLIS 시스템) 379

〈표 171〉 디지털 자료의 논리적 오류 유형 382

〈표 172〉 디지털 자료 분석절차 383

〈표 173〉 운영 계획 및 정보화시스템 업무 관련성 384

〈표 174〉 디지털 보존 시스템 추진 일정 384

〈표 175〉 데이터 수집 및 관리체계 구축 운영 계획 389

〈표 176〉 데이터 수집 및 관리체계 구축 추진 일정 390

〈표 177〉 데이터 분석 및 활용체계 구축 운영 계획 393

〈표 178〉 데이터 분석 및 활용체계 구축 추진 일정 393

〈표 179〉 자료 보존 중심의 플랫폼 운영 계획 398

〈표 180〉 자료 보존 중심의 플랫폼 추진 일정 398

〈표 181〉 데이터 활용 중심의 플랫폼 운영 계획 402

〈표 182〉 데이터 활용 중심의 플랫폼 추진 일정 403

〈표 183〉 국가문헌보존관 온라인 서비스 운영 계획 408

〈표 184〉 국가문헌보존관 온라인 서비스 추진 일정 408

〈표 185〉 자동화서고 구축 규모 411

〈표 186〉 스마트서고의 구성 및 기본 사항 414

〈표 187〉 스마트서고 운영 계획 415

〈표 188〉 스마트서고 추진 일정 415

〈표 189〉 전시 서비스 운영 계획 418

〈표 190〉 전시서비스 추진 일정 419

〈표 191〉 정보서비스 운영계획 423

〈표 192〉 정보서비스 추진 일정 424

〈표 193〉 백업시스템 구성 방향 430

〈표 194〉 정보 인프라 구성 추진 일정 432

〈표 195〉 전산실 구성 추진 일정 442

〈표 196〉 운영비 산정 방식 요약표 446

〈표 197〉/〈표 178〉 2021년도 공무원 전체의 기준소득월액 평균액 고시 447

〈표 198〉 인건비 추정기준 448

〈표 199〉 인력배치에 따른 인건비 추정 비교 448

〈표 200〉 인건비성 경비 산정 기준 449

〈표 201〉 인건비성 경비 450

〈표 202〉 국립중앙도서관 시설관리비, 공과금 연도별 내역 450

〈표 203〉 시설관리비 및 공과금 산출 내역 451

〈표 204〉 시설운영비 10년간 추산 451

〈표 205〉 보험표 단가 추정 452

〈표 206〉 장서이관사업비 10년간 추산 452

〈표 207〉 보존환경 관리를 위한 소모성 경비 453

〈표 208〉 10년간 연간 운영비 추산(1안) 453

〈표 209〉 10년간 연간 운영비 추산(2안) 454

〈표 210〉 디지털화 사업 규모 및 산정 기준 455

〈표 211〉 디지털화 구축 사업비 10년간 추산 455

〈표 212〉 장서이관 사업비 기준의 비교 456

〈표 213〉 장서이관 사업비의 기준 457

〈표 214〉 개관기념식 예시 458

〈표 215〉 개관행사 예산안 459

〈표 216〉 유사사례 공사비 검토 461

〈표 217〉 서고영역 복층형 건축공사비 비교 462

〈표 218〉 식당 공사비 산출 기준 462

〈표 219〉 식당영역 건축공사비 비교 463

〈표 220〉 유사사례 공사비 검토 및 적용 466

〈표 221〉 이용자서비스영역 인테리어 공사비 비교 466

〈표 222〉 제작가구 품목 및 견적산출기준 474

〈표 223〉 영역별 가구구입비 475

〈표 224〉 총 사업비 476

〈표 225〉 인력배치 요약표(관장 제외) 493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내용 및 절차 29

〈그림 2〉 자료보존부(Preservation) 조직도 34

〈그림 3〉 사이즈 확인 후 트레이에 정리된 상태 47

〈그림 4〉 보스턴 스파 건축 조감도 61

〈그림 5〉 퀘벡주 가티노 새 보존시설 건축조감도 62

〈그림 6〉 Automated storage facility NLN(Sakrihei, 2015) 64

〈그림 7〉 대만 국립중앙도서관 보존관 및 디지털보존센터 예시 조감도 65

〈그림 8〉 OAIS 기능 모형(CCSDS, 2012) 73

〈그림 9〉 정보패키지의 개념과 관계(CCSDS, 2012) 76

〈그림 10〉 Digital Archiving Maturity Model(Tilbury, 2013) 79

〈그림 11〉 Safey Deposit Box의 특징(Evans, 2009) 79

〈그림 12〉 Safety Deposit Box 플랫폼의 구조(Evans, 2009) 80

〈그림 13〉 덴마크 왕립 도서관 디지털 보존 솔루션 및 기술 인프라 전략(Zierau, 2019) 82

〈그림 14〉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주요 기능 91

〈그림 15〉 네덜란드 국립도서관 360°VR 서가(Loddo, 2020) 102

〈그림 16〉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의 디지털 전시장면(frog design, 2018) 104

〈그림 17〉 스미소니언박물관 Deep time Exhibit 105

〈그림 18〉 국가문헌보존관의 비전과 추진전략 125

〈그림 19〉 국가문헌보존관 운영목표와 세부추진전략 127

〈그림 20〉 주요추진과제 130

〈그림 21〉 일상적 보존관리 프로세스 137

〈그림 22〉 문제적 자료보존관리 프로세스 137

〈그림 23〉 물리적 검수 및 분류 138

〈그림 24〉 이관 준비 작업용 공간 145

〈그림 25〉 보존관으로 자료이전을 위한 주요 단계 146

〈그림 26〉 종이류 자료 수선의 업무절차 158

〈그림 27〉 탈산처리의 과정 161

〈그림 28〉 종이류 소독처리과정(국가기록원, n.d.) 162

〈그림 29〉 시청각자료의 물리적 보존ㆍ복원 164

〈그림 30〉 시청각자료의 물리적 보존ㆍ복원 164

〈그림 31〉/〈그림 32〉 시청각 자료 매체변환 프로세스 166

〈그림 32〉/〈그림 31〉 국가문헌보존관 디지털보존 업무 구성 및 세부업무 169

〈그림 33〉/〈그림 32〉 국가문헌보존관 데이터분석지원 업무 구성 및 세부업무 184

〈그림 34〉/〈그림 33〉 강원도 소재 박물관 주요 소장자료 키워드 워드클라우드 분석 195

〈그림 35〉/〈그림 34〉 문화전시 추진과제와 기대효과 204

〈그림 36〉/〈그림 35〉 스마트서고를 통한 미래도서관 체험 206

〈그림 37〉/〈그림 36〉 메타버스 또는 홀로그램을 활용한 작가와의 만남 예시 208

〈그림 38〉/〈그림 37〉 가상체험에 활용할 수 있는 이미지 210

〈그림 39〉/〈그림 38〉 가족사(Family History) 전시 체험 예시 211

〈그림 40〉/〈그림 39〉 지역사회 연계 서비스 추진 효과 215

〈그림 41〉/〈그림 40〉 4CH 프로젝트 프레임워크 223

〈그림 42〉/〈그림 41〉 통합온라인컬렉션 추진 방향 및 세부 기능 225

〈그림 43〉/〈그림 42〉 Five Photos 예시 자료 231

〈그림 44〉/〈그림 43〉 특화콘텐츠패키지 추진 방향 및 세부 기능 235

〈그림 45〉/〈그림 44〉 가족사 자료 및 데이터의 범위 249

〈그림 46〉/〈그림 45〉 가족사도서관 구성방안 251

〈그림 47〉/〈그림 46〉 1관장 4과 1팀 조직구성안 276

〈그림 48〉/〈그림 47〉 국가문헌보존관 조직구성(안) 280

〈그림 49〉/〈그림 48〉 단계별 조직설계 검토방안 307

〈그림 50〉/〈그림 49〉 조직구성안 1안(기본안) 307

〈그림 51〉/〈그림 50〉 조직구성안 2안(대안) 308

〈그림 52〉/〈그림 51〉 국가문헌보존관 환경계획 수립 311

〈그림 53〉/〈그림 52〉 보존복원영역(1층) 배치도 339

〈그림 54〉/〈그림 53〉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3층, 직원영역) 배치도 342

〈그림 55〉/〈그림 54〉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2층, 외주영역) 배치도- 고신문연속간행물 349

〈그림 56〉/〈그림 55〉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2층, 외주영역) 배치도- 고전적문화예술, 현대간행물 350

〈그림 57〉/〈그림 56〉 사무영역(4층) 배치도 353

〈그림 58〉/〈그림 57〉 이용자서비스영역(1층) A안 배치도 356

〈그림 59〉/〈그림 58〉 이용자서비스영역(1층) B안 배치도 358

〈그림 60〉/〈그림 59〉 식당영역 A안 배치도 362

〈그림 61〉/〈그림 60〉 식당영역 B안 배치도 363

〈그림 62〉/〈그림 61〉 국가문헌보존관 환경설비계획 364

〈그림 63〉/〈그림 62〉 자연채광에 따른 실내조명제어 및 통로 자연 채광 이용 365

〈그림 64〉/〈그림 63〉 구조체 표면 상대습도차에 따른 곰팡이 발생 365

〈그림 65〉/〈그림 64〉 아산도서관 커튼월 기밀시공[좌], 건물 기밀시험[우] 366

〈그림 66〉/〈그림 65〉 공기 환경계획 예시 366

〈그림 67〉/〈그림 66〉 국가문헌보존관 목표 시스템 구성도 371

〈그림 68〉/〈그림 67〉 국가문헌보존관 통합보존관리 시스템 구성도 371

〈그림 69〉/〈그림 68〉 디지털 매체의 장기보존 구성 381

〈그림 70〉/〈그림 69〉 국가문헌보존관 데이터분석 시스템 구성도 387

〈그림 71〉/〈그림 70〉 국가문헌보존관 온라인 플랫폼 개념도 395

〈그림 72〉/〈그림 71〉 인터랙티브 월을 활용한 콘텐츠 체험 예시 417

〈그림 73〉/〈그림 72〉 로보틱스 스마트 도서관 장비 예시 421

〈그림 74〉/〈그림 73〉 태블릿 자가 대출 반납기 장비 예시 422

〈그림 75〉/〈그림 74〉 국가문헌보존관 인프라 구성 427

〈그림 76〉/〈그림 75〉 백업시스템 구성도 429

〈그림 77〉/〈그림 76〉 백업 스토리지 구성도 431

〈그림 78〉/〈그림 77〉 백업 네트워크 구성도 431

〈그림 79〉/〈그림 78〉 중장기 과제 DR 센터 구성 개념도 432

〈그림 80〉/〈그림 79〉 공종별 공사비 461

〈그림 81〉/〈그림 80〉 보존복원영역(1층) 제작가구 품목 467

〈그림 82〉/〈그림 81〉 이용자서비스영역(1층) A안 제작가구 품목 468

〈그림 83〉/〈그림 82〉 이용자서비스영역(1층) B안 제작가구 품목 469

〈그림 84〉/〈그림 83〉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2층, 외주영역) - 고신문연속간행물 제작가구 품목 470

〈그림 85〉/〈그림 84〉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2층, 외주영역) - 고전적문화예술, 현대간행물 제작가구 품목 471

〈그림 86〉/〈그림 85〉 디지털콘텐츠구축영역(3층, 직원영역) 제작가구 품목 472

〈그림 87〉/〈그림 86〉 사무영역(4층) 제작가구 품목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