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몽오집. 1-2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898522 811.9081 -22-3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98523 811.9081 -22-3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98524 811.9081 -22-3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898525 811.9081 -22-3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몽오집》은 조선 후기의 문신 김종수(金鍾秀)의 시문집이다.
김종수는 노론 청명당(淸明黨)의 영수이다. 정조의 세손 시절 세손 사부로서 정조에게 학문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으며 임오화변 이후 노론 벽파의 당론에 반하여 세손인 정조를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다. 정조 즉위 후 중용되어 외척세력을 견제하였으며, 탕평 정국 속에서는 남인 채제공(蔡濟恭)과 대립하면서 대의명분을 중시하는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고수해 나갔다.
다수의 시문은 저자의 사후 정조의 묘정에서 출향되고 관직을 추탈 당하는 정치적인 역경을 겪으며 간행이 이루어지지 못하다가 1910년경 두 편의 발문(跋文)이 지어졌을 때 문집이 간행되었다.
본집은 원집(原集) 7권 연보(年譜) 2권 합 2책으로 되어 있다. 맨 앞에 신응조(申應朝)가 1879년(고종16)에 지은 서문과 총목이 있고, 다시 권별로 목록이 달려 있다. 권1은 연대순으로 편차된 시 107제(題)가 수록되어 있다. 권2는 소차(疏箚)로, 노론 벽파(僻派)로서의 역정을 알 수 있는 내용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권3은 세자시강원 관료로서 춘궁 시절의 정조에게 진강한 내용을 담은 강의(講義)와, 입지(立志), 진학(進學), 극기(克己) 등 18칙으로 나누어 권면한 내용을 담은 경연고사(經筵故事)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4는 서(書), 서(序), 기(記), 제발(題跋), 잡저(雜著)가, 권5는 제문(祭文), 애사(哀辭)가, 권6~7은 비(碑), 묘갈(墓碣), 묘표(墓表), 묘지(墓誌), 행장(行狀), 시장(諡狀)이 수록되어 있다. 그 뒤에는 김윤식(金允植)이 1910년에 지은 발문과 이재곤(李載崐)이 지은 발문이 실려 있다. 연보(年譜)는 2권으로 편차하였는데, 권1은 저자가 65세가 되는 1792년까지의 행력이, 권2는 좌의정이 된 1793년부터 사망 후 정려(旌閭)된 사실까지가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