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I. 서론 29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30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0
2) 연구 목적 및 수행 체계 32
3) 연구 내용 및 추진계획 33
2. 연구 방법 34
1) 문헌조사 34
2) 양적조사 34
3) 사례연구 36
4) 국내외 전문가 자문 37
5) 전국 조례 비교연구 38
6) 연구의 한계 39
II. 장애인자립생활주택 및 체험홈에 관한 국내외 문헌연구 40
1. 장애인의 탈시설화와 전환 41
1) '탈시설화'와 '전환' 41
2)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전환지원서비스 43
3) 주거의 유형과 지역사회 전환을 위한 주거모델 44
2. 장애인자립생활주택 및 체험홈 관련 법제도 및 탈시설정책 48
1) 법제도 현황 48
2) 중앙정부의 탈시설 정책 현황 57
3. 장애인자립생활주택 및 체험홈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및 해외사례 61
1) 국내 선행연구 61
2) 해외 사례연구 77
III. 장애인자립생활주택 및 체험홈 이용자 양적 연구 94
1. 조사대상 현황 95
1) 조사 대상 및 용어 사용 95
2) 연구 대상 95
2. 조사결과 96
1) 조사 대상 및 지역 96
2) 응답자 기본정보 97
3) 일상생활의 어려움 100
4) 사회서비스 수급 여부 102
5) 입소 경위 및 탈시설 과정 104
6) 일상 경험 108
7) 인권보장 및 자립생활 지원 112
8) 일상생활에서의 인권보장 119
9) 정보접근 및 의사결정권 121
10) 건강권 123
11) 코로나 19와 인권보장 126
12) 소득보장 및 사회서비스권 128
13) 자립생활 변화 및 미래계획 129
14) 정책적 제안 사항 133
15) 일반적인 사항 134
3. 소결 137
IV. 장애인자립생활주택 및 체험홈 이용자 질적 연구 140
1. 연구방법 141
2. 인터뷰참여자와 인터뷰에 대한 고려 143
1) 인터뷰참여자 143
2) 발달장애인 인터뷰에 대한 고려 143
3. 질문지 및 코딩틀 144
4. 자료분석방법 149
5. 분석결과 151
1) 주제기반분석 155
2) 사례 내 분석 168
3) 사례 간 분석 173
4) 소결 176
V. 국내외 전문가 자문 179
1. 국내 전문가 180
1) 연구참여자의 특성 180
2)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180
3) 분석결과 182
2. 해외 전문가 195
1) 뉴질랜드 195
2) 미국 197
3) 유럽 199
VI. 정책 대안 202
1. 장애인 중간주거정책의 성과와 한계 203
1) 시설에서 지역사회로의 기회 제공 203
2) 자신만의 공간과 소유, 자기결정권 확대 204
2. 중간주거정책의 한계 204
3. 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주거전환서비스의 원칙 208
1) 주거우선전략(housing first)의 기본 원칙 208
2) 완전한 자기결정권의 원칙에 의한 운영 209
3) 유니버셜 디자인과 지역사회 편의성이 보장된 주거 제공 209
4) 부드럽고 섬세(gentle transition)한 전환 과정의 설계 210
4. 정책 대안 210
1) 전환서비스에 대한 정의, 기준, 원칙 마련 211
2) 전환서비스 전달체계의 정비 211
3) 전환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 마련 213
4) 주거우선 전략에 따른 지원주택 확대 및 서비스 연속성 보장 213
5) 전환과정에서의 서비스 지원정책 확대 215
6) 전환주거 대상을 시설화의 위기 또는 학대위기 대상자로 확대 216
5. 법령 개선 방안 217
1) 장애인자립생활주택 및 체험홈의 법제화 방안 217
2) 탈시설지원법 등의 제정 218
참고문헌 220
[부록] 225
판권기 242
[그림 1] 탈시설화 개념의 변화 42
[그림 2] 탈시설장애인을 위한 단계별 전환지원서비스 목록 44
[그림 3] 주거연속성(Housing Continuum)과 주거유형 45
[그림 4] 주거모델과 서비스제공 옵션 45
[그림 5] 주거우선모델의 특징 46
[그림 6] 주거우선무델의 강점과 주거준비모델의 문제 47
[그림 7]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로드맵 66
[그림 8] 장애인 거주시설 현황(2020) 71
[그림 9] 체험홈 권역별 지원서비스 연계 비율 72
[그림 10] 뉴질랜드 탈시설 이행 단계 78
[그림 11] '좋은 삶 실현' 시범사업 참여자 및 가족들에게 생긴 변화 81
[그림 12] '좋은 삶' 목표 실현 정도 82
[그림 13] 퇴소 혹은 퇴원 희망자를 위한 지원 88
[그림 14] 지역이행지원 이미지 89
[그림 15] 장애인의 지역이행 및 지역생활을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해 90
[그림 16] 지역생활을 지원하는 자립생활원조 92
[그림 17] 자립생활원조 이미지 93
[그림 18] 질적사례연구의 설계 142
[그림 19] 분석의 3가지 틀 152
[그림 20] 3가지 분석틀에 기반한 핵심분석 153
[그림 21] 연구설계 및 분석구조 154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02255 | 362.40485 -22-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02256 | 362.40485 -22-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