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2021-현장-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울산지역 공공도서관의 비대면 서비스 실태 및 방향 연구 / 윤경자;이기명;김경숙;이민미 3

요약 4

Ⅰ. 서론 1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2. 연구 내용 14

3. 연구 방법 14

4. 연구의 제한점 15

Ⅱ. 이론적 배경 16

1. 코로나19와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 16

2. 선행연구 분석 19

Ⅲ. 연구 결과 21

1. 울산지역 공공도서관 대응 현황 21

2. 비대면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평가 34

3. 포스트 코로나 대비 울산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방안 45

Ⅳ. 결론 및 제언 50

참고문헌 52

[부록] 설문조사지 54

[2021-현장-2] 학교 내 코로나19 대응 실태와 개선 방안 / 김유진;최현지;윤혜인;이희정;이만식 58

요약 59

Ⅰ. 서론 6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67

2. 연구 내용 68

3. 연구 방법 69

4.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73

Ⅱ. 이론적 배경 74

1. WHO의 학교 내 코로나19 대응 지침 74

2. 국내 학교 내 코로나19 관련 대응 지침 75

3. 학교 내 감염병 대응 77

4. 선행연구에 대한 소결 79

Ⅲ. 연구 결과 81

1. 설문조사 연구 결과 81

2. 면담조사 연구 결과 96

Ⅳ. 결론 및 제언 103

1. 결론 103

2. 제언 108

참고문헌 110

[부록] 설문조사지 113

[2021-현장-3] 코로나19 상황에서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원격수업 경험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김아영;김창오;손선영 120

요약 121

Ⅰ. 서론 130

Ⅱ. 연구 방법 134

1. 연구 방법 134

2. 연구 대상 137

3. 자료수집 방법 140

4. 자료분석 과정 142

5. 연구자의 선(先)이해 143

Ⅲ. 선행연구 분석 145

Ⅳ. 결과 150

1.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원격수업 경험 과정의 구조 150

Ⅴ. 논의 175

1. 코로나19 상황에서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원격수업 경험 과정에 대한 논의 175

2. 제언 178

참고문헌 181

[2021-현장-4]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전국 시도교육청 환경교육 정책 분석과 울산형 기후위기 대응 교육 활성화 방안 강구 / 장소영;손서윤;박미정;김은미 185

요약 186

Ⅰ. 서론 195

1. 연구의 필요성 195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 197

3. 연구의 제한점 197

Ⅱ. 이론적 배경 198

1.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기본협약(UNFCCC) 198

2. 기후변화협약 대응 교육의 선행 연구 고찰 200

3. 기후변화 교육 내용 체계 202

4. 기후변화 교육의 방향 204

5. 교육권과 환경학습법 208

6. 울산의 지역-환경-산업의 특징 208

Ⅲ. 연구 방법 및 연구 설계 210

1. 연구 대상 210

2. 연구 방법 210

3. 연구 도구 211

4. 연구 절차 및 일정 211

Ⅳ. 연구 결과 212

1.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 분석도구 개발 212

2. 타시도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 분석 216

3. 울산광역시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정책 분석 249

4. 울산형 기후위기 대응 교육정책 제안 256

Ⅴ. 결론 및 제언 263

1. 결론 263

2. 제언 266

참고문헌 268

[부록] 시도별 정책 비교 271

판권기 280

표목차

[2021-현장-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울산지역 공공도서관의 비대면 서비스 실태 및 방향 연구 / 윤경자;이기명;김경숙;이민미 11

〈표 Ⅱ-1〉 전국 공공도서관 지역별/운영 주체별 휴관 현황 17

〈표 Ⅲ-1〉 울주도서관 코로나19 대응 현황(2020) 22

〈표 Ⅲ-2〉 울산남부도서관 코로나19 대응 현황(2020) 23

〈표 Ⅲ-3〉 울산동부도서관 코로나19 대응 현황(2020) 25

〈표 Ⅲ-4〉 울산중부도서관 코로나19 대응 현황(2020) 27

〈표 Ⅲ-5〉 울산교육청 공공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현황(2020) 28

〈표 Ⅲ-6〉 울산교육청 공공도서관 스마트 도서관 이용 현황(2020) 29

〈표 Ⅲ-7〉 울산교육청 공공도서관 자료구입비 현황 31

〈표 Ⅲ-8〉 울산교육청 공공도서관 자료 현황(2021.7.1.기준) 31

〈표 Ⅲ-9〉 울산교육청 공공도서관 독서문화행사 현황(2020) 32

〈표 Ⅲ-10〉 울산교육청 공공도서관 비대면 독서문화행사 현황(2020) 33

〈표 Ⅲ-11〉 설문조사지 구성 34

〈표 Ⅲ-12〉 성별 35

〈표 Ⅲ-13〉 연령별 35

〈표 Ⅲ-14〉 주로 이용하는 도서관 35

[2021-현장-2] 학교 내 코로나19 대응 실태와 개선 방안 / 김유진;최현지;윤혜인;이희정;이만식 65

〈표 Ⅰ-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69

〈표 Ⅰ-2〉 면담조사 참여자의 정보 (2021년 3월 기준) 70

〈표 Ⅰ-3〉 도구 문항 구성 71

〈표 Ⅱ-1〉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학교 보건 체크리스트 74

〈표 Ⅱ-2〉 감염병으로 인한 심각단계 시 학교 및 교육행정기관 대응 75

〈표 Ⅱ-3〉 유ㆍ초ㆍ중등 및 특수학교 코로나19 감염예방 관리 내용 76

〈표 Ⅲ-1〉 조직적 측면의 코로나19 대응 수준 81

〈표 Ⅲ-2〉 근무경력에 따른 조직적 측면의 코로나19 대응 수준 차이 82

〈표 Ⅲ-3〉 직종에 따른 조직적 측면의 코로나19 대응 수준 차이 83

〈표 Ⅲ-4〉 기타 조직적 측면의 코로나19 대응 실태 84

〈표 Ⅲ-5〉 조직 내 대체인력 유무 85

〈표 Ⅲ-6〉 정책적 측면의 코로나19 대응 수준 86

〈표 Ⅲ-7〉 학생 수에 따른 정책적 측면의 코로나19 대응 수준 차이 87

〈표 Ⅲ-8〉 근무경력에 따른 정책적 측면의 코로나19 대응 수준 차이 88

〈표 Ⅲ-9〉 직종에 따른 정책적 측면의 코로나19 대응 수준 차이 89

〈표 Ⅲ-10〉 물적자원 지원 및 공급 실태 90

〈표 Ⅲ-11〉 감염병 예방에 가장 도움이 된 정책 90

〈표 Ⅲ-12〉 코로나19 대응 평가 91

〈표 Ⅲ-13〉 감염병 대응 과정 개선을 위한 주안점 92

〈표 Ⅲ-14〉 감염병 대응 과정 개선을 위한 주안점 92

[2021-현장-3] 코로나19 상황에서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원격수업 경험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김아영;김창오;손선영 129

〈표 Ⅱ-1〉 연구참여자 인구학적 특성 139

〈표 Ⅱ-2〉 개방형 질문지의 내용 140

〈표 Ⅲ-1〉 분석 대상 논문 145

〈표 Ⅳ-1〉 코로나19 상황에서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원격수업 경험과정의 시간적 구조에 따른 구성요소 150

〈표 Ⅳ-2〉 코로나19 상황에서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원격수업 경험과정의 구성요소와 하위구성요소 151

[2021-현장-4]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전국 시도교육청 환경교육 정책 분석과 울산형 기후위기 대응 교육 활성화 방안 강구 / 장소영;손서윤;박미정;김은미 193

〈표 Ⅱ-1〉 기존 연구의 기후변화교육 내용 체계 비교 203

〈표 Ⅱ-2〉 기후변화 교육의 핵심개념과 기본원칙 204

〈표 Ⅱ-3〉 기후 변화 교육 K-12 지침 (NWF, 2009) 204

〈표 Ⅱ-4〉 기후 변화 의사소통을 위한 10가지 지침 (NBCCH, 2002) 206

〈표 Ⅱ-5〉 우리나라 기후변화교육의 방향 (김찬국과 최돈형, 2010) 207

〈표 Ⅳ-1〉 제 3차 환경교육종합계획- 영역 및 추진 과제 213

〈표 Ⅳ-2〉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 분석을 위한 분석틀 214

〈표 Ⅳ-3〉 서울특별시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17

〈표 Ⅳ-4〉 부산광역시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19

〈표 Ⅳ-5〉 대구광역시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21

〈표 Ⅳ-6〉 인천광역시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23

〈표 Ⅳ-7〉 광주광역시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25

〈표 Ⅳ-8〉 대전광역시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27

〈표 Ⅳ-9〉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28

〈표 Ⅳ-10〉 경기도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30

〈표 Ⅳ-11〉 강원도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32

〈표 Ⅳ-12〉 충청북도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34

〈표 Ⅳ-13〉 충청남도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36

〈표 Ⅳ-14〉 전라북도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38

〈표 Ⅳ-15〉 전라남도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40

〈표 Ⅳ-16〉 경상북도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41

〈표 Ⅳ-17〉 경상남도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43

〈표 Ⅳ-18〉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45

〈표 Ⅳ-19〉 울산광역시교육청 기후위기 대응 교육 정책사업 250

그림목차

[2021-현장-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울산지역 공공도서관의 비대면 서비스 실태 및 방향 연구 / 윤경자;이기명;김경숙;이민미 12

[그림 Ⅱ-1] 2020/2021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현황 16

[그림 Ⅲ-1] 울산지역 공공도서관 전자도서관 회원가입 절차 30

[그림 Ⅲ-2] 도서관 문 앞 대출서비스 이용 36

[그림 Ⅲ-3] 도서관 문 앞 대출서비스 이용의 편리성 36

[그림 Ⅲ-4] 도서관 문 앞 대출서비스 필요성 37

[그림 Ⅲ-5] 도서관 문 앞 대출서비스 이용하지 않은 이유 37

[그림 Ⅲ-6] 스마트 도서관 이용 38

[그림 Ⅲ-7] 스마트 도서관 이용의 편리성 38

[그림 Ⅲ-8] 스마트 도서관 38

[그림 Ⅲ-9] 자동도서반납기 38

[그림 Ⅲ-10] 스마트 도서관 서비스의 유용성 39

[그림 Ⅲ-11] 스마트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39

[그림 Ⅲ-12] 도서관 온라인 서비스 이용 40

[그림 Ⅲ-13] 전자책 서비스 이용 40

[그림 Ⅲ-14] 전자책 서비스 이용의 편리성 41

[그림 Ⅲ-15] 전자책 콘텐츠의 다양성 41

[그림 Ⅲ-16] 오디오북 서비스 이용 41

[그림 Ⅲ-17] 오디오북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 42

[그림 Ⅲ-18] 오디오북 서비스의 이용 편리성 42

[그림 Ⅲ-19] 코로나19 이후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43

[그럼 Ⅲ-20] 도서관 비대면 오프라인 서비스 만족도 43

[그림 Ⅲ-21] 도서관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 만족도 44

[그림 Ⅲ-22] 도서관 비대면 서비스 향후 이용 44

[2021-현장-2] 학교 내 코로나19 대응 실태와 개선 방안 / 김유진;최현지;윤혜인;이희정;이만식 66

[그림 Ⅰ-1] 도구 개발 과정 71

[그림 Ⅲ-1] 조직적 측면의 코로나19 대응 수준 82

[그림 Ⅲ-2] 대응 조직 구성 여부 84

[그림 Ⅲ-3] 정책적 측면의 코로나19 대응 수준 86

[그림 Ⅲ-4] 인적자원 배치 여부 89

[그림 Ⅲ-5] 코로나19 대응 평가 91

[2021-현장-3] 코로나19 상황에서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원격수업 경험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김아영;김창오;손선영 129

[그림 Ⅳ-1] 코로나19 상황에서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원격수업 경험 과정 173

[2021-현장-4]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전국 시도교육청 환경교육 정책 분석과 울산형 기후위기 대응 교육 활성화 방안 강구 / 장소영;손서윤;박미정;김은미 194

[그림 Ⅲ-1] 연구도구 211

[그림 Ⅲ-2] 연구절차 및 일정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