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판권기 4

발간사 / 유근기 6

목차 8

1장 곡성 하한리 백자 요장의 역사적 배경 / 김희태 17

I. 머리말 18

II. 하한리 백자 요장 지역의 연혁 변천 18

1. 하한리 권역 관련 군현 연혁 19

2. 하한리 행정지명의 변천과 마을 유래 21

III. 하한리 백자 요장의 역사 문화 배경 24

IV. 맺음말 32

참고문헌 35

2장 곡성 하한리 요장의 현황과 의의 / 권혁주 37

I. 머리말 38

II. 곡성 하한리 요장 지표조사 현황 39

1. 가마와 폐기장 40

2. 작업장 42

3. 토취장 43

4. 거주지 44

5. 수습유물 46

III. 문헌 자료를 통해 본 곡성 하한리 요장의 의의 48

1. 조선시대 지리지와 읍지 48

2. 근대~일제강점기 기록물 52

IV. 맺음말 60

참고문헌 61

3장 곡성의 요장과 아사카와 노리타카(淺川伯敎) / 정은진 63

I. 머리말 64

II. 지방 가마 조사의 배경 65

III. 곡성 가마 조사 67

1. 죽곡면 하한리 68

2. 죽곡면 유봉리 81

IV. 수집 도편 83

1) 죽곡면 원달리(竹谷面 元達里) 85

2) 죽곡면 유봉리(竹谷面 留鳳里) 86

3) 죽곡면 용정리(竹谷面 龍亭里) 86

4) 겸면 송강리(兼面 松江里) 87

5) 죽곡면 하한리(竹谷面 下汗里) 87

V. 현요업(現業窯)과 아사카와 노리타카의 도자 제작 88

VI. 맺음말 94

참고문헌 96

I. はじめに 97

II. 地方窯調査の背景 97

III. 谷城窯調査 99

1. 竹谷面下汗里 100

2. 竹谷面留鳳里 110

IV. 収集陶片 111

1) 竹谷面元達里窯跡 113

2) 竹谷面留鳳里 114

3) 竹谷面龍亭里 114

4) 兼面松江里 115

5) 竹谷面下汗里 115

V. 現業窯と浅川伯教の作陶 116

VI. 終わりに 121

参考文献 123

4장 곡성 하한리 요장과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 片山まび ; 정상연 125

I. 머리말 126

II. 동시대 '조선'공예에 대한 관심의 형성과정 -1920년대를 중심으로 127

1. 조선도자와의 만남 127

2. 곡성 하한리 가마에 대한 평가의 배경-1920년대의 야나기의 언설에서 128

III. 곡성 하한리 가마의 조사와 평가 132

1. 조사의 배경-민예운동의 전개 속에서 132

2. 곡성 하한리 가마의 조사경위 133

IV. 일본민예관소장의 곡성 하한리 가마 추정 작례에 대해서 139

1. 작례의 개요 139

2. 한국도자사에 있어서 위치 142

V. 맺음말 145

참고문헌 147

I. はじめに 149

II. 同時代 「朝鮮」 工芸に対する関心の形成過程 -1920年代を中心に 150

1. 朝鮮陶磁との出合い 150

2. 谷城下汗里窯の評価の背景-1920年代の柳の言説ゕら 151

III. 谷城下汗里窯調査とその意義 154

1. 調査の背景-民藝運動の展開のなかで 154

2. 谷城下汗里窯の調査経緯 155

IV. 日本民藝館所蔵の谷城下汗里窯推定作例について 161

1. 作例の概要 162

2. 韓国陶磁史における位置づけ 164

V. おわりに 167

参考文献 169

5장 근대 도자사에서 곡성 하한리 요장의 의미 / 안성희 171

I. 머리말 172

II. 19세기 후반 20세기 전반 요업 체제의 변화와 지방 요장 174

III. 근대 곡성 지역 요업의 양상과 하한리 요장의 '발견' 177

1. 문헌을 통해 본 곡성의 요업 177

2. 신(新)요지 조사와 일본인 방문자의 기록 182

IV. 요장의 주요 시설과 생산품에서 찾은 '전통과 지방성' 185

1. 생산 시설의 구조와 제작 공정 185

2. 생산품의 종류와 성격 193

V. 맺음말 : 곡성 하한리 요장이 갖는 의의와 향후 과제 201

참고문헌 204

6장 곡성 하한리 요장의 문화재 지정과 정비 방안 / 한성욱 207

I. 머리말 208

II. 요장의 문화재 추진 방안 209

III. 요장의 보존과 관리 사례 213

1. 도기 요장 213

2. 청자 요장 214

3. 분장청자 요장 219

4. 백자 요장 226

IV. 요장의 보존과 정비 227

1. 학술 조사와 유적의 보존 227

2. 종합 정비계획의 수립 229

V. 맺음말 231

참고 문헌 232

7장 경덕진 요업 유적의 보존과 활용 / 江建新 ; 汪哲宇 ; 김은경 237

I. '경덕진'에 대하여 238

II. 경덕진 고대 요업의 발전 240

III. 경덕진 옛 요지의 보호와 이용 상황 247

1. 어요창(御窯廠) 유적 247

2. 호전요(湖田窯) 유적 260

3. 남요(南窯) 유적 266

4. 낙마교요(落馬橋窯) 유적 269

IV. 고요민속관광지구(古窯民俗博覽區)(경덕진도자민속박물관)의 보호와 이용 상황 272

1. 역사적 상황 272

2. 보호 상태 274

3. 개발과 이용 280

4. 의미와 가치 286

V. 결론 286

I. 关于 "景德镇" 288

II. 关于景德镇古代窑业的发展 289

III. 景德镇古窑址的保护与利用情況 294

1. 御窑厂遗址 294

2. 湖田窑遗址 300

3. 南窑遗址 303

4. 落马桥窑遗址 305

IV. 古窑民俗博览区(景德镇陶瓷民俗博物馆) 的保护与利用情况 306

1. 历史情况 306

2. 保护情况 307

3. 开发与利用 310

4. 意义与价值 312

V. 结论 313

곡성 하한리 근대 백자 요장 연구 : 종합토론 / 방병선 ; 김희태 ; 권혁주 ; 정은진 ; 片山まび ; 안성희 ; 한성욱 ; 장기훈 ; 박정민 ; 田代裕一郞 ; 이수혜 ; 정두섭 ; 이은석 315

뒷표지 338

표목차 11

[표 1-1] 곡성 하한리 행정지명의 변천 24

[표 1-2] 곡성 요지 조사 목록과 시기, 소재지 현황 25

[표 1-3] 곡성 하한리 권역의 조선시대 초기 자기소와 도기소(『세종실록지리지』) 26

[표 2-1] 조선시대 지리지·읍지 곡성군 자기 관련 기록 51

[표 2-2] 관립공업전습소보고(1909) 곡성군 요지 조사 현황 52

[표 2-3]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요업제품의 지역별 출품현황 54

[표 2-4] 곡성 하한리 1915년 지적원도 토지소유 현황 56

[표 3-1] 전라남도 곡성요의 비교 91

[표 4-1] 19세기말~20세기초의 전라도 지방가마 출토의 백자고족접시와 하한리 가마 흑자고족접시의 비교(축척부동) 143

[표 5-1] 1909년 관립공업전습소 곡성군 요장 조사 179

[표 5-2]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전라남도 출품 및 수상 현황 180

[표 5-3] 19~20세기 지방 백자 가마 및 공방 현황 187

[표 5-4] 19~20세기 지방 백자 가마 생산품 현황 198

[표 6-1] 窯場의 國家 指定 文化財 現況(2021년 9월 현재) 211

[표 6-2] 窯場의 地方 指定 文化財 現況(2021년 9월 현재) 212

그림목차 11

[그림 1-1] 조선시대 후기 "하한" 부근도(〈곡성현지도〉, 1872년, 규장각 소장) 32

[그림 1-2] 1918년 지형도의 하한리 일원과 군면 경계(하... 33

[그림 1-3] 하한리 근대요장 일원의 군현 편제와 요지분포 33

[그림 2-1] 곡성 하한리 요장 조사현황도(위성사진)... 40

[그림 2-2] 곡성 하한리 요장 장인 거주지 현황도(지적도) 45

[그림 2-3] 곡성 하한리 요장 관련 항공사진과 지형도... 45

[그림 2-4] 1872년 지방지도의 谷城縣 牛谷面과 雙龜, 長城 49

[그림 2-5] 1915년 조선물산 공진회 전경(좌)과 지도(우) 53

[그림 2-6] 곡성 하한리 요장 1915년 지적원도 56

[그림 2-7] 하한리 285대 호적등본과 장인 白○○ 가계도 57

[그림 3-1] 淺川伯敎, 〈곡성군 곡성면 하한리 도요장 지도(밑그림)〉, 종이·연필(淺川伯敎·巧兄弟資料館(鈴木成― 씨 기증)) 67

[그림 3-2] 淺川伯敎, 〈곡성군 곡성면 하한리 「가마의 소재지(窯之所在地)」〉(淺川伯敎, 朝鮮の窯―谷城の窯について―」원고, 58쪽 67

[그림 3-3] 淺川伯敎, 〈곡성군 곡성면 유봉리 도요장 지도(밑그림)〉, 종이·펜(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成― 씨 기증)) 68

[그림 3-4] 淺川伯敎,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면 유봉리 도요장 지도〉(淺川伯敎, 「朝鮮現在の窯業」, 원고, 127쪽) 68

[그림 3-5] 淺川伯敎, 〈공장평면도(工場平面圖)〉, 폭: 18.7×27.0cm, 종이·연필(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成― 씨 기증)〉 70

[그림 3-6] 淺川伯敎, 〈공장의 내부(工場之内部)〉, 폭: 18.7×27.0cm, 종이·연필(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成― 씨 기증)〉 71

[그림 3-7] 淺川伯敎, 〈조선 도공 작업도〉, 종이·연필(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成― 씨 기증)〉 73

[그림 3-8] 淺川伯敎, 〈유약 바름 및 가마재임〉, 폭: 40.8×57.8cm, 종이·먹(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成― 씨 기증)〉 74

[그림 3-9] 淺川伯敎, 〈도요장의 풍경〉, 종이·연필(淺川伯敎·巧兄弟資料館(鈴木成― 씨 기증)) 76

[그림 3-10] 淺川伯敎, 〈가마의 축조(築窯)〉, 종이·먹(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成― 씨 기증)〉 77

[그림 3-11] 淺川伯敎, 〈가마 작업〉, 폭: 42.1×59.0cm, 종이·묵화담채(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成― 씨 기증)〉 79

[그림 3-12] 淺川伯敎, 〈가마터기록 노트(窯跡記録ノート)〉, 폭: 26.5×19.3cm(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有二 씨 기증)) 83

[그림 3-13] 淺川伯敎, 〈도기기록 노트(陶器記録ノート)〉, 폭: 26.0×15.5cm(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有二 씨 기증)) 85

[그림 3-14] 淺川伯敎, 〈「大正12[1923]년 현재 조선 각 지방의 사발」〉(淺川伯敎, 1934, 『朝鮮古窯跡の研究によりて得られたる朝鮮窯業の過去及び将来』, 第6圖) 88

[그림 5-1] 아사카와 노리타카, 「공장평면도(工場平面圖)」, 지본연필, 18.7×27.0cm,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成― 氏 기증) 191

[그림 5-2] 아사카와 노리타카, 「공장의 내부(工場之內部)」, 지본연필, 18.7×27.0cm,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鈴木成― 氏 기증) 191

[그림 7-1] 『浮梁縣志』〈景德鎭圖〉 238

[그림 7-2] 『景德鎭陶錄』중〈御窯廠圖〉 248

[그림 7-3] 落馬橋 窯場 遺蹟 位置圖 269

사진목차 11

[사진 2-1] 곡성 하한리하한마을과 요장 전경(서→동)... 40

[사진 2-2] 1호 가마 전경(2020년 촬영) 1호 가마는... 41

[사진 2-3] 가마와 폐기장 1. 1호 가마와 전경... 41

[사진 2-4] 작업장 1. 작업장 전경 2. 淺川伯敎 〈공장평면도〉 18.7×27.0cm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鈴木成― 氏 기증). 43

[사진 2-5] 토취장 1. 2호 토취장 전경 2. 2호 토취장 입구... 44

[사진 2-6] 곡성 하한리 하한마을 1. 1938년 하한마을(『工藝』 제82호) 2. 2021년 하한마을... 44

[사진 2-7] 곡성 하한리 요장 지표수습 백자류 46

[사진 2-8] 곡성 하한리 요장 지표수습 흑자류 47

[사진 2-9] 곡성 하한리 요장 지표수습 도지미 47

[사진 2-10] 2021년 경복궁 동궁지 발굴조사(좌:조선물산 공진회관련 초석, 우:화장실) 53

[사진 3-1] 〈곡성군 하한리 가마터〉(빨간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이 암벽, 자연... 75

[사진 3-2] 백자도편.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가마터(淺川伯敎 수습, 國立歷史民俗博物館, 小林仁씨 촬영) 86

[사진 3-3] 백자도편.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유봉리 가마터(淺川伯敎 수습, 國立歷史民俗博物館, 小林仁씨 촬영) 86

[사진 3-4] 백자도편.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용정리 가마터(淺川伯敎 수습, 國立歷史民俗博物館, 小林仁씨 촬영) 87

[사진 3-5] 백자도편. 전라남도 곡성군 겸면 송강리 가마터(淺川伯敎 수습, 國立歷史民俗博物館, 小林仁씨 촬영) 87

[사진 3-6] 흑유도편.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하한리 가마터(淺川伯敎 수습, 國立歷史民俗博物館, 小林仁씨 촬영) 87

[사진 3-7] 당시 생산된〈조선다완(朝鮮茶碗)〉(一) 황해도 봉산군 (二) 함경북도 명천군 (三) 전라북도 고창군 (四) 전라남도 곡성군... 89

[사진 3-8] 淺川伯敎, 〈茶碗十二月〉 (朝鮮総督府朝鮮美術展覽會 編, 1939, 『朝鮮美術展覽會圖錄』, 第18回, 朝鮮寫眞通信社) 93

[사진 3-9] 淺川伯敎, 〈茶碗十三景〉 (朝鮮総督府朝鮮美術展覽會 編, 1940, 『朝鮮美術展覽會圖錄』, 第19回, 朝鮮寫眞通信社) 93

[사진 3-10] 〈伯敎自作陶器展を見て〉(多田生, 「伯敎自作陶器展を見て」) 93

[사진 4-1] 백자발(『工藝』 제82호 게재) 135

[사진 4-2] 흑자고족접시, 『工藝』 제82호 게재) 136

[사진 4-3] 곡성 하한리 가마터 전경 『工藝』 제82호 게재) 136

[사진 4-4] 흑자 고족접시, 일본민예관 소장 140

[사진 4-5] 흑자 고족접시, 일본민예관 소장 141

[사진 4-6] 흑자 잔받침, 일본민예관 소장 141

[사진 5-1] 전라남도 및 함경남도 요업제품, 『始政五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報告書』3(1916), 64쪽 181

[사진 5-2] 삼화고려소 출품 도자기, 『始政五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報告書』3(1916), 64쪽 181

[사진 5-3] 중앙시험소 공업전습소 출품 도자기, 『始政五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報告書』3(1916), 81쪽 181

[사진 5-4] 장흥 월송리 2호 백자 요지 번조실 조사 후 전경, 『長興 月松里 朝鮮 白瓷 窯址』(2014), 117쪽 188

[사진 5-5] 곡성 하한리 지표 수습 백자류, 『곡성 하한리 근대 요장 연구용역 학술연구보고서』(2020), 54쪽 194

[사진 5-6] 곡성 하한리 지표 수습 도침, 『곡성 하한리 근대 요장 연구용역 학술연구보고서』(2020), 55쪽 194

[사진 5-7] 곡성 하한리 지표 수습 흑자류, 『곡성 하한리 근대 요장 연구용역 학술연구보고서』(2020), 55쪽 194

[사진 5-8] 곡성 생산 백자 대접, 『工藝』 82(1938) 196

[사진 5-9] 곡성 생산 흑자 고족접시, 『工藝』 82(1938) 196

[사진 5-10] 조선 다완과 곡성 생산품(四), 『工藝』 5月號(1931) 196

[사진 5-11] 조선 각 지방의 사발과 곡성 생산품, 『朝鮮古窯跡の硏究によりて得られたる朝鮮窯業の過去及び將來』(1934) 196

[사진 5-12] 흑자 고족접시, 일본민예관, 『일본민예관 소장 한국문화재Ⅱ : 도자·회화편』(2017), 167쪽 197

[사진 5-13] 흑자 발과 접시, 울산 상삼정리 가마터 출토 200

[사진 6-1] 영암도기박물관과 요장 일원 214

[사진 6-2] 강진 고려청자박물관과 요장 일원 216

[사진 6-3] 부안청자박물관과 요장 일원 217

[사진 6-4] 인천 서구 녹청자박물관 전경 218

[사진 6-5] 광주 무등산분청사기 전시관 전경 219

[사진 6-6] 창원 웅천도요지전시관 전경 221

[사진 6-7] 김해 진례면 송정리 도자문화 단지 전경 222

[사진 6-8]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전경 223

[사진 6-9] 무안분청사기명장전시관 전경 224

[사진 6-10] 공주 계룡산 도자예술촌 전경 225

[사진 6-11] 양구백자박물관 전경 227

[사진 6-12] 창원 웅천 분장청자 요장 보호각 228

[사진 6-13] 시흥 방산동 청자와 백자 요지 정비 현황 230

[사진 6-14] 광주廣州 분원백자자료관 주변 정비 현황 230

[사진 7-1] 青釉四系罐, 晚唐~五代, 蘭田窯 遺蹟 出土, 景德鎭御窯博物院藏 240

[사진 7-2] 白釉碗, 晚唐~五代, 蘭田窯 遺蹟 出土, 景德鎭御窯博物院藏 241

[사진 7-3] 青白釉瓷枕, 北宋, 湖田窯, 景德鎭御窯博物院藏 241

[사진 7-4] 青花蓮池紋花口盤, 元, 景德鎭御窯博物院藏 243

[사진 7-5] 2003년 御窯廠 遺蹟, 珠山 北麓 발견, 永樂地層 구덩이에 매몰된 상태의 자기편 堆積 244

[사진 7-6] 青花御窯廠圖圓瓷板, 北京首都博物館藏 249

[사진 7-7] 御窯廠國家考古遺蹟公園 251

[사진 7-8] 御窯廠 遺蹟, 주변 民家가 수리된 모습 252

[사진 7-9] 陶陽裏御窯 觀光地區 地圖 253

[사진 7-10] 御窯廠 遺蹟, 주변 상가시설 253

[사진 7-11] 御窯廠 遺蹟, 珠山 남쪽 작업장[作坊] 遺構 254

[사진 7-12] 御窯廠 遺蹟, 珠山 남쪽 작업장[作坊] 보호각 254

[사진 7-13] 御窯廠 遺蹟, 珠山 남쪽 明中期 饅頭窯 遺構群 255

[사진 7-14] 御窯廠 遺蹟, 珠山 남쪽 饅頭窯 遺構群 보호각 255

[사진 7-15] 御窯廠 遺蹟, 珠山 북쪽 明早期 葫盧窯 遺構群 256

[사진 7-16] 2016년 御窯廠 遺蹟 발견, 明早期 東北 가장자리 담당 遺構 256

[사진 7-17] 御窯博物館 新館 257

[사진 7-18] 北京故宮博物院과 공동 주관한 傳世·出土 御窯瓷器 對比展 現場 258

[사진 7-19] 2019년 御窯廠 遺蹟 出土 遺物 上海博物館 전시 259

[사진 7-20] 2019년 中國科技大學 江建新 先生 학술 강연(御窯神韻 : 景德鎭明代瓷器硏究興鑑賞) 259

[사진 7-21] 御窯를 참관하는 대학생들 260

[사진 7-22] 湖田窯 遺蹟, 民窯博物館 261

[사진 7-23] 1982년 湖田窯 出土 青釉 "迪功郞"銘甁 262

[사진 7-24] 民窯博物館 264

[사진 7-25] 民窯博物館 "천년동안 불을 지피다(薪火千年)"展 264

[사진 7-26] 民窯博物館의 遺蹟 展示區域 265

[사진 7-27] 湖田窯 遺蹟, 明代 葫蘆窯 遺蹟 265

[사진 7-28] 樂平 南窯 遺蹟, "1號 龍窯" 266

[사진 7-29] 青釉瓷質腰鼓, 南窯 遺蹟 出土 267

[사진 7-30] 전문가 현장조사 : 樂平 南窯 遺蹟 267

[사진 7-31] 관련 전문가들이 樂平市博物館을 방문하여... 268

[사진 7-32] 1980년 落馬橋 窯場 유적에서 출토된 銘文이 적힌 안료실험편, 景德鎭御窯博物院藏 270

[사진 7-33] 落馬橋 窯場 遺蹟 발견 元代 地層 270

[사진 7-34] 元青花人物紋梅瓶 破片, 落馬橋 窯場 遺蹟 出土, 景德鎭御窯博物院藏(좌) 270

[사진 7-35] 元青花龍紋罐 破片, 落馬橋 窯場 遺蹟 出土, 景德鎭御窯博物院藏(우) 270

[사진 7-36] 落馬橋 窯場 遺蹟에서 발견된 元代의 고급 庭院 遺構 271

[사진 7-37] 景德鎭陶瓷民俗觀光地區(景德鎭陶瓷曆史博覽區)入口 273

[사진 7-38] 陶瓷民俗博物館 入口 274

[사진 7-39] 물레 성형공간[坯房] 275

[사진 7-40] 清化 鎭窯 276

[사진 7-41] 再建된 御窯 六式窯 277

[사진 7-42] 明園 278

[사진 7-43] 清園 倉溪 民家, 華七公 邸宅 278

[사진 7-44] 정자 278

[사진 7-45] 明園 五股祠堂 279

[사진 7-46] 清園 玉華堂 279

[사진 7-47] 唐英紀念館 281

[사진 7-48] 窯神 '童賓'의 조각상 282

[사진 7-49] 고대 가마 이미지 관광단지[古窯印象旅遊綜合體] 283

[사진 7-50] 玉華堂 內 景德鎭陶瓷民俗展示館 284

[사진 7-51] 中國 古今의 名人 陶瓷 書藝展 285

[사진 7-52] 五股祠堂 내에 위치한 景德鎭民俗文化 展示 285

이용현황보기

곡성 하한리 근대 백자 요장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08766 738.20951983 -2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13674 738.20951983 -2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