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

제1부 | 제주학의 시선
제1장 기후 환경적 측면에서 본 제주 민간신앙
1. 머리말
2. 제주섬의 민간신앙
3. 제주섬의 기후환경 특성
4. 맺음말

제2장 지석묘 분포지역의 지리적 환경- 제주시 지역을 사례로 -
1. 머리말
2. 지석묘 사회 중심지의 지리적 환경과 특징: 제주시 중심부의 경우
3. 지석묘 밀집 분포지역의 지리적 환경과 특징
4. 맺음말

제3장 여말선초麗末鮮初 제주의 기와수공업
1. 머리말
2. 문헌으로 본 여말선초 제주의 기와수공업
3. 고고자료로 확인하는 여말선초 제주의 기와수공업
4. 맺음말

제4장 일제강점기 출가해녀 입어 및 해녀어업조합- 해녀박물관 소장 관련자료 해제 -
1. 일제강점기 출가해녀 입어권 분쟁
2. 해녀어업조합 설립과 운영
3. 자료 해제

제5장 제주시 칠성로 다방문화의 식문화사적 의미
1. 머리말
2. 커피문화의 도래, 태동기(1930년대)
3. 위안처‘ 칠성다방’, 커피문화의 개화기(1940년대)
4. 이주민과 원주민의 공동창작 공간, 다방문화의 르네상스기(1950년대
5. 다방의 시련과 대중화기(1960년대
6. 칠성통‘ 제2의 명동다방길’, 거리의 응접실화(1970년대)
7. 다방의 양분화와 고전식 다방의 퇴화기(1980년대)
8. 지는 다방영업, 떠오르는 커피전문점(1990년 이후)
9. 맺음말



제2부 | 인류학의 시선
제6장 제주성 일대 옛길의 가치규명과 활용
1. 머리말
2. 옛길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3. 옛길의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
4. 제주성 일대의 옛길 고증과 현황
5. 제주성 일대 옛길의 보존과 활용
6. 맺음말

제7장 공동체적인 삶과‘ 유산’
1. 머리말
2. 유산을 어떻게 볼 것인가: 상품인가 커먼즈인가
3. 공동자원으로서의 유산과 마을의 재구성
4. 맺음말

제8장 조합장 선거에 나타난 제주문화의 정치성
1. 머리말
2. 농협의 성격과 조합장의 역할
3. 선거법 위반의 위험과 상호 감시
4. 선거 과정과 마을
5. 득표 전략과 부탁의 호혜성
6. 맺음말

제9장 애월읍 납읍리의 제사분할
1. 머리말
2. 조사지 납읍리
3. 김해 김씨 일당 내의 제사 계승
4. 제사분할의 개시기(開始期)
5. 제사분할의 논리
6. 맺음말

제10장 일본인과 재일코리안 고령자의 네트워크와 건강
1. 머리말
2. 조사지 개요
3. 양적조사
4. 생활사 조사
5. 맺음말

제11장 제주출신 재일동포 1세의 삶의 현장과 영면의 터전
- 주검으로 귀향하는「 생장生葬」 사례를 중심으로 -
1. 이주자의 죽음
2. 이주하는「 생 」
3. 귀향하는「 死 」
4. 사후의 세계관
5「. 고내리」에 살며 고내리에 잠들다
6. 후기

제3부 | 제주도와 유철인
제12장 제주도에 대한 자기 민족지와 학문적 생애사
1. 도서성
2. 재일제주인
3. 제주4·3사건
4. 제주해녀
5. 제주학

유철인庾喆仁 약력과 연구업적
1. 약력
2. 연구업적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인류학과 제주학의 시선으로 제주도를 읽다 : 인류학과 제주학의 시선으로 본 제주도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13372 951.985 -2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13373 951.985 -2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10498 951.985 -22-12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인류학과 제주학의 시선으로 본 제주도
제주도는 섬이지만 작은 대륙이라 할 정도로 자연과 문화가 다양하다. 이 책은 인류학과 제주학의 관점에서 여러 저자들이 다양한 학문적 접근으로 제주도를 읽어내고 있다. 환경철학자와 인문지리학자가 민간신앙과 지석묘를 통해 제주도의 환경을 논했고, 역사학자는 고려말 제주의 기와수공업과 일제강점기의 출가해녀를 다루었으며, 영양학자는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제주시 다방의 식문화를 살펴보았다. 인류학자는 제주시 원도심의 역사문화자원, 공동체의 공동자원인 유산, 마을의 사회적 네트워크, 제사분할을 논하면서 제주사회와 제주문화를 들여다보았고, 재일제주인 연구자는 재일제주인 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죽어서라도 일본에서 고향 제주도로 돌아오는 사례를 다루었다.

濟州島: 人類學과 濟州學의 視線
이 책은 인류학자인 제주대학교 유철인 교수의 정년퇴임(2022년 2월 28일)을 기념하여, 그와 함께 제주도를 연구해 온 이들이 인류학과 제주학의 시선으로 제주도와 제주사람을 들여다본 글을 모아 펴낸 것이다. 인류학 차원에서 본다면 제주섬을 다루는 제주학은 그것의 일부이지만, 제주도의 자연, 인문, 사회분야를 아우르는 제주학의 관점에서 본다면 인류학은 그것의 한 부분이다. 이 책에서는 제주학의 시선으로 제주도의 환경과 역사를 다루었고, 인류학의 시선으로 제주도의 공동체와 재일제주인을 들여다보았다. 책의 말미에는 유철인 교수의 약력과 연구업적을 실었는데, 제주도를 연구해 온 그의 학문활동은 인류학과 제주학의 관점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만든다.

<저자 약력>
글쓴이 (게재 순)
윤용택 尹龍澤 Yoon, Yong-Taek
제주대학교 철학과 교수·과학철학/환경철학 전공

정광중 鄭光中 Jeong, Kwang-Joong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수·인문지리학 전공

전영준 全暎俊 Jeon, Young-joon
제주대학교 사학과 교수·고려시대사 전공

박찬식 朴贊殖 Park, Chansik
제주와미래연구원 제주역사연구소장·한국사 전공

오영주 吳榮周 Oh, Young-Ju
제주한라대학교 국제관광호텔학부 교수·인체영양학전공

강경희 姜京希 Kang, Kyung-Heui
(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 연구원·문화인류학 전공

백영경 白英瓊 Paik, Young-Gyung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문화인류학/여성학/과학기술 전공

김창민 金昌民 Kim, Chang-Min
전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문화인류학 전공

쓰하 다카시 津波高志 Tsuha, Takashi
일본 류큐(琉球)대학 명예교수·사학방법론/민속학 전공

가와노 에이지 川野英二 Kawano, Eiji
일본 오사카시립대학 교수·도시사회학 전공

이지치 노리코 伊地知紀子 Ijichi, Noriko
일본 오사카시립대학 교수·문화인류학 전공

이인자 李仁子 Lee, Inja
일본 도호쿠(東北)대학 교육학연구과 부교수·문화인류학 전공

유철인 庾喆仁 Yoo, Chul-In
제주대학교 명예교수·문화인류학 전공

옮긴이 (게재 순)
강경희 姜京希 Kang, Kyung-Heui
(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 연구원·문화인류학 전공

전은휘 全��輝 Jeon, Eunhwee
오사카시립대학 도시문화연구센터 연구원·인문지리학 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