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요약 4

목차 6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4

1. 연구의 배경 14

2. 연구의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기대효과 18

1. 연구의 범위 18

2. 연구의 방법론 19

3. 연구의 기대효과 20

제2장 한국과 베트남의 FTA 환경 분석 24

제1절 FTA 관련 법령·규정 24

1. FTA 관련 법령·규정의 비교분석 24

2. 비교분석 시사점 40

제2절 원산지 관리 업무 프로세스 분석 42

1. FTA 원산지 판정 프로세스 42

2.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 프로세스 49

3. 한국과 베트남의 원산지 판정 및 발급 시의 차이점 55

4. 비교분석 시사점 58

제3절 IT 기술 활용 분석 59

1. IT 기술 활용의 비교분석 59

2. 비교분석 시사점 65

제3장 원산지관리시스템 요구사항 도출 70

제1절 실태조사를 통한 요구사항 파악 70

1. 실태조사 개요 70

2. 실태조사 분석 71

3. 실태조사를 통한 시사점 82

제2절 시스템 요구사항 도출 84

1. 시스템 구축 시 요구사항 84

제4장 원산지관리시스템 모형제시 및 검증 90

제1절 원산지관리시스템의 모형 설계 90

1. 시스템 전체 구성안 90

2. 시스템 메뉴 설계 95

3. 사용자 업무 설계 97

제2절 원산지관리시스템 모형의 검증 102

1. 원산지관리시스템 모형 검증 개요 102

2. 원산지관리시스템 모형 검증 결과 106

3. 원산지관리시스템 모형 검증을 통한 시사점 109

제5장 결론 114

제1절 원산지관리시스템 확대 방안 114

1. FTA 활용과 원산지관리시스템의 상관관계 114

2. 원산지관리시스템 확대 방식 115

3. 시스템 확대를 위한 방안 제시 119

제2절 연구결과의 요약 121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한계점 121

2. 베트남의 원산지관리시스템 도입 방안 122

참고문헌 124

Appendix 125

Appendix 1. 원산지결정기준별로 상이한 베트남의 원산지소명서 양식 125

Appendix 2. 한국의 기관발급 원산지증명서 발급절차(세관) 129

Appendix 3. FTA 활용환경 및 원산지 관리 현황 실태조사 설문지(KR) 133

Appendix 4. FTA 활용환경 및 원산지 관리 현황 실태조사 설문지(VN) 140

판권기 148

뒷표지 149

표목차 9

표 1. 한국과 베트남의 원산지 판정에 대한 비교분석 27

표 2. 한국과 베트남의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에 대한 비교분석 29

표 3. FTA 원산지증명서 신청 시 제줄서류 목록 30

표 4. 한국의 협정별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 주체 35

표 5. 베트남의 협정별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 주체 35

표 6. 한국의 인증수출자 혜택 38

표 7. 한국과 베트남의 서류보관에 대한 비교분석 요약 39

표 8. 한국의 주체별 보관서류 39

표 9. 한-베 FTA 협정문 제3장 제3.3조 완전하게 획득하거나 생산되지 않은 상품 48

표 10. CPTPP 협정문 제3장 제3.5조 Regional Value Content 49

표 11. 한국 기관발급 원산지증명서의 정정 신청 방법 51

표 12. 베트남 원산지증명서 발급 방법 52

표 13. 한국과 베트남의 원산지증명서 판정 및 발급 비교 55

표 14. 한국과 베트남의 원산지증명시스템 비교 60

표 15. 국내 원산지관리시스템 현황 62

표 16. 실태조사 구성항목 71

표 17. 원산지증명서 발급방법 및 소요기간 72

표 18. 베트남에서의 통관프로그램 활용현황 73

표 19. 베트남에서의 회계프로그램 활용률 73

표 20. 베트남에서 원산지 판정을 위한 구매, 판매 데이터 관리 방법 74

표 21. 베트남에서 수출입신고 데이터의 FTA 원산지 판정 활용률 75

표 22. 베트남에서 원산지 판정 시 BOM 활용 현황 76

표 23. 베트남 협력사로부터 Annex 10 수취 방법 77

표 24. 원산지 증빙자료의 종류 및 보관방법 78

표 25. 원산지 조사 경험 79

표 26. 원산지관리시스템 사용 여부와 미사용 사유 80

표 27. 원산지관리시스템 운영 방식의 유형별 장단점 81

표 28. 원산지관리시스템 운영 방식의 유형별 선호도 81

표 29. 원산지관리시스템 개발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 82

표 30.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스템 요구사항 82

표 31. 요구사항에 따른 시스템 반영 계획 84

표 32. 기초·거래정보 상세 내용 93

표 33. 원산지 판정 상세 내용 94

표 34. 서류 출력 상세 내용 95

표 35. 원산지관리시스템 메뉴 설계 96

표 36. 원산지관리시스템 메뉴 설계 세부사항 96

표 37. 원산지 판정 사용자 업무 설계 100

표 38. 서류보관 사용자 업무 설계 101

표 39. 파일럿 테스트 참여 기업의 특성 105

표 40. 파일럿 테스트 참여 기업의 의견 110

표 41. 한국의 원산지관리시스템 유형별 특징 115

표 42. 기업 규모별 원산지관리시스템 도입 현황 116

표 43. 사용기간에 따른 원산지관리시스템 유형 116

표 44. 원산지관리시스템의 도입 목적 117

표 45. 최근 5년간 누적 사용자 수(FTA-PASS) 119

표 46. 최근 5년간 원산지증명서 발급 건수(FTA-PASS) 119

그림목차 11

그림 1. 한국과 베트남의 FTA 활용률 15

그림 2. 원산지관리시스템과 원산지증명시스템의 관계도 18

그림 3. 한국의 FTA 법령체계 24

그림 4. 베트남의 FTA 법령체계 25

그림 5. 한국의 원산지소명서 서식 31

그림 6. 베트남의 원산지소명서 양식 예시 33

그림 7. 한국의 원산지 증명서류 발급 37

그림 8. 베트남의 원산지 증명서류 발급 37

그림 9. 세번변경기준/부가가치기준 원산지 판정 프로세스 43

그림 10. 한국 관세청 사이트를 통한 HS Code 검색 화면 44

그림 11. 한-베 FTA 협정문 부속사 3-가 품목별 원산지규정 46

그림 12. 한국 FTA 포털을 통한 협정별 원산지결정기준 검색 화면 47

그림 13. 한국의 원산지증명서 발급 절차 50

그림 14. 베트남의 Profile 등록 절차 53

그림 15. 베트남 기관발급 원산지증명서 발급 신청 절차 54

그림 16. 베트남 전자발급 원산지증명서 발급 신청 절차 54

그림 17. 한국과 베트남의 원산지증명서 발급 전산화 정도 59

그림 18. FTA-PASS 사용 유형 63

그림 19. In-House 형태의 원산지관리시스템 예시 64

그림 20. 별도 구축 원산지관리시스템 예시 65

그림 21. 원산지관리시스템 아키텍쳐 91

그림 22. 원산지관리시스템 기능 구성 92

그림 23. 기초·거래정보 설계도 93

그림 24. 원산지 판정 설계도 94

그림 25. 서류 출력 설계도 95

그림 26. 8원산지관리시스템 모형 102

그림 27. 베트남 FTA 원산지관리시스템을 통한 원산지 판정 화면 103

그림 28. 파일럿 테스트 화상회의(Lux Share Company) 104

이용현황보기

베트남 원산지증명시스템 구축 컨설팅 사업 : 2021 한-베 통상연계형 경제협력사업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18539 382.9510597 -2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18540 382.9510597 -2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