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서론제1장. 개항기(1876-1910) 조선의 아편 확산 배경 1. 들어가며 2. 개항기 조선의 아편 소비와 확산 3. 개항기(1876-1910) 조선의 아편 확산과 청국 상인 4. 소결제2장. 식민지 시기 조선총독부의 아편·마약정책과 그 실태 1. 들어가며 2. 1910년대 조선총독부 아편정책의 실상 3. 1930년대 조선총독부 모르핀 대책의 실상 4. 소결제3장. 식민지 조선의 지방 의료체계와 모르핀 오남용 : 1920년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지방 의료체계의 문제점 3. 지방 의료인과 모르핀 오남용 4. 소결 제4장. 식민지 시기 만주 이주 한인과 아편 : 마적, 비적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1920년대 마적과 한인, 그리고 아편 3. 1930년대 만주지역의 아편 재배와 한인, 그리고 비적 4. 소결제5장. 식민지 시기 중국 화북 이주 한인과 아편·마약 밀매문제 : 청도(靑島)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일본의 청도 점령과 아편정책 3. 일본의 청도 반환과 한인의 아편·마약 밀매 4. 소결제6장. 식민지 시기 재일 한인과 마약문제 : 1930년대 도쿄부(東京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1920~1930년대 한인의 도일과 마약문제 3. 재일 한인 마약 중독자의 실태와 원인 4. 소결제7장. 해방 이후 이주 한인의 귀환과 아편·마약 문제: 중국지역 귀환 한인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해방 직후 만주·화북지역 한인의 귀환과 마약문제 3. 1960년대 군사 정부의 마약정책과 ‘만주국’의 유산 4. 소결결론 참고문헌 일문초록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아편과 조선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17785
951.61 -22-6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17786
951.61 -22-6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56776
951.61 -22-67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한반도에 아편이 유입된 것은 아편전쟁 이후로 알려져 있다. 아편이 조선에 언제 어떻게 유입되어 확산되기 시작하였는지, 아편의 흡연과 확산의 동기는 어떤 것이었는지, 조선 정부는 아편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처했는지, 아편의 확산이 당시 조선 사회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어서 식민지 시기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일본의 조선 강점기의 아편·모르핀 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했다는 얘기는 이미 기존 연구서나 문학작품, 관련 영화 등을 통해서도 많이 회자되었다. 여기에서는 식민지 시기 조선의 아편·마약문제가 어떻게 해서 사회적으로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되었는지에 대해 일본과 조선총독부의 아편·모르핀 정책의 분석 속에서 당시 일본의 내부자료, 공간자료, 언론기사 등을 통해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해외 이주 한인과 아편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기존의 부족했던 연구 내지 새로운 관점에서 중국 화북의 청도(靑島), 만주의 마적·비적, 그리고 재일 한인의 아편·마약문제에 관해서도 다루었다. (책을 내면서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