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구도가 만든 숲 / 유영은 -- 자개장의 용도 / 함윤이 -- 저 외로운 궤도 위에서 / 이하진 -- 시차와 시대착오 / 전하영 -- 시티 라이트 / 나인경 -- 백허그 공모전 / 임현석 -- 프로메테우스의 여자들 / 서계수 -- 어쨌든 이곳은 여름 / 최미래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구도가 만든 숲 7 자개장의 용도 37 저 외로운 궤도 위에서 79 시차와 시대착오 121 시티 라이트 173 백허그 공모전 213 프로메테우스의 여자들 241 어쨌든 이곳은 여름 273
이용현황보기
구도가 만든 숲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40560
811.33 -22-142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40561
811.33 -22-142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63497
811.33 -22-1420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각자의 궤도에서 각기 다른 빛을 내는 여덟 편의 소설, 여덟 명의 신예 작가
그해 가장 기대되는 신예 작가를 만날 수 있는 앤솔러지 시리즈 ‘내러티브온’의 세 번째 책으로 《구도가 만든 숲》가 안온북스에서 출간되었다. 등단 여부와 장르의 경계를 가리지 않고 가장 자유로운 지면으로서, 2021년 《왜가리 클럽》에 이어 올해는 《구도가 만든 숲》으로 독자를 만난다. 나인경, 서계수, 유영은, 이하진, 임현석, 전하영, 최미래, 함윤이 작가가 참여한 이 책은 판타지와 SF를 아우름은 물론, 일상의 섬세한 감각을 다룬 소설부터 팬데믹을 은유하는 음울한 상상을 드러내는 작품까지 다채로운 형식으로 다양한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한다. 《구도가 만은 숲》에 모인 작가들은 8편의 이야기로서, 전염병이 일상화되고 구조적 모순이 개인을 옥죄는 이 시대에 불안과 공허를 치유할 구원의 빛을 찾는다. 그건 내가 사랑했던 공간의 복원일 수도 있고, 편도로 떠나는 기나긴 여행이기도 하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해줄 절대자이거나 스스로를 껴안는 방법을 깨닫는 지하철의 순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읽는 우리에게 이야기는 한 줄기 희망을 건넨다. 지금 여기 우리가 살아 있다는 명제, 그리하여 서로의 이야기를 들어주어 이 삶을 지속할 수 있다는 사실, 바로 그것이다.
■ 여덟 편의 이야기 숲: 작품 소개
유영은 작가의 〈구도가 만든 숲〉에서 ‘구도’와 ‘나’는 6년 전 아르바이트를 두 달 같이한 사이이다. 구도는 식당 주인이기도 했던 이모가 작년에 돌아가셨다는 소식에 한달음에 서울로 올라온다. 밤중에 터미널에 도착한 구도는 곧바로 이모와 자주 갔다는 ‘용화가든’으로 가 그곳의 흙을 담으려고 한다. 구도는 고향인 J시에 작은 인공숲을 만들고 있다고 한다. 함윤이 작가의 〈자개장의 용도〉는 증조할머니 때부터 이어 내려온 자개장에 얽힌 비밀을 이야기하는 환상적 소설이다. 자개장에 들어가며 가고 싶은 곳을 생각하면, 그곳에 갈 수 있다. ‘나’는 자취방까지 자개장을 들여와 서울 곳곳을 다닌다. 하지만 ‘정우’가 말하는 ‘강 건너’로 가기란 쉽지 않다. 그리고 나의 욕망에서 비롯된 실수는, 내게 더 소중한 정우를 잃게 한다. 이하진 작가의 〈저 외로운 궤도 위에서〉는 자본의 논리가 지배하는 미래 사회를 그리고 있다. 유진은 ‘베큠라인’에서 택배 기사로 일한다. 로봇이 맡아 해야 할 만큼 위험한 일이지만 유진은 ‘SP-2202 기억 공원’을 볼 수 있기에 그곳에서 일한다. 그곳은 유진이 가족을 잃은 궤도이다. 그리고 같은 곳에서 지금은 기억 공원 노동자가 파업 중이다. 전하영 작가의 〈시차와 시대착오〉는 같은 시대를 적지 않은 시차를 두고 살아가는 두 세대의 이야기다. ‘이명식’은 평생을 살면서 영등포의 낡은 상가 건물을 남겼다. 그런 명식에게 딸 ‘미루’는 언제나 걱정거리이다. 미루는 파인아트를 전공했고 지금은 갤러리에서 일하지만 예술에 대한 열정은 갈수록 식고 있다. 나인경 작가의 〈시티 라이트〉는 미증유의 바이러스를 경험하고 후유증에 시달리는 존재를 ‘우로’라는 술집을 통해 그리는 작품이다. 우로에서 주로 취급하는 ‘요’는 중추신경을 건드려 감각을 둔화시켜 결국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게 만든다. 전염병 이후 각종 후유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차라리 그 무엇도 느끼고 싶지 않아 한다. 그런 사람들이 ‘우로’에 모였다. 임현석 작가의 〈백허그 공모전〉은 비교심리학에서 ‘백허그’를 진지하게 다룬다는 설정이 돋보인다. 백허그 공모전에 수상하면 특기생으로 대학에 갈 수 있다는 소식은 재수학원에 다니는 ‘정아’의 구미를 당긴다. 정아는 같은 학원의 ‘영호’와 팀을 이뤄 공모전 준비를 한다. 완벽한 백허그를 위해 둘은 동분서주하지만 그것이 무엇인지, 아직은 알 수 없다. 서계수 작가의 〈프로메테우스의 여자들〉은 거대한 세계관의 진입로와 같은 소설이다. 상냥한 아버지와 거리감을 느끼는 어머니 사이에서 혼란함을 느끼던 연소는 “신과 독대하고도 몸과 마음이 무너지지 않을 자”인 ‘마리아’로 간택되어 의식을 행한다. 신의 허리를 창으로 찔러야 하는 의식을 앞두고 연소는 뜻밖의 대화를 누군가와 나누게 된다. 최미래 작가의 〈어쨌든 지금은 여름〉의 주인공 ‘나’는 사설 교육 센터에서 10대 청소년에게 글쓰기를 가르친다. 처음 그에게 관심을 받고 싶어 하던 ‘은총’은 이제 수업을 방해하고 나를 괴롭히는 학생이 되었다. 은총은 언젠가부터 수업에 나오지 않는 ‘고유리’를 주인공으로 소설을 쓰고, ‘나’는 갑자기 집을 나가버린 연인을 생각한다. 상실과 부재를 대신하는 이름들을.
책속에서
돌아보면 그 숲에서 제게 가장 중요했던 건 특정한 모습이라기보다 숲의 바닥을 딛는 감각이었던 것 같아요. 얼마간 단단하고 얼마간 푹신한, 촉촉한 흙 위에 두 발이 안전하게 내려앉는 느낌. 정확하고 분명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두 발. 어느 방향으로 가도 땅이 이어진다는 확신. 인공숲과 함께 잃어버린 것이 그 감각인지도 모르겠다고 구도는 말했다. -〈구도가 만든 숲〉에서
요새는 어디에 가장 가고 싶어? 정우가 생각에 잠긴 동안, 나는 그의 옆얼굴을 물끄러미 보았다. 둥그스름한 귀와 눈썹 옆에 난 작고 움푹한 흉터, 땀에 젖은 앞머리. 그런 것을 보면 마음이 유순하게 가라앉았다. 지금은…… 정우가 말했다. 강 건너편이 궁금하네. -〈자개장의 용도〉에서
유진은 쉴 새 없이 몸을 움직이며 면체와 방호복 사이 공간의 피부가 드문드문 따가운 것을 느꼈다. 내가 왜 이러고 있지? 뭘 위해서? 이렇게까지 해야 할 일이었을까? 곧이어 배송 기사에게 지급되는 싸구려 방호복으로는 활동 시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듯 목이 간지럽고 따끔거리기 시작했다. 진작에 대체되었어야 하는 일이었다. 사람이 있을 곳이 아니었다. -〈저 외로운 궤도 위에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