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암의 본명은 "김명우"임 참고문헌(p. 379-384)과 색인 수록 본문은 한국어, 중국어가 혼합 수록됨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추천의 글 / 들어가는 말 이끄는 글: 『백법논의』·『팔식규구통설』 및 저자에 대하여 제1부 『대승백법명문론』 원문과 해석 Ⅰ. 『대승백법명문론』 원문 / Ⅱ. 『대승백법명문론』 해석 / Ⅲ. 5위백법五位白法 제2부 『백법논의』 주해 Ⅰ. 서문-『대승기신론』으로 유식의 핵심 가르침을 개관하다 / Ⅱ. 51심소법 / Ⅲ. 색법 / Ⅳ. 심불상응행법 / Ⅵ. 무아 제3부 『팔식규구』 원문과 해석 제4부 『팔식규구통설』 주해 Ⅰ. 『팔식규구』의 저자 및 『팔식규구통설』의 주석자를 밝히다 / Ⅱ. 『팔식규구통설』의 서문을 해설하다 / Ⅲ. 팔식의 전체 내용을 간략하게 해설하다 / Ⅳ. 전오식 게송(五識頌) / Ⅴ. 제6 의식 게송(六識頌) / Ⅵ. 제7 말나식 게송 / Ⅶ. 제8 아뢰야식 게송(八識頌) / Ⅷ. 나오는 말 / Ⅸ. 육조대사의 전식득지에 대한 게송 해설(六祖大師識智頌解) 참고문헌 /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감산의 『백법논의(百法論義)』, 『팔식규구통설(八識規矩通設)』 연구와 유식불교 = A study on the discussion of Baifalunyi·Bashiguijutongshuo of Hanshan and yogacara buddhism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52040
294.824 -23-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52041
294.824 -23-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참선 수행을 하는 사부대중을 위한 수행 지침서 감산스님의 『백법논의』와 『팔식규구통설』
“유식은 미륵보살에 의해 창시되어, 무착보살을 거쳐 세친보살에 의해 완성된 불교사상입니다. 이후 십대논사 중의 한 분인 호법과 그 제자 계현을 거쳐 현장스님에게 전해져 동아시아로 이식되었으며, 현장스님의 제자 자은대사 규기스님에 의해 법상종으로 발전합니다. 유식사상을 압축하면 삼계유심三界唯心, 만법유식萬法唯識, 유식소변唯識所變, 유식무경唯識無境,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등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존재하는 모든 것은 오직 식識(心)이 변한 것으로, 식과 무관한 대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추천의 글 중에서
보통 ‘유식唯識’이라고 하면, 일반인은 물론이고 불교를 잘 안다고 하는 사람조차도 어렵고 힘든 공부라는 인식이 있다. 이에 저자는 독자들이 이런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 편하게 ‘유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 연구한 결과물을 한데 모아 책으로 펴냈다. 이 책은 명나라 시대의 선 수행자이자 교학의 제일인자였던 감산스님의 유식사상을 그의 두 저작인 『대승백법명문론논의』(『백법논의』)와 『팔식규구통설』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백법논의』는 세친보살이 5위백법을 간략하게 정리한 『대승백법명문론』에 대한 감산스님의 주석이고, 『팔식규구통설』은 현장스님이 8가지 식(八識)을 12개의 게송으로 압축해서 설명한 『팔식규구』에 대한 감산스님의 주석이다. 그리고 이 두 책을 합본하여 『성상통설』이라고 한다. 감산스님은 이 두 책을 ‘참선 수행을 하는 사부대중’을 위한 수행 지침서로서 저술하였으며, 주석을 통해 끊임없이 유식과 참선 수행을 연관시키고, 참선 수행자는 반드시 유식을 공부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세친보살의 『대승백법명문론』의 한역본과 한글 번역이다. 2부는 이에 대한 감산스님의 주석인 『백법논의』에 대한 번역과 주해이다. 3부는 현장스님의 『팔식규구』의 한역본과 한글 번역으로, 『팔식규구통설』에서 발췌하였다. 4부는 이에 대한 감산스님의 주석인 『팔식규구통설』의 번역과 주해이다. 책에는 저자가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마련한 ‘용어해설’이라는 항목이 있다. 감산스님의 주석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이나 설명이 필요한 부분, 그리고 감산스님이 주석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고 풀이한다. 또한 세친보살의 저작인 『대승오온론』, 호법보살의 『성유식론』, 안혜보살의 『대승광오온론』과 『유식삼십송석』, 감산스님의 손상좌인 우익 지욱스님의 『대승백법명문론직해』와 『팔식규구직해』 등의 논서를 추가로 번역하여 참고 자료로 제시한다. 『감산의 『백법논의』⋅『팔식규구통설』 연구와 유식불교』는 참선 수행을 하는 사람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로 추천하며, 보통의 마음챙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