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정책건의 3

01. 서론 1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1) 2021~2022년 경기도 경제충격(위기) 관련 동향 11

(1) 2021년 동향 11

(2) 2022년 동향 13

2) 경제위기대응시스템 도입 필요성 15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8

02. 경제위기대응시스템 관련 국내ㆍ외사례 20

1. 해외 사례 21

1) IMF-FSB 조기경보시스템(Early Warning Exercises, 이하 EWEs) 21

2)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 식량 정보 및 조기경보시스템(Global Information and Early Warning System, 이하 GIEWS) 23

3) 뉴스심리지수(Daily News Sentiment Index) 25

2. 국내 사례 28

1) 중앙정부 경제위기 대응시스템(조기경보시스템) 28

2) 국제곡물 조기경보시스템 31

3) 충청남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33

4) 서울시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 37

5)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밀집지역 위기대응 시스템 구축사업 39

03. 경제위기대응시스템 도입 방안 검토 40

1. 경제위기대응시스템 검토 전 고려사항 41

1) 경제위기대응시스템을 통한 위기대응 개입 시점 41

2) 충청남도 및 서울시 경제위기대응시스템의 시사점 43

2. 경기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도입 방안 45

1) 경기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도입 기본방향 45

2) 모니터링 시스템 46

(1) 경제지표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46

(2) 모니터링 시스템 후보 지표 47

(3) 이상징후 판단을 위한 이론적 방법론 60

(4)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방안 63

3) 경제상황점검회의(가칭) 65

(1) 평상시 경제상황점검회의(가칭) 65

(2) 이상징후 (또는 위기상황) 발생 시 경제상황점검회의(가칭) 69

(3) 위기상황 종료 후 경제상황점검회의(가칭) 72

3. 소결 72

04. 결론 77

1. 요약 및 한계점 78

1) 연구 요약 78

(1) 배경 78

(2) 국내ㆍ외 사례 79

(3) 경기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도입 방안 80

2) 한계점 84

2. 향후 과제 85

참고문헌 86

Abstract 88

[부록 1] 중앙정부 경제분야 위기관리매뉴얼 주요 내용 89

[부록 2] 경기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구축ㆍ운영에 관한 조례안 98

[별첨 1] 비용추계서 106

판권기 2

표목차

[표 2-1] 충청남도 상시 모니터링 부문 및 지표 35

[표 2-2] 서울시 경제위기 진단지표 개요 38

[표 3-1] 경기도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생산 부문 후보 지표 48

[표 3-2] 경기도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소비 부문 후보 지표 49

[표 3-3] 경기도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고용 부문 후보 지표 50

[표 3-4] 경기도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금융 부문 후보 지표 51

[표 3-5] 경기도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대외 부문 후보 지표 52

[표 3-6] 경기도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물가 부문 후보 지표 53

[표 3-7]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 제출 보유 후보 지표 내역 55

[표 3-8] 경기도 시장상권진흥원 제출 보유 후보 지표 내역 55

[표 3-9] 경기도 일자리재단 제출 보유 후보 지표 내역 57

[표 3-10] 경기도 신용보증재단 제출 보유 후보 지표 내역 58

[표 3-11] 이상징후 신호와 경제충격 발생의 경우의 수 61

[표 3-12] 경기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모니터링 참여기관 업무 예시 74

[표 3-13] 경기도 평상시 경제상황점검회의 부문별 업무 예시 75

[표 3-14] 경기도 위기 발생 시 경제상황점검회의 부문별 업무 예시 76

그림목차

[그림 1-1] 전국 및 경기도 월별 신용카드 결제액(전자상거래 제외) 증감률 추이 12

[그림 1-2] 연구흐름도 19

[그림 2-1] IMF-FSB 조기경보시스템(Early Warning Exercises)의 프로세스 22

[그림 2-2] EWEs의 실증 모형 및 지표 23

[그림 2-3] FAO GIEWS의 프로세스 24

[그림 2-4]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의 Daily News Sentiment Index 추이 26

[그림 2-5] Huang 외(2019)의 Semantic clustering 예시 27

[그림 2-6] 2005년 경제상황점검회의 체계도 29

[그림 2-7] 한국의 국가 조기경보시스템 구조 30

[그림 2-8] 국제곡물 가격지수 및 위기구간 예시 32

[그림 2-9] 충청남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운영체계 34

[그림 2-10] 충청남도 조기경보지수 구성 체계 36

[그림 2-11] 충청남도 경제위기대책본부 조직도 36

[그림 2-12] 중소기업 밀집지역 위기대응 상시 모니터링 체계 39

[그림 3-1] 소비 주체(개인/법인)별 경기도 신용카드 매출 규모(오프라인) 변동 43

[그림 3-2] 경기도 모니터링 시스템 전체 체계도 예시 66

[그림 3-3] 평상시 경기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체계도 예시 69

[그림 3-4] 위기 발생 시 경제위기대책본부 체계도 예시 70

[그림 3-5] 경기도 경제상황점검회의 체계도 예시 71

[그림 3-6] 경기도 경제위기대응시스템 전체 체계도 예시 73

이용현황보기

경기도형 경제위기대응시스템 도입 방안 연구 = An introduction plan of economic crisis management system in Gyeonggi-do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84332 330.95195 -2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84333 330.95195 -2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