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사회 이행과정에서의 기업의 역할 - 마리 크리스틴 쿠아스네 로케트·마크 스틴·카르미네 디 노이아·신진영
에너지 전환과 지속가능한 기업 경영 - 박경아·앙리 드브랑슈·이용진·지예영·가우탐 쿰라
● 넷제로: 위기를 기회로 기후 인프라-글로벌 넷제로 투자 기회 - 데이비드 지오다노
지속가능한 금융: 기후위기를 성장 기회로 전환하기 - 조너선 드루
SMR 시장의 새로운 기회 - 캄 가파리안·강홍규·김용희·박동일·이창윤·이상일·임채영 Part 6. 자유의 함수
Leader’s Insight 언론의 자유와 소셜미디어 - 마리아 레사·손지애
● 글로벌 난제의 해법: 자유와 연대 존 테일러 특별 강연: 경제적 자유와 번영을 향해 - 존 테일러·김인철
우크라이나의 재건을 향해 - 율리아 스비리덴코·나경원
프랜시스 후쿠야마와의 대담: 자유의 복원 - 프랜시스 후쿠야마·윤영관
Part 7. 신뢰의 구축과 가치 있는 삶
Leader’s Insight 음식을 통한 일상의 치유·행복과 K-푸드의 경쟁력 - 마츠시게 유타카·김승우
● 병든 일상을 치유하는 문화·예술의 힘 베스트셀러 작가 이민진과의 대화: 소설 《파친코》와 한국의 정서 - 이민진·네다 울라비
K-콘텐츠의 힘 - 네다 울라비·플뢰르 펠르랭·이지영
하이파 알 사우드 공주와의 대화: 여행과 관광, 문화의 미래 - 하이파 빈트 모하메드 알 사우드·이특
● 새로운 삶의 방식과 도전 백신 불평등과 변이 바이러스: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 -리처드 해칫·제롬 김
토니 페르난데스와의 대화: 팬데믹 이후의 여행 - 김종윤·토니 페르난데스·김대관
쇼퍼테인먼트: 디지털 콘텐츠의 변화 -샘 싱
사고 싶게 만드는 것들-고객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학 비즈니스의 힘 - 폴린 브라운
미네르바: 미래 세계를 준비하는 오늘의 교육 - 벤 넬슨·허운나
이용현황보기
세계 지식 트렌드 2023 = World knowledge forum report : 초과회복을 위한 글로벌 리더들의 인사이트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57034
338.544 -23-7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이용가능
0002957035
338.544 -23-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66072
338.544 -23-7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초과회복을 위한 글로벌 리더들의 인사이트 글로벌 경제와 자유의 가치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
2022년 세계지식포럼에서는 단순히 과거 상태로의 복원이 아닌, 그 이상의 도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핵심 이슈 7가지를 트랙으로 구성했다. 매일경제 세계지식포럼 사무국은 신냉전시대(Cold War Redux), 새로운 부(富)의 균형(New Wealth Equation), 산업전환의 역학(Dynamics of Transformation), 미래 행(行) 런치패드(Future Launchpad), 녹색전환&C-테크 레이스(Green Shift & C-Tech Race), 자유의 함수(Algebra of Freedom), 신뢰의 구축과 가치 있는 삶(Rebuilding Trust & Living Inspired) 총 7가지 트랙으로 진행했다.
'신냉전시대' 트랙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가 간의 대립을 '신냉전'의 소용돌이로 보고, 미래 번영을 위한 최적의 선택지를 모색하기 위해 이야기한다. '새로운 부의 균형' 트랙에서는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등 글로벌 경제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세계 주요 국가의 정책 방향으로 살펴본다. '산업전환의 역학' 트랙에서는 팬데믹 이후 급격히 변하는 산업 분야에서 어떤 변화를 이뤄야 하는지 앞으로의 미래를 조망한다. 또한 팬데믹이나 기후변화 등 지속되는 위기 속에서도 혁신을 이루는 분야가 줄을 잇기도 했다. '미래행 런치패드' 트랙에서는 새로운 기술 도입으로 도약을 꿈꾸는 미래 산업의 가능성을 예측하고, '녹색 전환 & C-테크 레이스' 트랙에서는 넷제로를 향해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의 혁신에 대해 논한다. 한편, 자유의 가치를 조명한 '자유의 함수' 트랙에서는 세계 각국에서 경제의 자유와 기업의 자유를 왜곡하지 않고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신뢰의 구축과 가치 있는 삶' 트랙에서는 앞으로 달라질 인류의 삶을 새롭게 이야기한다. 특히 계속되는 팬데믹으로 인해 앞으로 사회, 문화, 생활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질지 혜안을 제시한다.
데이비드 캐머런 제75대 영국 총리를 필두로 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석좌교수,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 레이 달리오 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 창립자, 밥 스턴펠스 맥킨지앤드컴퍼니 글로벌 회장, 프랜시스 후쿠야마 스탠퍼드대 교수, 모리스 레비 퍼블리시스 그룹 감독위원회 회장, 마리아 레사 2021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이민진 소설 《파친코》 저자 등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세계지식포럼의 주제 키워드 ‘초과회복’은 스포츠과학 이론의 용어로 훈련 또는 강도 높은 운동 후의 회복 과정에서 기존의 신체 수준보다 더 나은 상태가 되는 단계를 뜻한다. 계속되는 팬데믹과 잇따른 악재로 미래에 대한 전망이 어두운 가운데, 이 책이 글로벌 위기가 초과회복을 이루는 데 해법이 되기를 바란다.
책속에서
[P.53] 우크라이나·중동 지역에서의 정치적 혼란은 어느 때보다 심각해 보인다. 이로 인해 지난 30~40년 전에 비해 미국의 전 세계적 리더십 약화에 대해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나이 교수는 미국의 리더십이 현재 여전히 전반적으로 강력하게 기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조지프 나이와의 대화: 분열된 세계 속 미국의 리더십’ 중에서)
[P. 99] 세계에는 경제 강국이 있습니다. 미·중·유럽연합 모두 각자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미국은 반민주주의 움직임이 있고요. 유럽은 갈라져 있습니다. 중국의 경우에는 자국의 모델이 붕괴되고 있고, 또 시진핑 정부의 비합리적인 정부 방침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세계 상황은 약소국을 막론하고 강대국에게도 녹록한 상황이 아닙니다. ('Leader's insight - 전쟁과 세계화, 그리고 인플레이션' 중에서)
[P. 113] 달리오 창립자는 전 세계적 정치 난맥상도 경제를 악화시킬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의 부분적 동원령으로 장기화됐고, 미국·중국의 경제 전쟁도 심화하는 중이다. 이런 가운데 정치적 양극화가 심각한 미국은 2022년 11월 중간선거와 2024년 대선을 잇따라 치른다. 달리오 창립자는 "2024년은 정치적으로도 혼란스러운 한 해다. 경제, 안보 등 모든 것이 정치화하면서 경제 상황이 매우 힘들어질 것"이라고 했다. ('레이 달리오와의 대화: 글로벌 경제의 '빅사이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