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6

Subject 1. 대전 선사에서 고려시대 수혈주거 문화의 변천 / 공민규 9

1. 머리말 10

2. 선사시대 주거문화 12

3. 원삼국~백제시대 주거문화 18

4. 통일신라~고려시대 주거문화 24

5. 맺음말 29

참고문헌 32

대전시 선사~고려시대 수혈주거 문화의 변천 : 토론문 / 손준호 35

Subject 2. 조선시대 대전의 주택과 주거문화 / 이왕기 41

1. 머리말 42

2. 대전의 조선시대 마을 43

1) 마을의 개념 43

2) 대전의 동족마을 형성과 변천 45

3. 조선시대 대전의 주거유산 53

1) 동춘당 종택(同春堂 宗宅) 53

2) 소대헌·호연재고택(小大軒·浩然齋古宅) 58

3) 제월당(霽月堂) 및 옥오재(玉吾齋) 59

4) 원일당(源一堂)과 쌍청당 종택(雙淸堂 宗宅) 61

5) 송애당(松崖堂) 63

6) 우암 송시열 고택 : 송자고택 64

7) 기국정(杞菊亭) 66

8) 삼매당(三梅堂) 67

9) 유회당 종가(有懷堂 宗家) 68

10) 유회당과 기긍재(有懷堂 奇窮霽) 69

11) 파평윤씨 서윤공파 고택(坡平尹氏 庶尹公派 古宅) 70

4. 조선시대 대전 사대부 주거의 건축적 특징 72

5. 맺음말 74

참고문헌 76

조선시대 대전의 주택과 주거문화 : 토론문 / 김기주 77

Subject 3. 개항 이후 도시형성과 주택의 특징 / 이상희 83

1. 서론 84

2. 개항 이후 대전의 도시 형성과 변화 84

1) 철도부설과 도시 형성 배경 84

2) 대전의 인구 유입과 사회적 배경 88

3) 해방이전 도시의 변화와 발전 92

3. 개항 이후 근대도시 대전의 주택 102

1) 철도부설과 이국적 주택의 등장 103

2) 대전지역 문화주택의 등장 108

3) 대전의 근대한옥 주택 110

4) 대전부 승격 이후 부영주택 추진 112

4. 결론 115

참고문헌 117

개항 이후 도시형성과 주택의 특징 : 토론문 / 홍용석 118

Subject 4. 대전의 서민주택 건축(1945~1990) / 안준호 123

1. 들어가며 124

2. 단독주택과 저층 연립주택 126

가. 일제강점기 126

나. 후생주택(厚生住宅)과 재건주택(再建住宅) 129

다. 국민주택(國民住宅)과 상가병용주택(商街倂用住宅) 132

라. 공영주택(公營住宅)과 민영주택(民營住宅) 138

3. 아파트 139

가. 초기의 아파트[원문불량;p.147] 139

나. 민간영역의 아파트 건립 147

다. 공공의 아파트 건축 148

라. 상가아파트 153

마. 1980년대 이후의 아파트[원문불량;p.159] 156

4. 정리하며 160

참고문헌 162

대전의 서민주택 건축(1945~1990) : 토론문 / 이진현 163

Subject 5. 1990년대 이후 대전 아파트 주거의 변화 / 강인호 ; 최병숙 171

I. 서론 172

1. 연구의 배경 172

2. 연구의 목적 172

3. 연구방법 173

II. 대전의 아파트 현황과 특성 173

1. 1990년대 이후 공동주택 변화의 개요[원문불량;p.175] 173

2. 1990년대 이후 아파트 계획의 기반 및 특성 181

III. 대전의 내·외부적 요인과 아파트 주거 변화 190

1. 핵심도시기능 둔산개발의 신도심 아파트 주거 190

2. 대전특구 과학연구단지 연구원들의 아파트 주거 192

4. 군사시설 이전과 자운대군인아파트 198

5. 대전북부지역의 공단 배후주거지 아파트 199

6. 송촌동 일대의 새로운 주거타운 아파트 201

7. 월드컵 유성경기장 유치와 노은지구 개발의 신도시 아파트 주거 203

8. 주상복합아파트을 연 스마트시티 206

9. 관저지구 신도시의 서민 아파트 주거 208

10. 도안생태도시 신개발 아파트 주거 209

11. 대전의 장기공공임대[원문불량;p.218] 212

IV. 대전 아파트 주거와 삶의 변화 218

1. 아파트 학군과 교육열, 학원가 조성, 사교육 과열의 주거문화 218

2. 보육과 교육 중심의 아파트 주거문화 219

3. 아파트 주거의 출산·양육 관련 사회화 환경 조성 221

4. 생활권의 변화 상가, 대형마트, 이동시장 5일장 222

5. 아파트 주거의 동네 개념과 이웃소통의 변화 223

6. 아파트 공동체와 마을 만들기[원문불량;p.226] 225

7. 모임, 명절, 김장 연중행사 및 가족행사의 변화 225

8. 소음이나 애완동물 기르는데 생활에티켓이 필요한 아파트 주거 227

9. 분양아파트와 임대아파트 인식 차이 228

10. 안정성, 주차난, 층간소음 문제 등 90년대 아파트의 재건축 논의 229

V. 요약 및 결론 232

1. 요약 232

1) 대전의 아파트 공급 232

2) 대전 아파트 주거공간의 변화 232

3) 아파트 주생활의 변화 234

2. 결론 235

참고문헌 237

1990년대 이후 대전 아파트 주거의 변화 : 토론문 / 박정아[원문불량;p.245] 240

들어가며 240

1. 대전지역 아파트의 진화과정 : 1세대-4세대 241

2. 대전지역 아파트 평면계획의 특성 243

3. 마무리 : 논의점 246

참고문헌 250

Lecture : 대전의 건축가들 / 유병우 255

1. 들어가면서 256

2. 제1세대 건축가 : 1940년 이전 259

3. 제2세대 건축가 : 1940년-1949년까지 276

4. 제3세대 건축가 : 1950년 이후 293

5. 나가면서 315

Lecture : 2022 대전역사문화 학술대회 종합토론 321

판권기 345

뒷표지 347

이용현황보기

대전의 집 : 주택과 주거문화 = Dwelling in Daejeon : architectural and cultural aspect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66582 951.974 -2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66583 951.974 -2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