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4
Abstract 6
1. 연구 배경 16
1.1. 글로벌 질서의 새로운 전환점 17
1.2. 새로운 지역의 출현과 연계 18
2. 연구 목표 20
2.1. 한국지역학의 지식생산구조 현황 조사 및 분석 22
2.2. 한국의 대안적 지역학 패러다임의 가능성 탐색 22
2.3. 지역학 지식생산 제도의 개선 23
3. 연구 진행과정 24
3.1. 주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6
3.2. 주요 추진 일정 27
4. 연구 내용 28
4.1. 한국지역학 지식생산기제의 특성과 의제의 동향 29
4.1.1. Big Data 분석을 위한 자료의 수집과 학술지의 특성 29
4.1.2. 국내 지역학 의제의 흐름과 변화 42
4.2. 전체 지역학 연구의 축소판: 동남아시아 지역학 77
4.2.1. 동남아시아 지역학의 발전과 특징 77
4.2.2. 동남아시아 연구의 하부구조 82
4.3.3. 동남아시아 전공자의 궤적 85
4.2.4. 동남아시아 지역학의 인문학적 기반 강화를 위한 제안 91
4.3. 어문학에서 지역학으로의 진화: 라틴아메리카 지역학 94
4.3.1. 국내 라틴아메리카학의 발전과정 94
4.3.2. 국내 라틴아메리카 지역학 연구 현황 96
4.3.3. 국내 라틴아메리카 지역학의 교육 현황 99
4.3.4. 해외의 라틴아메리카 지역학 연구 101
4.3.5. 국내외 연구동향이 한국의 라틴아메리카 지역학에 주는 시사점 109
4.4. 국내 유럽지역학과 유럽에서의 지역학 112
4.4.1. 유럽의 지역학 발전 112
4.4.2. 유럽의 지역학 동향 115
4.4.3. 학회와 학술지 중심의 지식 생산: 한국의 유럽지역학 123
4.4.4. 한국 유럽학 발전을 위한 과제와 제언 130
4.5. 분과학문의 전문화와 객관적 대상으로서의 지역학적 한계: 미국학 136
4.5.1. 미국에서의 미국학: 미국학(American Studies)의 이중 정체성(dual identity) 136
4.5.2. 한국에서의 미국학 발전 과정 및 한계 146
4.5.3. 한국에서 미국학의 성격 149
4.5.4. 한국 미국학의 발전을 위한 제안 154
4.6. 역사적 특수성에서 보편적 지역학으로의 진화: 일본지역학 157
4.6.1. 일본의 지역학 역사와 특성 157
4.6.2. 한국의 일본 지역연구 현황과 과제 167
4.7. 인문학기반 지역학의 딜레마: 중국지역학 176
4.7.1. 중국지역학 개념의 딜레마와 발전과정 176
4.7.2. 중국지역학의 발전과정 177
4.7.3. 중국지역학 관련 학술지 현황과 연구 방향 178
4.7.4. 중국지역학의 연구추세와 중국지역학의 문제점 187
4.7.5. 중국지역학 연구의 개선 방안 190
5. 결론 192
5.1. 인문학 기반의 지역학을 위한 제언 193
5.1.1. 인문학 기반의 지역학: 고전의 지역학으로의 환류와 문명론적 시각 193
5.1.2. 지역학 대상으로서의 인문학: 인문학 객관화의 수단으로서 지역학이라는 관점 194
5.2. 지역학의 연구대상과 연구범위의 확장: 글로벌지역학 3.0 194
5.3. 지역학 교육ㆍ연구의 제도적 방안 196
5.3.1. 지역학 지식생산 생태계의 제도적ㆍ정책적 구심점 필요: 글로벌지역학연구원 설립 196
5.3.2. 학문적 역량 및 지역학 학문발전이라는 관점에서의 제도적 지원 196
5.3.3. 지역학 지식생산자(연구소, 연구자)에 대한 정성적 평가 197
5.3.4. 학제적ㆍ융합적 연구로서의 지역학을 위한 학문분류 편제의 개선 197
참고문헌 198
[부록] 206
판권기 217
[그림 1-1] 1980년대말 이후 세계화의 변화 17
[그림 3-1] 연구 단계별 추진과정 25
[그림 4-1-1] 지역별 논문 편수의 연도별 추이 39
[그림 4-1-2] 지역별 게재논문 편수 40
[그림 4-1-3] 게재 논문의 학문 분야별 분포 41
[그림 4-1-4] 선정 학술지의 발행기관별 성격 41
[그림 4-1-5] 전체데이터의 워드클라우드 45
[그림 4-1-6] 2000-2022년 전체데이터에 대한 의미연결망 모형(상위키워드30개 표시) 46
[그림 4-1-7] 상위키워드 10개의 연도별 추이 47
[그림 4-1-8] 3번 국제정치ㆍ국제관계 토픽의 주요 키워드 48
[그림 4-1-9] 역사ㆍ인문 토픽의 주요키워드 49
[그림 4-1-10] 미국학의 상위 키워드 워드클라우드 51
[그림 4-1-11] 상위키워드 10개의 연도별 추이 52
[그림 4-1-12] 미국학의 토픽분포와 상위키워드 53
[그림 4-1-13] 2000-2010년 토픽분포 및 여성ㆍ정체성 토픽 15번의 주요 키워드 54
[그림 4-1-14] 2011-2020년 토픽분포 및 여성ㆍ정체성 토픽 13번의 주요 키워드 54
[그림 4-1-15] 중국지역학의 토픽분포와 상위키워드 56
[그림 4-1-16] 19번 토픽의 주요 키워드 57
[그림 4-1-17] 중국지역학의 시기별 토픽분포도 57
[그림 4-1-18] 6번 토픽의 주요 키워드 58
[그림 4-1-19] 일본지역학의 토픽모델링 분포도 60
[그림 4-1-20] 유럽지역학의 상위키워드의 워드클라우드 62
[그림 4-1-21] 유럽지역학 상위키워드 10개의 연도별 추이 63
[그림 4-1-22] 유럽지역학의 토픽 분포도 64
[그림 4-1-23] 키워드 EU의 토픽별 분포 65
[그림 4-1-24] 동남아시아 지역학 상위키워드 10개의 연도별 추이 67
[그림 4-1-25] 동남아시아 지역학의 토픽분포와 주요토픽 22번의 상위키워드 68
[그림 4-1-26] 키워드 베트남의 분포도와 24번토픽의 주요키워드 69
[그림 4-1-27] 키워드 인도네시아의 분포도와 3번 토픽의 주요키워드 69
[그림 4-1-28] 키워드 싱가포르의 토픽 분포(6번)와 주요 키워드 70
[그림 4-1-29] 라틴아메리카 지역학 상위키워드의 워드클라우드 71
[그림 4-1-30] 라틴아메리카 지역학의 상위키워드의 연도별 추이 72
[그림 4-1-31] 라틴아메리카 지역학의 토픽분포와 3번 토픽의 주요 키워드 73
[그림 4-1-32] 키워드 mexico와 brazil의 토픽별 분포 74
[그림 4-1-33] 키워드 chile의 토픽별 분포와 4번 토픽의 주요 키워드 74
[그림 4-1-34] 아시아/글로벌_종합의 토픽분포와 17번 토픽의 주요 키워드 75
[그림 4-1-35] 키워드 korea의 토픽 분포와 키워드 development의 토픽 분포도 76
[그림 4-3-1] FLACSO 회원국 지도 108
[그림 4-6-1] 지역공간의 변화 164
[그림 4-6-2] 조사연도별 일본 연구자의 연령분포 변화추이(2019년) 170
[그림 4-6-3] 조사연도별 일본 연구자의 연령분포 변화추이(2019년) 171
[그림 4-6-4] 각 분야별 박사학위 취득자 추이비교 172
[그림 4-6-5] 5개 분야 연령별 남녀비율 172
[그림 4-6-6] 전공별 일본 연구자의 학위 취득 국가 추이 173
[그림 4-6-7] 분야별 대학연구기관에 소속한 전임 교원 수 174
[그림 4-7-1] 〈중국어문학지〉 학술지의 논문 경향(2011~2020) 181
[그림 4-7-2] 〈중국학〉 학술지의 논문 경향(2011~2020) 182
[그림 4-7-3] 13종 학술지의 논문 경향 분포(2011~2020) 184
[그림 4-7-4] 논문 키워드 상위 빈도별 변화 추이 18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67621 | 307.0951 -2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967622 | 307.0951 -2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