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제출문 3

목차 5

I. 서론 12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2

2. 연구목적 16

II. 이론적 논의 및 문헌고찰 20

1. 디지털 역량의 개념과 교육 20

1) 디지털 역량 개념 및 구성요소 20

2) 교육 분야 디지털 역량 선행연구 27

2.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교육과 디지털 역량 37

1) 사회복지시설 유형별 종사자 교육 현황 37

2)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디지털 역량 관련 선행연구 40

III.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포커스그룹 인터뷰 44

1. FGI 목적 및 연구 질문 44

2. 연구참여자 44

3. 연구방법 46

4. 분석방법 50

5. 분석결과 51

1) 사회복지시설의 디지털 기술 활용 현황 51

2)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디지털 역량 현황 62

3)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디지털 역량 교육 욕구 69

6. FGI 결과 요약 74

IV. 디지털 역량 교육 사례분석 78

1. 복지분야 디지털 역량 교육 사례 78

1) 한국사회복지협의회 85

2) 대구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86

3) 평택복지거버넌스 89

4) 전라남도장애인종합복지관 90

5) 진해노인종합복지관협회 91

6) 중리종합사회복지관 92

7) 광주복지재단 93

8) 제주특별자치도장애인종합복지관 94

9) 세종시사회서비스원 94

2. 타분야 디지털 역량 교육 사례 96

1) 국내사례 99

2) 해외 디지털 역량 교육사례 114

3) 국내·외 사례를 통한 시사점 고찰 122

3. 교육모델 Framework 사례 123

1) JISC의 'Digital Literacies Framework' 123

2) MediaSmarts의 'Digital Literacy Framework' 124

3) 공무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체계 125

4) 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의 'Digital Literacy Framework' 126

V. 사회복지분야 전문가협의체 자문회의 130

1. 자문회의 목적 및 연구 질문 130

2. 연구대상 130

3. 연구방법 131

1) 연구절차 131

2) 질문지 개발 132

3) 분석 방법 134

4. 전문가협의체 자문회의 결과 134

1) 1차 자문회의 결과 134

2) 2차 자문회의 결과 141

3) 1차·2차 자문회의 결과 종합 147

VI. 결론 및 논의 152

1.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152

2. 연구함의 및 제언 153

1) 사회복지분야 디지털 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153

2)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안) 155

3) 디지털 역량 교육 시행 중장기 계획 160

참고문헌 162

부록 170

부록 1. FGI 사전 설문지 170

부록 2. 클라이언트 서비스 관련 활용 디지털 기술 목록 174

부록 3. 행정업무 관련 활용 디지털 기술 목록 176

표목차 7

[표 II-1] 디지털 역량 정의 20

[표 II-2]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24

[표 II-3] 국가수준 ICT 및 디지털 역량 수준 측정 연구 28

[표 II-4] KERIS의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내용 영역 29

[표 II-5] KERIS의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성취기준 30

[표 II-6] 부산형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평가영역 31

[표 II-7] 부산형 〈디지털리터러시〉 교과 평가 성취기준 33

[표 II-8] 양길석 외(2020)가 제시한 디지털 역량 평가영역 35

[표 II-9] 박찬정·현정석(2022)이 제시한 교사의 디지털 역량 37

[표 II-10] 복지 영역 종사자 교육 제공기관 목록 38

[표 III-1] FGI 참여자 특성 45

[표 III-2] FGI 일시 47

[표 III-3] FGI 조사내용 49

[표 III-4] FGI 분석결과 74

[표 IV-1] 사례분석 기관 78

[표 IV-2] 디지털 역량 관련 복지사례 79

[표 IV-3] 나도 영상 전문가 영상스쿨 회차별 교육 내용 87

[표 IV-4] 스토리를 만드는 홍보기획자 회차별 교육 내용 89

[표 IV-5] 랜(Lan) 클래스 교육 세부 내용 92

[표 IV-6] 비대면 복지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교육 회차별 내용 93

[표 IV-7] 타분야 교육 사례분석 기관 96

[표 IV-8] 타분야 디지털 역량 교육사례 97

[표 IV-9] NIA의 디지털 역량 표준 교육과정(예시) 100

[표 IV-10] 공무원 대상의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국가인재원) 102

[표 IV-11] '디지털 역량' 교과 편성 내용 103

[표 IV-12] 국가 교육과정 시기별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주요 변화 104

[표 IV-13] '미래교육센터'의 주요 지원내용 106

[표 IV-14] Dilit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육자료 107

[표 IV-15] 디지털리터러시협회의 대상별 교육 프로그램 109

[표 IV-16] 국내 주요 기업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교육 내용 111

[표 IV-17] LG그룹의 AI 인재양성 교육 112

[표 IV-18] 삼성의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114

[표 IV-19] 해외 주요국가의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 내용 115

[표 IV-20] 독일의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 '미디어 나침반 프로젝트' 116

[표 IV-21] 영국의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 'SWGfL 범주' 118

[표 IV-22] 영국 주요 기업의 디지털 교육 사례 119

[표 IV-23] 캐나다의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 '디지털 리터러시' 120

[표 IV-24] 호주의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 ACARA ICT 역량 프레임 122

[표 IV-25] JISC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7가지 요소 123

[표 V-1] 자문회의 대상자 131

[표 V-2] 전문가 자문회의 추진 일정 131

[표 V-3] 전문가 자문회의 질문내용 132

[표 V-4] 선행연구를 통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133

[표 V-7] 중장기 발전계획 시기별 고찰 주요 의견 140

[표 V-8]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디지털 역량 중요도 141

[표 V-9] 1·2차 자문회의 의견 종합 148

[표 VI-1] 사회복지분야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154

[표 VI-2]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안) 155

[표 VI-3]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디지털 역량 교육모델(안) 158

[표 VI-4] 사회복지시설 유형별 필요한 교육내용 159

그림목차 9

[그림 I-1] OECD 국가 유선 광인터넷 보급률 13

[그림 III-1] FGI 분석결과 75

[그림 IV-1] 구글스마트워크 교육자료 일부 90

[그림 IV-2] 진해노인복지관협회 주관 교육 현장 91

[그림 IV-3] 1차 'ICT기술,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교육 현장 94

[그림 IV-4] 교육부의 디지털 기초소양·CT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안 105

[그림 IV-5] 온두라스(좌), 캄보디아(우) 교원 역량강화 사업(홈페이지 참조) 108

[그림 IV-6] JISC의 'Digital Literacies' 프레임워크 124

[그림 IV-7] MediaSmarts의 'Digital Literacy Framework' 125

[그림 IV-8] 공무원 대상의 'Digital Literacy Framework' 126

[그림 IV-9] 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의 'Digital Literacy Framework' 127

[그림 VI-1] 디지털 역량 교육 시행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161

이용현황보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디지털 역량 교육방안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70664 361.6 -2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70665 361.6 -23-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