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쓰기에 대한 이해 최연희 (이화여자대학교) 1.1 쓰기 및 쓰기 과정 3 1.1.1 쓰기의 정의 3 1.1.2 쓰기 과정 5 1.2 쓰기 목적 및 유형 6 1.3 쓰기 능력 및 전략 11 1.3.1 쓰기 능력 11 1.3.2 쓰기 전략 16 1.4 문자 언어와 구두 언어 18 1.5 모국어 쓰기와 외국어 쓰기의 차이 21 1.6 디지털 문해력과 복합 양식 문해력 25
제2장 쓰기 지도 이론 최연희 (이화여자대학교) 2.1 쓰기 구성 요인 33 2.2 쓰기 지도 접근법 34 2.2.1 텍스트 중심 접근법 36 2.2.2 필자 중심 접근법 41 2.2.3 독자 중심 접근법 52 2.2.4 쓰기 지도 접근법과 쓰기 학습 68
제3장 쓰기에 관한 연구 전은실 (경인여자대학교)ㆍ이민진 (이화여자대학교) 3.1 쓰기 연구 방법론 75 3.1.1 연구 유형 75 3.1.2 자료 수집 79 3.2 쓰기에 관한 연구 88 3.2.1 텍스트에 관한 연구 89 3.2.2 필자에 관한 연구 96 3.2.3 독자에 관한 연구 102 3.2.4 앞으로의 연구 분야 109
제2부
제4장 쓰기 지도의 원리 최연희 (이화여자대학교) 4.1 쓰기 지도와 언어 학습 121 4.2 쓰기 지도 기본 원리 123 4.3 쓰기 교사의 역할 131 4.4 쓰기 교수ㆍ학습 자료 136 4.4.1 모델 텍스트 자료 136 4.4.2 언어적 도약 발판 자료 140 4.4.3 참고 자료 143 4.4.4 자극 유발 자료 143 4.4.5 쓰기 자료 출처 144 4.5 쓰기 과제 145 4.5.1 맞춤법 및 구두점 학습 과제 147 4.5.2 언어적 도약 발판 제공 과제 147 4.5.3 작문 과제 153 4.5.4 읽기ㆍ쓰기 통합 과제 156 4.5.5 쓰기 과제와 쓰기 지식 157
제5장 쓰기 지도 방안 최연희 (이화여자대학교)ㆍ이경림 (풍문여자고등학교) 5.1 초급 단계 알파벳 익히기와 낱말 및 문장 쓰기 165 5.2 그림을 활용한 초급 단계 쓰기 활동 170 5.3 통제 작문 및 유도 작문 174 5.3.1 통제 작문 174 5.3.2 유도 작문 179 5.4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지도 185 5.5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쓰기 지도 191 5.5.1 그림을 활용한 지도 방안 192 5.5.2 그래프, 도표 등의 시각 자료를 활용한 쓰기 지도 195 5.5.3 만화를 활용한 지도 방안 199 5.5.4 비디오 자료를 활용한 쓰기 지도 203 5.6 의사소통 중심 쓰기 지도 206 5.7 과정 중심 쓰기 지도 214 5.8 장르 중심 쓰기 지도 224 5.8.1 장르 중심 쓰기 지도 교수ㆍ학습 절차 225 5.8.2 장르 중심 쓰기 지도 방안 234 5.9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쓰기 지도 239
제6장 문화간 수사학 박성희 (한국공학대학교) 6.1 문화간 수사학 260 6.1.1 문화간 수사학의 정의 260 6.1.2 대조 수사학: 비판과 공헌 262 6.1.3 문화간 수사학의 발전 267 6.2 문화간 수사학의 발전에 영향을 준 이론들 269 6.3 문화간 수사학을 이용한 쓰기 연구 272 6.3.1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연구 273 6.3.2 장르 분석 연구 277 6.3.3 코퍼스 분석 연구 280 6.3.4 문화 기술적/민족지학적 연구 280 6.3.5 기타 연구 281 6.4 문화간 수사학과 쓰기 교육 282
제7장 읽기와 쓰기 통합 김지은 (서울시립대학교) 7.1 읽기와 쓰기의 통합 290 7.2 읽기와 쓰기 통합 이론 293 7.2.1 Shanahan과 Lomax의 읽기와 쓰기 통합 모델 293 7.2.2 Eisterhold의 방향성 가설 296 7.3 읽기와 쓰기 통합 연구 299 7.3.1 모국어 읽기 쓰기 통합 연구 299 7.3.2 외국어 읽기 쓰기 통합 연구 303 7.4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 308 7.4.1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 방향 308 7.4.2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 모델 311 7.4.3 읽기와 쓰기 통합 과제 314
제8장 학습자 작문에 대한 피드백 진수경 (이화여자대학교) 8.1 교사 문자 피드백 324 8.1.1 교사 문자 피드백의 원리 324 8.1.2 교사 문자 피드백 방안 326 8.1.3 피드백 유형: 내용ㆍ구성 피드백과 언어 형태 피드백 329 8.1.4 피드백 제공 시기 330 8.1.5 피드백 매체: 문자 피드백, 오디오 녹음, 컴퓨터 331 8.1.6 문자 피드백 방식 및 내용 332 8.2 교사ㆍ학생 면담을 통한 피드백 335 8.2.1 교사ㆍ학생 면담을 통한 피드백의 장단점 335 8.2.2 교사ㆍ학생 면담을 통한 피드백 방안 337 8.3 동료 피드백 341 8.3.1 동료 피드백의 장단점 341 8.3.2 동료 피드백 방안 343 8.4 자동 쓰기 평가 351 8.4.1 자동 쓰기 평가 프로그램 351 8.4.2 자동 쓰기 평가의 장단점 353 8.4.3 자동 쓰기 평가 활용 방안 356 8.5 학습자 작문에 대한 피드백과 쓰기 지도 357
■한글 용어 색인__362 ■영어 용어 색인__378
이용현황보기
영어 쓰기 교육론 : 원리와 적용 = Teaching of writing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 principles and classroom application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70901
420.7 -23-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70902
420.7 -23-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71866
420.7 -23-13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책속에서
머리말 중등 영어과 교원들에게 쓰기 지도를 수업 시간에 하느냐고 물으면, 언제나 대답은 ‘아니오’이다. 그만큼 우리나라에서는 영어 쓰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10년 전 정부에서 시행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컴퓨터 기반 영어 쓰기 직접 평가의 영향으로 몇 년간 중등 영어 수업에 쓰기 활동이 포함되고 고등학교에서는 영어 작문 과목이 개설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정책적 이유로 평가 시행이 중지되면서 다시 영어 교육 현장에서는 쓰기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 책이 우리나라 영어 쓰기 교육의 활성화와 영어 쓰기 교육을 담당할 교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기를 바란다.
쓰기란 문자 기호(graphic symbols)를 사용한다는 것을 일차적으로 의미한다. 그러나 단순히 문자 기호의 조합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기호들이 조합되어 만들어진 문장들이 아무 의미 없이 임의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지칭하는 것도 아니다. 즉 한두 단어나 문장 등 아무리 짧은 길이의 문자 기호 조합의 배열이라도 일관성(coherence)이 있는 하나의 글(text)로 형성될 때 이를 쓰기라고 한다(Byrne, 1988). 따라서 쓰기란 의식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과정이다. 무슨 내용을 쓸 것인가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를 어떻게 표현하고 전개해 나갈 것인가도 생각해야 하므로 쓴 내용을 다시 읽어보고 수정하는 과정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