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보다’ 제1장 교육인류학에서 교육과 문화의 관계 - 윤여각 1. 교육인류학에 입문 2. 내가 가지게 된 선입견 3. 교육 활동의 주체와 문화 활동의 주체 4. 교육을 통한 문화 활동의 주체 형성 5. 교육의 대상으로서 문화 6. 문화를 통한 교육의 전개 7. 교육의 수준 8. 교육의 문화에 대한 분석: 현지 연구의 확대
제2장 아이의 눈으로 회인(誨人)탐구 - 서근원 1. 탈공정의 교육 2. 교육의 역설 3. 참여관찰과 실천탐구 4. 교육의 탐구와 실천 5. 교육인류학의 교육 탐구와 실천
제3장 교육인류학의 미래를 위한 철학적 토대 - 서덕희 1. 왜 다시 철학인가 2. 바스카의 비판적 실재론 3. 비판적 실재론에 비추어 본 교육인류학의 오래된 미래 4. 나의 자유가 곧 너의 자유가 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인류학
제4장 긍정의 교육 - 전현욱 1. 긍정의 교육에 대한 상상 2. 교육인류학? 긍정? 3. 긍정의 교육학, 긍정의 교육 4. 나가며: 긍정의 교육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제2부 ‘살다’ 제5장 서울대생들의 학벌주의 정체성 형성과 변화 - 전은희 1. 들어가며 2. 학벌주의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적 이해: 서울대생의 사례 3. 해석 및 논의
제6장 청소년 인권 활동가들의 실천 행위에 관한 질적 연구 - 조지혜 1. 광장으로 나온 청소년들 2. 다시 찾은 연구 현장 3. 저항, 탈주, 생성의 운동성 4. 행위하는 청소년과 교육적 상상
제7장 ‘가르치는 예술가’ 윤현옥의 미술과 교육 프로젝트 연구 - 안인기 1. 서론 2. 윤현옥의 미술 활동과 특성 3. 프로젝트 사례 분석 4. 결론
제8장 판소리 교육 활동에 관한 음악교육인류학적 해석 - 윤혜경 1. 들어가며 2. 문화기술지와 한울소리 3. 한울소리 판소리 교육에 관한 이야기 활동 4. 한울소리 판소리 교육 활동의 구조 5. 몸의 학습과 정서적 학습공동체 6. 개별성과 관계성의 조화 추구
제9장 포스트휴먼 사회관계망의 독특성 탐구 - 전가일 1. 서론 2. 한국의 사회자본과 사회관계망 현황 3. 포스트휴먼의 시선으로 사회관계망 새롭게 보기 4. 포스트휴먼 사회관계망의 또 다른 가능성을 찾아 나가며
제10장 얼굴의 교차 - 강진아 1. 들어가며: 교육주체들의 얼굴 2. 사라진 얼굴 3. 거울에 비친 얼굴 4. 낯선 얼굴 5. 나가며: 기술과 얼굴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의 시점에서 바라본) 인간 문화 교육 = Human, culture and education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73092
306.43 -23-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73093
306.43 -23-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72358
306.43 -23-7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진정한 교육이란 무엇인가? 전문가들이 탐구한 교육에 대한 호기심과 참된 정수
서울 의대를 향한 욕망으로 펼쳐지는 입시 전쟁을 소재로 한 드라마 ‘스카이캐슬’이 화제가 되며 인기를 끈 바 있다. 광기 어린 교육열과 그 사이의 여러 갈등들이 복합적으로 뭉쳐진 가운데, 드라마 속 인물들은 교육을 ‘3대째 의사 가문’이라는 계층 상속의 도구로 간주했다. 그리고 이러한 부적합한 수단으로 변질된 교육의 의미와 그로 인한 비극은 많은 시청자로부터 공감을 얻으며 흥행에 성공했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었던 것은 우리 사회에서 교육의 의미가 일그러진 현상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교육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인간은 태어난 이래로 세 갈래의 교육을 겪게 된다고 한다. 첫 번째는 밥상머리 교육이라고 불리는 가정 교육, 두 번째는 공교육으로 시작되는 학교 교육, 마지막으로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정서적으로 교류하며 배우는 사회 교육이다. 그리고 일평생 교육학을 연구한 조용환 서울대 교수는 ‘정말 교육다운 교육은 어떤 교육인가?’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독서와 연구에 매진했다고 한다.
진정한 교육의 의미를 찾기 위해 조 교수를 필두로 전문성 있는 제자들이 교육에 관련한 다양한 것들을‘있는 그대로’ 직관하고 재구성했다. 무늬랑 배경이 조화를 이루는 문질빈빈의 상태를 추구한 질적 연구와 교육인류학적 관점으로 접근한 고민을 『인간 문화 교육』로 엮은 것이다. 교육의 참된 의미에 대한 다양한 호기심과 고민이 여러 교육학 전문가를 통해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참된 교육의 의미와 실천에 대해 고민하는 독자라면, 본 도서의 눈부신 탐구에서 유익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