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1
목차 3
제1편 산림 및 임업 동향 22
제1장 국내 동향 24
제1절 산림자원 / 손순철 ; 구자정 ; 손동찬 ; 손성원 ; 하시연 ; 박수진 ; 김건우 24
제2절 산림생태 및 산림재해 / 최원일 ; 박고은 ; 조용찬 ; 최형태 ; 구남인 ; 이예은 ; 서준표 ; 박용환 ; 이동현 35
제3절 산림경영 / 이호중 ; 송명수 ; 최형규 ; 구동환 ; 김기동 ; 강진택 ; 한승현 66
제4절 산림산업 / 손순철 ; 김민지 ; 이일수 ; 이정희 ; 노용석 83
제5절 임가 현황 및 임가 경제 / 손순철 101
제6절 임산물 교역 / 박재신 105
제2장 국제 동향 109
제1절 산림자원 / 이호상 ; 임효인 ; 하시연 ; 박수진 ; 김건우 109
제2절 산림생태 및 산림재해 / 김수진 ; 최형태 ; 구남인 ; 이예은 ; 서준표 ; 강헌일 121
제3절 산림경영 / 황진성 ; 한승현 ; 김선희 ; 이상태 ; 정상훈 ; 김기동 ; 강진택 139
제4절 산림산업 / 김동현 ; 유선화 ; 신한나 ; 이정희 ; 채광석 156
제3장 국제협약 및 국제기구 동향 193
제1절 유엔산림포럼(UNFF) / 송원영 193
제2절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 장민영 195
제3절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 송원영 197
제4절 생물다양성협약(CBD) / 송원영 200
제5절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산림위원회(COFO) / 송원영 203
제6절 국제열대목재기구(ITTO) / 송원영 205
제2편 산림 및 임업에 관한 주요정책 206
제1장 산림정책 방향과 재정투자 208
제1절 2020년도 산림정책의 주요 성과와 반성 / 하지수 208
제2절 2021년도 산림정책의 목표와 중점 추진방향 / 하지수 ; 김승수 211
제3절 산림분야 재정투자 및 성과관리 / 강창모 ; 백기종 221
제2장 산림자원 순환경제 구축 229
제1절 산림자원 육성·관리 / 최형규 ; 김영훈 ; 구동환 ; 송명수 ; 이종수 ; 이호중 ; 김일숙 ; 이상언 ; 조성국 ; 김관호 ; 노용석 229
제2절 목재 수급·이용 / 이종수 ; 이일섭 ; 김기철 ; 김민지 ; 김점복 262
제3절 임업경영 활성화 / 이실현 ; 이민규 ; 류재순 ; 조경순 ; 김판중 ; 임선혁 ; 이태윤 ; 이원미 284
제4절 임산물 수출 활성화 / 박재신 318
제5절 산림생명산업 활성화 / 이일수 324
제3장 양질의 산림일자리 창출 331
제1절 산림일자리정책기반 구축 / 배현주 331
제2절 산림분야 미래인재 육성 / 정중기 333
제3절 수요자 중심의 산림일자리 창출 / 배현주 336
제4절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 및 창업 지원 / 배현주 339
제5절 산림서비스 도우미 육성 / 윤수일 354
제4장 산림복지서비스 증진 및 사람중심의 녹색공간 조성 356
제1절 산림복지 활성화 / 강신형 ; 김정훈 ; 송광헌 ; 김숙희 ; 이우리 ; 이광원 ; 윤수일 ; 이상협 ; 김영호 ; 김대환 ; 유창용 356
제2절 생활권 녹색공간 조성 / 윤현정 ; 김동욱 ; 이은우 ; 이예지 ; 이상필 402
제3절 산지의 합리적인 이용과 보전 / 신건섭 ; 이동진 435
제5장 산림생태계보전 및 산림재해 대응 강화 442
제1절 산림생태계 보전·관리 / 조경은 ; 김대환 ; 이상필 ; 김영범 ; 이선미 ; 남궁석 442
제2절 산불재난 관리 / 김창현 ; 안선용 ; 김정오 471
제3절 산사태 방지 / 이정원 504
제4절 산림병해충 방제 / 이종화 ; 정상수 ; 노상우 509
제6장 국제협력 및 신기후체제 대응 520
제1절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 김통일 ; 류아현 ; 송원영 520
제2절 해외산림사업 추진 / 남궁보선 ; 장민영 531
제3절 합법목재 교역촉진제도 운영 / 이영지 543
제4절 남북산림협력 / 박광서 548
제5절 신기후체제 대응 / 민병산 ; 김관호 ; 유상아 562
제7장 산림분야 R&D 강화 576
제1절 산림분야 R&D 총괄 / 육건수 576
제2절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술개발 및 보급 / 서연옥 580
제3절 국립수목원 연구·기술개발 및 보급 / 정수영 587
제8장 개방과 소통의 산림행정 구현 596
제1절 성과중심의 조직개편 운영 / 김석문 ; 백진호 ; 신윤정 596
제2절 인적자원의 효율적 운영 및 역량 강화 / 최현수 611
제3절 산림분야 규제혁신 및 법령정비 / 이원기 ; 임명완 616
제4절 정책소통 활성화로 국민 참여 확산 / 윤석범 ; 장병영 623
제5절 ICT 활용 과학적 산림관리체계 구현 / 조경금 ; 홍승태 ; 이근지 ; 정선옥 ; 류봉수 627
제3편 산림 및 임업에 관한 주요성과 사례 650
제1장 기획조정관실 주요성과 사례 / 조경금 652
제2장 국제산림협력관실 주요성과 사례 / 송원영 657
제3장 산림산업정책국 주요성과 사례 661
제4장 산림복지국 주요성과 사례 667
제5장 산림보호국 주요성과 사례 671
부록 680
부록 1. 산림청 현황 682
부록 2. 소속기관 현황 688
판권기 710
뒷표지 711
그림 1-1-1. 연도별 산림면적 및 임목축적 24
그림 1-1-2. 한국 관속식물 적색목록(한국의 희귀식물) 발간 31
그림 1-1-3. 홍릉시험림 내 주요 수종 개화시기 장기변화 모니터링 37
그림 1-1-4. 지역별 흉고직경급 분포도 39
그림 1-1-5. 온대 낙엽활엽수림의 임목 밀도, 흉고단면적, 탄소저장량의 최근 변화 40
그림 1-1-6. 온대 낙엽활엽수림 교목 집단에서 개체군 성장률(λ)의 최근 변화 41
그림 1-1-7. 전국 산림수자원 유역시험지 분포 현황(54개소) 42
그림 1-1-8. 하천 생활환경기준에 따른 산지계류의 수질 현황 43
그림 1-1-9. 최근 10년간 산불발생 추이 47
그림 1-1-10. 산불 발생 빈도 변화량(최근 10년 평균 대비) 51
그림 1-1-11. 최근 10년간 산사태 피해면적과 인명피해 55
그림 1-1-12. 여름철(6~9월) 월강수량의 분포 현황 56
그림 1-1-13. 솔잎혹파리 연도별 충영형성률 변동 59
그림 1-1-14. 미국흰불나방 연도별 화기별 피해율 변동 61
그림 1-1-15. 참나무 시들음병 발생 현황 63
그림 1-1-16. 최근 5년간 조림지 및 숲가꾸기 사업 추이 68
그림 1-1-17. 디지털 플랫폼 단계적 추진 로드램 73
그림 1-1-18. 가리산 선도산림경영단지 디지털 산림자원조사 업무순서도 75
그림 1-1-19. 가리산 선도산림경영단지 디지털 산림자원조사 대상지 75
그림 1-1-20. 조사 표준지 설정 및 조사 라이다 장비 76
그림 1-1-21. 라이다 장비별 스캔 경로[원문불량;p.55] 76
그림 1-1-22. 지상 및 항공라이다 데이터 정합 및 개체목별 정보 분석 77
그림 1-1-23. 기존 조사방식과 라이다 장비별 취득 데이터(흉고직경 및 수고) 비교 78
그림 1-1-24. 라이다 장비별 효율성 비교(조사시간 및 면적, 데이터 분석 시간) 79
그림 1-1-25. 스마트 양묘 세대 구분 80
그림 1-1-26. 자동화 묘목 검사·포장 시스템 모델[원문불량;p.61] 82
그림 1-1-27. 임산물 총생산액 83
그림 1-1-28. 산림복지전문업 위탁사업액 98
그림 1-2-1. 기후대별 산림의 비율 및 지역별 분포 109
그림 1-2-2. 지역별 산림면적 변화 110
그림 1-2-3. 세계 산림면적 중 자연갱신 및 인공조림 비율(좌),... 111
그림 1-2-4. 대륙별 산림보호지역 현황(좌), 산림탄소원별 탄소비율(우) 112
그림 1-2-5. 국가별 임목축적량 113
그림 1-2-6. 전 세계 지역별 산림 수종 관리 현황 115
그림 1-2-7. 전 세계 지역별 산림 수종 현지내·외 보존 현황 115
그림 1-2-8. 전 세계 지역별 위기 산림 수종 현황 116
그림 1-2-9. 산림과 물 관리 지침(FAO) 124
그림 1-2-10. 대륙별 산지토사재해 발생현황 128
그림 1-2-11. 해외 산지토사재해 발생 건수별 인명피해 129
그림 1-2-12. 일본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현황 132
그림 1-2-13. 일본의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현황[원문불량;p.112] 133
그림 1-2-14. 산림병해충에 의한 수목 고사 현황(A, C)과 식엽 피해 현황(B, D)... 136
그림 1-2-15. 유럽의 EPPO Global database에서 제공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분포 현황 137
그림 1-2-16. 각국의 임도밀도 현황 139
그림 1-2-17. 천연갱신림과 인공조림지 면적 변화 140
그림 1-2-18. 지역별 조림지의 도입 수종 및 자생 수종의 비율 141
그림 1-2-19. 스웨덴의 최근 10년간 솎아베기 면적 변화 143
그림 1-2-20. Radiata Pine의 솎아베기 면적 추이 144
그림 1-2-21. 인공림의 영급 구성의 변화 144
그림 1-2-22. 최근 10년간 간벌면적 및 간벌목 이용 현황 145
그림 1-2-23. 디지털 트윈의 개념적 구조 148
그림 1-2-24. 주요국의 AI 플레이어 수 및 AI 플레이어 집약도 150
그림 1-2-25. 로봇과 결합한 주요 기술의 시장 규모 152
그림 1-2-26. 전 세계 국가별 드론 시장 점유율 및 미국 시장 점유율 153
그림 1-2-27. 안정적인 성장 단계에 접어든 XR 산업[원문불량;p.133] 154
그림 1-2-28. 디지털 트윈 시장 및 디지털 잠재력 순위 155
그림 1-2-29. 연도별 아몬드(탈각) 수·출입현황('19~'21) 157
그림 1-2-30. 연도별 아몬드(미탈각) 수·출입현황('19~'21) 160
그림 1-2-31. 연도별 밤 수·출입현황('19~'21) 163
그림 1-2-32. 연도별 감 수·출입현황('19~'21)[원문불량;p.145] 166
그림 1-2-33. 연도별 호두(탈각) 수·출입현황('19~'21) 169
그림 1-2-34. 연도별 호두(미탈각) 수·출입현황('19~'21) 172
그림 2-2-1. 선도 산림경영단지 사업 추진 절차 239
그림 2-2-2. 사유림 선도 산림경영단지 241
그림 2-2-3. 주요 산림관리국 및 우리나라 임도밀도 변화 246
그림 2-2-4. 친환경 목재수확 사례 263
그림 2-2-5. 국산목재 이용 국민인식 증진 269
그림 2-2-6. 어린이 이용시설 목조화(초등학교 교실 환경개선) 270
그림 2-2-7. 목재문화지수 측정결과[원문불량;p.250] 271
그림 2-2-8. 최근 5년간 목재제품 품질단속 현황 274
그림 2-2-9. 목재제품 품질단속 275
그림 2-2-10. 목재등급평가사 양성교육 275
그림 2-2-11. 국내 공공목조건축 사례 278
그림 2-2-12.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를 에너지 원료로 활용 사례 281
그림 2-2-13. 산림조합 산림경영전담지도 체계 314
그림 2-2-14. 산림경영지도 추진실적 모식도 315
그림 2-2-15. 온라인 수출상담회 사례 320
그림 2-2-16. 비대면 마케팅 사례 321
그림 2-3-1. 산림일자리 종합대책('18~'22) 추진체계 332
그림 2-3-2. 산림일자리발전소 단계별 추진전략 341
그림 2-3-3. 산림일자리발전소 운영체계 341
그림 2-3-4. 주민공동체(그루경영체) 발굴·육성 프로세스 342
그림 2-4-1. 산림복지통계 통합 수집·관리 및 보고체계도[원문불량;p.336] 357
그림 2-4-2. 스마트 산림헬스케어 기술개발(R&D) 사업구상도[원문불량;p.337] 358
그림 2-4-3. 지역연계형 산림복지 인프라 다각화(산림복지서비스 제공 확대) 361
그림 2-4-4.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조직도 361
그림 2-4-5. 산림교육의 특징과 효과 370
그림 2-4-6. 청소년 행복지수,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청소년 스트레스 인지정도, 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371
그림 2-4-7. 산림교육 활성화를 위한 홍보 371
그림 2-4-8. 유아숲체험의 효과 372
그림 2-4-9. 탄소중립 숲교육 374
그림 2-4-10. 비대면 산림교육 프로그램 운영 376
그림 2-4-11. 국립 산음 치유의 숲 내 치유센터(左)와 명상데크(右) 378
그림 2-4-12. 연간 치유의 숲 방문자 수 및 산림치유 체험 현황 380
그림 2-4-13. 국립산림치유원 전경(左)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체험(右) 381
그림 2-4-14. 국립지덕권산림치유원 조감도(左)와 통합센터 실내투시도(右) 382
그림 2-4-15.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교재 1급(左)과 2급(右) 표지 383
그림 2-4-16. 코로나19 대응인력 산림치유 체험 384
그림 2-4-17. 숲태교 콘텐츠 1장_태아애착증진(左)과 활동도구(右) 385
그림 2-4-18. 산림청-국민건강보험공단 업무협약(左)과 보도자료(右) 386
그림 2-4-19. 트레킹길 네트워크 및 권역별 등산로 현황[원문불량;p.372] 393
그림 2-4-20. 숲길 조성 및 정비 395
그림 2-4-21. 미세먼지 필터, 도시숲 효과 402
그림 2-4-22. 전국 도시숲 현황 403
그림 2-4-23. 산림미세먼지측정넷 구축[원문불량;p.385] 406
그림 2-4-24. 도시숲 조성사례 1 409
그림 2-4-25. 도시숲 조성사례 2 410
그림 2-4-26. 생활숲 조성 현황 415
그림 2-4-27. 생활숲 복원 및 조성 415
그림 2-4-28. 가로수 수종별·시도별 현황 418
그림 2-4-29. 가로숲 조성·관리 사업 418
그림 2-4-30. 나라 꽃 무궁화 보급 사업 420
그림 2-4-31. 나라 꽃 무궁화 전국축제 및 문화행사 421
그림 2-4-32. 국가정원 지정 422
그림 2-4-33. 제2차 정원진흥기본계획('21~'25) 423
그림 2-4-34.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홍보활동 425
그림 2-4-35. 지방정원 등록 428
그림 2-4-36. 야생화 및 식물세밀화 전시회 432
그림 2-4-37. 민·관 협력 및 자생식물 산업화 활동 433
그림 2-4-38. 제2차 산지관리기본계획 비전과 목표 438
그림 2-5-1. 산림습원 현황(강원 삼척 근덕면, 제주 구좌읍) 445
그림 2-5-2. 독도 산림생태계 복원 460
그림 2-5-3. 백두대간 마루금 생태축 복원 461
그림 2-5-4. 대규모 산림복원(충북 영동 폐채석장) 462
그림 2-5-5. 가리왕산 알파인경기장 조성 전/후 463
그림 2-5-6. 산림과학기술 실용화 473
그림 2-5-7. 드론 적용범위 확대 474
그림 2-5-8. 산림 및 소나무 분포 현황 476
그림 2-5-9. 최근 10년간 기상여건 477
그림 2-5-10. 최근 50년간 산불발생 추이(10년 단위 평균) 478
그림 2-5-11. 최근 10년간 원인별·계절별 산불발생 현황 479
그림 2-5-12. 과학기술에 기반한 산불대응 및 국민안전 확보 481
그림 2-5-13. 강원도 동해안산불방지센터 482
그림 2-5-14. 산불현장 중심의 대응체계 구축 485
그림 2-5-15. 정밀형(열화상 카메라 장착) 드론을 활용한 산불대응 486
그림 2-5-16. ICT 플렛폼 서비스 사업 486
그림 2-5-17. 산불 진화헬기의 역량강화 487
그림 2-5-18. 산불방지를 위한 대국민 지원 및 홍보 488
그림 2-5-19. 산불 전이 방지시설 및 기계화된 산불진화 489
그림 2-5-20. 산불원인 분석 및 산불방지 우수기관 평가·포상 490
그림 2-5-21. ICT 기반의 상황관리시스템 491
그림 2-5-22. 최신 과학기술에 기반한 산불대응 체계 492
그림 2-5-23. 최근 20년간 대형산불 발생 추이 493
그림 2-5-24. 대형산불 현장대응 497
그림 2-5-25. 안동 대형산불 성과 500
그림 2-5-26. 산불상황도(산림청)의 재난주관방송사(KBS) 실시간 연계 및 보도사례 503
그림 2-5-27. 최근 10년간 시기별·지역별 산사태 피해 현황 504
그림 2-5-28. 기상여건 및 산사태 발생 현황 505
그림 2-5-29. 산사태 예방·대응 사례 506
그림 2-5-30. 최근 10년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현황 509
그림 2-5-31. QR코드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 이력관리시스템 511
그림 2-5-32. 참나무시들음병 피해현황 514
그림 2-5-33. 솔껍질깍지벌레 피해현황 515
그림 2-5-34. 생활권 산림병해충 민간컨설팅 운영 체계도 518
그림 2-6-1. 세계산림총회 준비 및 홍보 530
그림 2-6-2. 국가별, 연도별 해외조림 실적 532
그림 2-6-3. 국가별, 사업별 융자현황[원문불량;p.512] 533
그림 2-6-4. 실무가이드 및 정보지 534
그림 2-6-5. 사전환경조사 및 현장기술자문 535
그림 2-6-6. 해외산림청년인재 육성사업 536
그림 2-6-7. 몽골 그린벨트 조림사업 및 도시숲 준공 538
그림 2-6-8. 중국 사막화 방지 조림 시업지 539
그림 2-6-9. 카자흐스탄 산림협력 사업 540
그림 2-6-10. 베트남 맹그로브 숲 조성 541
그림 2-6-11. 수입신고 및 검사 추진절차 545
그림 2-6-12. 목재산업계 지원 및 국내외 협력 546
그림 2-6-13. 통일부 등 관계부처와 협업 진행 554
그림 2-6-14. DMZ 접경지역 산림생태계 조사 555
그림 2-6-15. 남북 교류채널 확대 및 네트워크 강화 노력 557
그림 2-6-16. 파주 남북산림협력센터 내 전시림 조성 559
그림 2-6-17. 평화의 숲 캠페인 추진도 559
그림 2-6-18. 국민참여 확대를 위한 주요 사례 560
그림 2-6-19.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 체계도 565
그림 2-6-20.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사업의 추진절차 569
그림 2-6-21. REDD+ 기업 간담회 개최 573
그림 2-6-22. REDD+ 사업 주요 현장활동 574
그림 2-7-1. 제2차 산림과학기술 기본계획('18~'27)의 8대 핵심과제 576
그림 2-7-2. 산림과학기술 R&D 추진체계 577
그림 2-7-3. 생태계 보전·복원 및 생태계서비스 기반 구축 분야 주요 성과 581
그림 2-7-4. 산림자원 선순환체계 및 산림경영 활성화 분야 주요 성과[원문불량;p.561] 582
그림 2-7-5. 숲 기반 국민복지 공간 및 기능 확대 분야 주요 성과 583
그림 2-7-6. 산림재해 및 산림병해충의 과학적 관리체계 고도화 분야 주요 성과[원문불량;p.562] 583
그림 2-7-7. 신기후체제 대응 및 국제·북한 산림협력 강화 분야 주요 성과[원문불량;p.563] 584
그림 2-7-8. 산림생명자원을 이용한 임업소득 증대 및 산업화 활용 분야 주요 성과[원문불량;p.564] 585
그림 2-7-9. 최적 가공기술을 활용한 목재 이용 증진 분야 주요 성과[원문불량;p.564] 585
그림 2-7-10. 산림생물다양성 확보 및 활용기반 확대 주요 성과[원문불량;p.568] 589
그림 2-7-11. 국제협력 주요 성과 589
그림 2-7-12. 유용산림생물자원 발굴 및 활용기반 마련 주요 성과 590
그림 2-7-13. 산림생물자원 및 생태계 보전 주요 성과 591
그림 2-7-14. DMZ 생물다양성 보전 및 생태복원 주요 성과 592
그림 2-7-15. 교육서비스 및 전시원 가치 증진 주요 성과 592
그림 2-7-16. 정원문화 확산 주요 성과 593
그림 2-7-17. 정원산업 기반구축을 위한 소재개발 주요 성과 594
그림 2-8-1. 국가산림통합정보체계 628
그림 2-8-2.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산림현장 추진현황 629
그림 2-8-3. 임상도 현행화 구축사업 연차별 추진계획(5년 주기) 631
그림 2-8-4. 산림입지토양도 제작 연차별 추진내역 633
그림 2-8-5. 디지털 숲가꾸기 추진 여건 634
그림 2-8-6. 디지털 숲가꾸기 개념도 635
그림 2-8-7. 농림위성 발사용역 기관 선정(Space-X社, Falcon-9) 637
그림 2-8-8.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 구성(안)[원문불량;p.618] 639
그림 2-8-9. 디지털 대전환 선제적 대응을 위한 新 디지털 보안체계 구축 649
그림 3-1-1. 국가산림통합정보체계 653
그림 3-1-2. 정밀 산림데이터 수집을 통한 디지털 숲가꾸기 추진 654
그림 3-3-1. 목재친화도시 조감도 663
그림 3-3-2. 목조건축 확대 사례(공공목조건축, 목조주택 표준설계도) 663
그림 3-5-1. 기상 보도자료 및 최근 9년간 여름철 강수량 추이 671
그림 3-5-2. 산사태 예방 점검 체계도 672
그림 3-5-3. 우리꽃 페스티벌의 시작 675
그림 3-5-4. 우리꽃 축제 676
그림 3-5-5. 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 67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77007 | R 634.9 ㅅ194ㅅ | 202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0002977008 | R 634.9 ㅅ194ㅅ | 2021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