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부 GIS의 기본 이론
제1장 GIS의 배경과 역사
제2장 GIS의 개념 및 정의
제3장 GIS와 지도
제4장 GIS의 자료구조
제5장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

제2부 GIS 도구의 이해
제6장 ArcGIS 소개
제7장 자료의 구축
제8장 자료의 편집
제9장 자료의 탐색
제10장 자료의 표현
제11장 도면작성
제12장 실습 프로젝트: 자료의 구축 및 표현

제3부 공간분석의 활용 I
제13장 지형 기반 분석
제14장 적지분석
제15장 Model Builder

제4부 공간분석의 활용 II
제16장 인접성 분석
제17장 네트워크 분석
제18장 위성영상의 활용
제19장 3차원 시뮬레이션

이용현황보기

GIS와 도시분석 = GIS for urban spatial analysi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071763 910.285 -23-5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도시공간의 가치를 이해하고 도시의 바람직한 미래를 구체화할 수 있게 해주는 GIS!
GIS의 기능과 활용법을 다양한 실습을 통해 익힐 수 있다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정보기술로서 GIS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통해 공간정보를 사용자에게 긴요하고 새로운 형태의 고급정보로 바꾸어준다. GIS 분석을 통해 일상의 사실을 판단의 차원으로, 단순한 설명을 문제해결을 위한 처방으로 심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GIS를 통해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도시의 현상과 변화가 지니는 심층적 의미를 과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게 되었고, 미래를 위한 계획과 정책 수립, 그리고 의사결정이 더욱 정확한 논리기반 위에 가능하게 되었다.
이 책은 도시공간의 가치를 이해하고 도시의 바람직한 미래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돕기 위해 총 4부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는 GIS의 배경과 역사, 개념 및 정의, GIS와 지도, 자료구조, 공간분석 유형과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제2부에는 이 책의 실습에 사용되는 GIS 도구인 ArcGIS의 주요 기능, 즉 자료의 구축으로부터 편집, 탐색, 표현을 거쳐 도면작성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GIS 작업과정을 담고 있다. 제3부에서는 기초적 GIS 공간분석으로 지형 기반 분석과 적지분석을 실습하고, 제4부에서는 보다 발전된 공간분석 기능인 네트워크 분석, 위성영상 활용, 3차원 시뮬레이션 등을 실습하게 된다.

공간정보 및 GIS 관련 기술의 발전을 반영한 개정판

공간정보 및 GIS 관련 기술의 진보는 쉼 없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대한 사회의 관심과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초판 내용을 보완하여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정보기술의 발전에 부응한 공간정보정책의 변화에 따라 내용의 수정이 이루어졌고, 실습을 위한 GIS 도구가 업그레이드되어 이 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실습과정을 최신 버전에 맞도록 대폭 수정했다. 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내용을 보강했으며, 더욱 정확하고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여 책의 내용의 충실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다듬었다. 이러한 보완들이 독자들의 ‘GISing(GIS하기)’를 더욱 의미 있게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