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3

Ⅰ. 서론 11

Ⅱ. 지역교육과정 구성 체계 분석 14

1. 명칭 14

2. 목차 18

Ⅲ. 지역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분석 24

1. '교육과정의 성격' 24

가. 국가교육과정 24

나. 지역교육과정 26

2. '추구하는 인간상' 27

가. 지향 27

나. 인간상 30

다. 핵심역량 33

라. 가치 40

3. '교육과정 구성 중점' 42

가. 국가교육과정 42

나. 지역교육과정 45

4. '학교급별 교육 목표' 47

가. 국가교육과정 47

나. 지역교육과정 49

Ⅳ. 지역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 체계에 대한 시사점 51

1. 구성 체계 51

2.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내용 체계 53

가. 지역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성격' 53

나. 지역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54

다. 지역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 56

라. 지역교육과정의 '학교급별 교육 목표' 67

Ⅴ. 결론 70

참고문헌 75

판권기 78

표목차

〈표 1〉 국가, 지역, 학교 교육과정의 의미 14

〈표 2〉 지역교육과정 총론 고시 현황 15

〈표 3〉 2015 교육과정 총론과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목차 비교 18

〈표 4〉 전국 지역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구성'의 목차 현황 20

〈표 5〉 충청북도 유ㆍ초ㆍ중ㆍ고ㆍ특수 교육과정 총론 목차 23

〈표 6〉 2015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성격' 24

〈표 7〉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의 성격' 25

〈표 8〉 '지역교육과정의 성격' 제시 현황 26

〈표 9〉 부산교육과정 총론의 '교육과정의 성격' 27

〈표 10〉 국가교육과정의 교육 목적 28

〈표 11〉 '지역교육과정의 지향' 제시 현황 28

〈표 12〉 2015 교육과정의 '인간상' 30

〈표 13〉 2022 교육과정의 '인간상' 31

〈표 14〉 지역교육과정의 '인간상' 제시 현황 32

〈표 15〉 2015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33

〈표 16〉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34

〈표 17〉 지역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제시 현황 35

〈표 18〉 지역교육과정의 '가치' 제시 현황 40

〈표 19〉 2015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구성 중점' 43

〈표 20〉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구성 중점' 43

〈표 21〉 지역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제시 현황 45

〈표 22〉 2015 교육과정'학년별 목표' 47

〈표 23〉 2022 개정 교육과정'학년별 목표' 48

〈표 24〉 지역교육과정의 '학교급별 교육 목표' 제시 현황 49

〈표 25〉 부산교육과정 총론 목차 52

〈표 26〉 대구미래역량교육과정 총론의 '교육과정의 성격' 54

〈표 27〉 2022 개정 교육과정 변화의 배경 54

〈표 28〉 2015 교육과정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제시 사례(제주) 55

〈표 29〉 지역교육과정 '추구하는 인간상' 제시 사례(충북) 58

〈표 30〉 지역교육과정 '추구하는 인간상' 제시 사례(대구) 58

〈표 31〉 지역교육과정의 '지향', '인간상' 과 '핵심역량' 제시 현황 60

〈표 32〉 지역교육과정의 '방향', '인간상' 과 '핵심역량' 내용 61

〈표 33〉 지역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 내용 체계 65

〈표 34〉 지역교육과정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 제시 사례(제주) 65

〈표 35〉 부산지역교육과정의 '학교 급별 교육 목표' 67

그림목차

[그림 1] 2015 교육과정의 인간상과 핵심역량의 관계 59

[그림 2]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인간상과 핵심역량의 관계 60

[그림 3] 지역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 체계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