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제3차)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 2023~2027 / 환경부 전북지방환경청 인기도
발행사항
전주 : 환경부 전북지방환경청, 2022
청구기호
333.918 -23-10
자료실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형태사항
42, 202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23000019260
주기사항
연구수행기관: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연구책임자: 노희영
참고문헌: p. 201-20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1

제3차 고창 운곡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요약보고서 3

목차 47

I. 과업의 개요 57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57

2. 과업의 범위 58

2.1. 시간적 범위 58

2.2. 공간적 범위 58

2.3. 내용적 범위 58

3. 과업 수행 체계 59

II. 습지보호지역 지정 현황 및 이전 계획의 분석 63

1. 습지보호지역 지정 현황 63

2. 이전 계획의 분석 65

2.1. 제2차 보전계획 사업내용 및 이행현황 65

III. 습지 관련 정책 조사·분석 69

1. 습지 관련 국내·외 정책 동향 조사·분석 69

1.1. 국내 습지관련 정책 동향 69

1.2. 국외 습지관련 정책 동향 71

2. 습지 관련 상위계획 검토 72

2.1.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20~2040, 관계부처 합동) 73

2.2. 제3차 습지보전계획(2018~2022, 환경부) 74

2.3.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 환경부) 75

2.4.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9~2026, 관계부처 합동) 76

3. 습지 관련 지역계획 검토 77

3.1. 전라북도 환경보전계획(2021~2030, 전라북도) 78

3.2. 고창군 환경보전계획(2016~2025, 고창군) 79

3.3. 고창군 장기종합발전계획(2021~2030, 고창군) 80

4. 정책·조사 종합분석 81

IV. 습지보호지역 및 주변 현황 조사·분석 85

1. 인문·사회환경 현황 85

1.1. 위치 및 지리적 여건 85

1.2. 교통 및 동선 86

1.3. 인구현황 88

1.4. 토지이용 현황 89

1.5. 주변 오염원 90

1.6. 생태·역사·문화·관광 자원 현황 91

2. 생태기반환경 현황 97

2.1. 기상·기후 97

2.2. 지형·지질 98

2.3. 토양 100

2.4. 수리·수문 102

3. 생태환경 현황 106

3.1. 식생 및 식물상 106

3.2. 동물상 110

4. 현황 종합분석 및 쟁점사항 분석 117

4.1. 습지보호지역 현황 종합분석 117

4.2. 주요 쟁점사항 분석 120

V.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129

1. 습지 보전·관리 목표 설정 129

1.1. 운곡 습지보호지역 비전 및 전략 129

1.2. 전략별 세부사업 수립 130

2. 습지의 보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 132

2.1. 정밀조사 및 모니터링에 관한 사항 133

2.2. 자원 목록화 및 주변 환경 현황에 관한 사항 144

2.3. 습지훼손지 복원 및 보전에 관한 사항 148

2.4. 관리인력 및 조직 확충에 관한 사항 159

2.5.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163

2.6. 교육·홍보자료집 발간에 관한 사항 165

3. 습지보전·이용시설의 설치에 관한 사항 169

3.1. 보전·이용시설 현황 및 필요 시설물 도출 171

3.2. 습지보호시설 설치 운영에 관한 사항 175

3.3. 연구시설 설치 운영 방안 178

3.4. 안내관리시설 설치 운영에 관한 사항 180

3.5. 교육·홍보시설 설치 운영에 관한 사항 185

4. 습지의 보전과 이용·관리에 관한 사항 189

4.1. 당해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업에 관한 사항 190

4.2. 생물다양성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193

4.3. 습지복원사업에 관한 사항 212

4.4. 습지의 현명한 이용에 관한 사항 227

4.5. 기타 습지보전을 위한 사항 236

VI. 연차별 추진계획 및 소요예산 245

1. 사업추진계획 245

2. 사업투자계획 및 소요예산 247

3. 사업 우선순위 251

부록 253

1. 참고문헌 255

[표 1]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지정 개요 63

[표 2]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지정 개요 64

[표 3] 제2차 보전계획 내용 및 이행여부 65

[표 4] 국내 습지관련 정책 동향 70

[표 5] 국외 습지관련 정책 동향 71

[표 6]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상위계획 72

[표 7]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20~2040) 주요 내용 73

[표 8] 제3차 습지보전기본계획(2018~2022) 주요 내용 74

[표 9]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 주요 내용 75

[표 10]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9~2026) 주요 내용 76

[표 11]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직접적 연계 가능한 지역계획 77

[표 12] 전라북도 환경보전계획(2021~2030) 주요 내용 78

[표 13] 고창군 환경보전계획(2016~2025) 주요 내용 79

[표 14] 고창군 장기종합발전계획(2021~2030) 주요 내용 80

[표 15] 운곡 습지보호지역 탐방로 및 탐방동선 현황 87

[표 16] 고창군 연령대별 인구 현황(2021년 1월 기준) 88

[표 17]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및 습지개선지역 토지이용 현황 89

[표 18] 고창군 생태·역사·문화·관광 자원 현황 91

[표 19] 최근 5년간('17~'21) 운곡습지 해설프로그램 방문자 현황 92

[표 20] 운곡습지 일대 무인계수기 탐방 입퇴장 현황(2021년 1월~2022년 10월) 94

[표 21]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관련 생태관광 프로그램 95

[표 22] 고창군 일대 기상 및 기후 현황('12~'21) 97

[표 23]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일대 지형환경 특성 98

[표 24]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유역면적 및 유로연장 102

[표 25] 토양함수율(VWC) 변화 103

[표 26]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오베이골 지점별 강우와 평균수두의 변동량 105

[표 27] 운곡 습지보호지역 식물 군락별 점유 면적 107

[표 28] 운곡 습지보호지역 식생분포 변화(2018년, 2021년) 108

[표 29]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연도별 식물상 출현 현황 108

[표 30] 운곡 습지보호지역 일대 주요 식물상 현황 109

[표 31]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연도별 포유류 출현 현황 110

[표 32]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법정보호종 현황(포유류) 111

[표 33]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연도별 조류 출현 현황 111

[표 34]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법정보호종 현황(조류) 112

[표 35]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연도별 양서·파충류 출현 현황 113

[표 36]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법정보호종 및 생태계교란종 현황(양서·파충류) 114

[표 37]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연도별 육상곤충 출현 현황 115

[표 38]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연도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현황 116

[표 39]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법정보호종 현황(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16

[표 40] 운곡 습지보호지역 현황 종합분석 117

[표 41] 운곡 습지보호지역 1구간(탐방안내소~조류관찰대) 대상지 현황 및 문제점 122

[표 42] 운곡 습지보호지역 2구간(탐방안내소~생태둠벙) 대상지 현황 및 문제점 124

[표 43] 제3차 고창 운곡습지보호지역 세부전략 및 세부사업(안) 131

[표 44] 습지의 보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 세부사업 132

[표 45] 운곡 습지보호지역 일대 생태계 모니터링 방안 134

[표 46] 용출수 발견지점 일대 모니터링 방안 135

[표 47] 탄소수지 Test bed 관측시설 설치방안 136

[표 48] 복원 목표종 후보군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출현 현황 138

[표 49] 운곡 습지보호지역 복원 목표종 서식 특징 139

[표 50] 우선 복원 목표종 선정기준(안) 140

[표 51] 우선 목표종 우선순위 선정(안) 및 최종 목표종 선정 시 고려사항 141

[표 52] 최종 복원 목표종 선정을 위한 관리계획 및 지역 관계자 의견 종합 142

[표 53] 복원목표종별 모니터링 및 서식지 확대복원 계획 143

[표 54] 운곡습지 일대 관리지역 영향권역 설정(안) 146

[표 55] 운곡습지 일대 영향권역 관리방안 147

[표 56] 운곡 습지보호지역 및 습지개선지역 일대 소유 면적 현황 149

[표 57] 습지보전법 제20조의2(토지등의 매수) 149

[표 58] 운곡 습지개선지역 내 사유지 현황(7개 필지) 150

[표 59] 운곡 습지개선지역 내 사유지 우선매수 필요지역 설정 결과 151

[표 60] 운곡 습지개선지역 내 사유지 연차별 매수 계획(안) 152

[표 61] 오베이골 진입부 대나무숲 군락지 일대 저류형 침사지 조성 방안 154

[표 62] 영향권역별 훼손 현황 및 모니터링 항목 설정(안) 158

[표 63] 고창 운곡습지 감시 및 관리운영 현황 159

[표 64] 기간제 단기감시원 채용(안) 161

[표 65] 운곡습지 일대 중점감시구간 설정(안) 162

[표 66] 람사르습지도시 거버넌스 구성 및 역할 예시 164

[표 67] 오베이골 복원·관리 매뉴얼 구성(안) 165

[표 68] 자연환경해설사 및 주민감시원 등 역량 강화 교육 시행 방안 168

[표 69] 습지보전·이용시설의 설치에 관한 사항 세부사업 169

[표 70] 운곡습지 내 시설물 분포 현황 170

[표 71] 운곡습지 내 보전시설 현황 171

[표 72] 운곡습지 내 편의시설 현황 172

[표 73] 운곡습지 내 기타시설 현황 174

[표 74] 운곡습지 내 안내시설 현황 176

[표 75] 운곡습지 내 관찰시설 현황 178

[표 76] 자연생태원 건립 예정지 사업 개요 181

[표 77] 고인돌 탐방안내소 이전 및 추가 설립 방안 182

[표 78] 습지센터 추가 설립 및 기존 홍보관 기능 확대 방안 186

[표 79] 고창 운곡습지 습지센터(안) 187

[표 80] 습지의 보전과 이용·관리에 관한 사항 세부사업 189

[표 81] 생태체험프로그램을 통한 지역소득 창출 현황 191

[표 82] 생태체험프로그램을 통한 지역소득 증대 방안 마련(안) 192

[표 83] 운곡 습지보호지역 생태계교란야생생물 출현 실태 193

[표 84] 생태계교란야생생물 제거·관리 방향(안) 194

[표 85]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은사시나무 식재림 분포 변화(2018년, 2021년) 197

[표 86] 은사시나무 모니터링 방안(안) 198

[표 87] 은사시나무 군락지 관리방안(안) 199

[표 88] 가시연의 안정적 생육을 위한 시기별 중점관리 방안 204

[표 89] 가시연 모니터링 조사항목 및 항목별 조사 시기 205

[표 90] 가시연 복원지 개체수 증식을 위한 이식계획(안) 205

[표 91] 진노랑상사화 모니터링 조사항목 및 항목별 조사 시기 207

[표 92] 진노랑상사화 안정적 생육을 위한 시기별 중점관리 방안 207

[표 93] 물장군 모니터링 조사항목 및 항목별 조사 시기 208

[표 94] 오베이골 하부 일대 습지 및 논둑복원 계획 209

[표 95] 뜸부기류 복원목표종 모니터링을 위한 전문가 의견사항 210

[표 96] 뜸부기류 서식환경 특성 211

[표 97]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논둑복원 A공법 시공방법 및 장단점 218

[표 98]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논둑복원 B공법 시공방법 및 장단점 219

[표 99]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논둑복원 C공법 시공방법 및 장단점 220

[표 100]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일반 물막이 시공방법 및 장단점 221

[표 101]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경사형 물막이 시공방법 및 장단점 222

[표 102] 복원구간별 논둑복원 및 물막이막 현황 223

[표 103] 복원요소별 DB화 구축(안) 예시 225

[표 104] 전기탐방열차 보차도 분리를 위한 숲 산책로 조성 계획(안) 226

[표 105] 코스별 생태체험프로그램 적용(안) 229

[표 106] 국내·외 사운드스케이프 관련 체험 프로그램 사례 230

[표 107] 코스별 생태체험프로그램 적용(안) 232

[표 108] 국내·외 사운드스케이프 관련 체험 프로그램 사례 234

[표 109] 운곡습지 시민과학자모니터링 운영 방안 235

[표 110]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연계 가능한 주민 지원 사업 237

[표 111] 생태계서비스지불제 도입 방안 238

[표 112] 시민모니터링 활동 연계 방안 239

[표 113] 무인계수기를 활용한 수용능력 산출 방법(예시) 241

[표 114] 고창 운곡습지 핵심목표사업별 연도별 소요예산 247

[표 115] 습지의 보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 연도별 소요예산(안) 248

[표 116] 습지보전·이용시설의 설치에 관한 사항 연도별 소요예산(안) 249

[표 117] 습지의 보전과 이용·관리에 관한 사항 연도별 소요예산(안) 250

[표 118] 사업 추진 우선순위 도출항목 251

[표 119] 고창 운곡습지 세부 추진사업 우선순위 252

[그림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57

[그림 2]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현황 58

[그림 3] 과업수행체계 59

[그림 4]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정책·조사 분석 및 키워드 도출 81

[그림 5] 운곡 습지보호지역 일대 위치도 및 상세도 85

[그림 6] 운곡 습지보호지역 일대 위치도 및 상세도 86

[그림 7] 고창군 최근 5년간('17~'21) 인구변화 추이 88

[그림 8] 운곡 습지보호지역 및 개선지역 토지이용현황도 90

[그림 9] 고창군 생태·역사·문화·관광 자원 현황도 91

[그림 10] 운곡 습지보호지역 해설프로그램 탐방 현황 93

[그림 11] 운곡습지 일대 무인계수기 탐방 입장인원 현황 94

[그림 12]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교육·홍보자료 현황 96

[그림 13] 고창군 연도별, 계절별 강수량 분석 98

[그림 14] 운곡 습지보호지역 일대 지형환경도 99

[그림 15] 운곡 습지보호지역 일대 지형 및 지질 현황도 101

[그림 16] 토양함수율 측정지점 및 함수율 분포 및 변동 103

[그림 17] 운곡 습지보호지역 오베이골 지중수위 변동 104

[그림 18] 묵논습지(Well 2-1) 복원효과에 의한 지하수 일용출량 105

[그림 19] 고창 운곡 습지보호지역 식생도 106

[그림 20] 운곡 습지보호지역 포유류 현황 111

[그림 21] 운곡 습지보호지역 조류 현황 113

[그림 22] 운곡 습지보호지역 양서·파충류 현황 114

[그림 23] 운곡 습지보호지역 육상곤충 현황 115

[그림 24] 운곡 습지보호지역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현황 116

[그림 25] 운곡 습지보호지역 구간별 주요 이슈 종합도 120

[그림 26] 1구간 주요 이슈 현황도 121

[그림 27] 1구간(탐방안내소1~조류관찰대) 현황 122

[그림 28] 2구간(탐방안내소2~생태둠벙) 주요 이슈 현황도 123

[그림 29] 2구간(탐방안내소2~생태둠벙) 현황 125

[그림 30] 운곡 습지보호지역 비전 및 전략 수립 129

[그림 31] 오베이골 용출수 발견지점 모니터링 방안 135

[그림 32] 오베이골 탄소수지 Test bed 관측시설 설치 방안 135

[그림 33] 오베이골 탄소수지 Test bed 관측시설 설치 방안 136

[그림 34] 복원 목표종 선정 프로세스(안) 138

[그림 35] 운곡 습지보호지역 우선 목표종 선정 의견수렴 설문지 예시 140

[그림 36] 2차 보전계획 당시 관리권역 설정 결과 삽도 144

[그림 37] 2017년 연구 당시 영향권역 설정(안) 145

[그림 38] 제3차 보전계획 영향권역 설정(안) 146

[그림 39] UNESCO MAB의 세가지 기능 147

[그림 40] 습지개선지역 일대 사유지 및 훼손 현황(2022년 6월) 148

[그림 41] 습지개선지역 사유지 단계별 매수 계획 설정 프로세스 150

[그림 42] 고창 운곡 습지개선지역 일대 사유지 연차별 매수 계획(안) 152

[그림 43] 운곡습지 오베이골 진입부 일대 주요 현황 153

[그림 44] 오베이골 진입부 대나무숲 군락지 일대 계단형 침사지(저류지) 및 활용 방안 155

[그림 45] 탐방로 경계부 자연형 식생수로 조성 방안 예시 155

[그림 46] 운곡습지 훼손현황 및 모니터링 프로세스(안) 156

[그림 47] 운곡 습지보호지역 훼손현황 모니터링 지점 157

[그림 48] 운곡 습지보호지역 주요 훼손현황 157

[그림 49] 운곡습지 일대 연도별·월별 해설 프로그램 탐방객 추이 현황('17~'21년) 160

[그림 50] 생태 관련 복원 및 관리 매뉴얼 구성 예시 166

[그림 51] 습지복원사업 영상화를 통한 홍보 및 생태교육 활용 방안 예시 166

[그림 52] 자연환경해설사 및 주민감시원 등 역량 강화 교육 예시 168

[그림 53] 운곡습지 일대 시설물 현황도 170

[그림 54] 운곡습지 내 보전시설 현황 172

[그림 55] 운곡습지 내 편의시설 현황 173

[그림 56] 운곡습지 내 기타시설 현황 174

[그림 57] 운곡습지 내 안내판 자연적 훼손 현황 177

[그림 58] QR코드를 활용한 정보 제공 방안 예시(광교 생태체험교육관 에코 미션 투어) 177

[그림 59] 운곡습지 내 관찰시설 현황 179

[그림 60] 고인돌 탐방안내소 및 고창 고인돌유적 문화재 안내판 현황 180

[그림 61] 고인돌 탐방안내소 이전 및 추가 설립 방안 182

[그림 62] 운곡습지 전기탐방열차(좌) 및 무인매표소 현황(우) 183

[그림 63] 탐방열차 운행구간 안내판(사례) 184

[그림 64] 주의 안내판 설치(예시) 184

[그림 65] 전기탐방열차 무인매표소 현황 및 안내판 설치(안) 185

[그림 66] 운곡람사르습지홍보관 내 홍보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 186

[그림 67] 운곡습지 습지센터 추가 설립(안) 위치도 및 설립 예시 188

[그림 68] 운곡습지 습지센터 추가 설립(안) 위치도 및 설립 예시 190

[그림 69] 마을사업 추진 과정 예시(무등산 국립공원 사례) 192

[그림 70] 운곡 습지보호지역 생태계교란야생생물 현황 194

[그림 71] 운곡 습지보호지역 생태계교란 야생생물 집중관리구역(안) 195

[그림 72]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은사시나무 군락지 현황 197

[그림 73] 목표종별 복원 대상지 현황 200

[그림 74] 운곡 습지보호지역 내 가시연복원지 현황 201

[그림 75] 안덕제 일대 수위조절장치 설치 대상지(안) 202

[그림 76] 수위조절장치 설치(안) 203

[그림 77] 수위조절장치 설치 예시 203

[그림 78] 진노랑상사화 모니터링 현황 206

[그림 79] 운곡습지 내 물장군(좌), 물장군 시험복원(시험케이지 이주)(우) 208

[그림 80] 물장군 생육 주기 208

[그림 81] 오베이골 하부 일대 복원시설 평면도 209

[그림 82] 오베이골 하부 일대 복원시설 상세도 210

[그림 83] 복원지 서식 생물종 및 뜸부기류 모니터링 방안 211

[그림 84] 생태연못 일대 및 유출구 훼손 현황 212

[그림 85] 생태연못 일대 훼손구간 개선사업 구상(안) 213

[그림 86] 계단식 습지 단면도(예시) 214

[그림 87] 생태연못 훼손지 복원사업 프로세스(안) 214

[그림 88] 경관데크 주변 토사유입 현황 214

[그림 89] 운곡습지 기복원 구간 내 관리 필요 현황 215

[그림 90] 운곡습지 내 생태복원사업 계획 평면도 216

[그림 91] 기복원지 관리 체계 구축 프로세스 217

[그림 92] 운곡습지 논둑복원 A공법 시공 현황 218

[그림 93] 운곡습지 논둑복원 B공법 시공 현황 219

[그림 94] 운곡습지 논둑복원 C공법 시공 현황 220

[그림 95] 운곡습지 일반 물막이 시공 현황 221

[그림 96] 운곡습지 경사형 물막이 시공 현황 222

[그림 97] 오베이골 내 논둑복원 및 물막이막 도면화 현황 223

[그림 98] 복원요소별 코드화 및 현장점검 체크리스트 방안 예시 224

[그림 99] 운곡습지보호지역 탐방코스 현황 및 순환형 팀방로 계획(안) 227

[그림 100] 탐방객 탐방루트 개선(안) 228

[그림 101] 국내·외 사운드스케이프 관련 체험 프로그램 사례 231

[그림 102] 습지교육 프로그램 사례 233

[그림 103] 시민과학자 및 코디네이터 역량강화 방안 사례 235

[그림 104] 판매시스템 설치 사례 236

[그림 105] 생태계교란종 제거활동 주체(안) 238

[그림 106] 시민모니터링 활동과 연계한 방안 예시 239

[그림 107] 운곡습지 일대 무인계수기 탐방 입장인원 현황 240

[그림 108] 핵심전략1, 2 245

[그림 109] 핵심전략3 24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84266 333.918 -23-1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2984267 333.918 -23-1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