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장이머우(張藝謀) 그리고 그의 무협영화 속 이미지 표현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85516 791.430952 -2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985517 791.430952 -2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93079 791.430952 -23-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중국 고대 미학의 의경은 오랜 역사 과정에서 형성되어 발전했으며, 그 자체와 풍부한 의미로 볼 때, 의경은 외부 사물에 대한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의미에 대한 심오한 추구의 결과 형성된 표의공간(表意空間)을 가리킨다. 전통적으로 중국에서는 시가 문학뿐 아니라 회화 등 이미지를 중시하는 예술 전반에서 의경을 중시해왔고, 지금도 현대적인 종합 예술로 손꼽히는 영화 예술에서 의경에 대한 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1905년 최초의 영화 <정군산(定軍山)>이 제작된 이래 현재까지, 중국의 영화 제작자 및 연구자들은 끊임없이 영화의 의경에 대한 추구를 거듭해 왔으며, 중국을 대표하는 감독들 또한 대부분 자신의 영화에서 의경을 형상화하기 위한 노력과 시도를 멈추지 않았다.
중국에서는 ‘국사(國師)’로 칭송받는 제5세대 대표 감독 장이머우는 그가 이룩한 수많은 업적으로 인해 예술적 측면에서나 상업적 측면 모두에서 많은 중국 영화 제작자들의 롤모델로 손꼽힌다. 특히 2000년 이후 그는 무협 영화 장르에서 상업적인 흥행을 거두었을 뿐 아니라 독자적인 의경을 구축함으로써 전 세계 영화인의 주목을 받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이머우의 무협 영화를 중심으로 그가 구축한 의경을 분석하고 그 예술 세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장이머우 무협 영화의 의경에 대한 분석은 중국 영화 의경 창작의 현황을 직시함으로써 이후 영화 의경의 구축에 있어서 그 기초를 확정하고 범주를 확장할 수 있는 단서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근현대 미학자들의 의경 이론에서 주요 개념들을 정리하고, 이에 근거해 의경과 현대 영화 예술의 관련성을 명백히 하였으며, 영화 의경의 두 가지 구성 요소와 형성 기제에 대한 설명에 기초해 중국 영화 의경 이론의 발전과 형성을 비교적 자세히 기술하였다. 그중에서도 류수량(劉書亮)의 『중국 영화 의경론(中國電影意境論)』에 주로 의지해 “의경은 관련된 구성 요소를 생성하는 미학적 형태”라는 그 인식을 전제로 영화 의경의 구축을 위한 이론의 특징을 개괄하였다.
또한 상술한 류수량의 이론을 기초로 장이머우의 무협 영화에서 재현된 의경의 시각적 표현을 중점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분석은 영화 의경의 주요한 세 가지 요소, 즉 ‘장면’, ‘도구’, ‘색채’ 디자인에 대해 집중적으로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요소가 한 화면 속에서 어떤 작용을 일으키고 있는지, 영상 및 작품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장이머우 무협 영화에서 구현된 의경 구축의 원리를 찾아내고자 했다. 이는 장이머우 감독의 사상적 경계와 미학적 취향을 연구하는 한편, 나아가 현대적인 예술 장르로서 영화와 중국 전통의 미학적 개념인 의경이 결합하는 방식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의 기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영화 의경에 대한 연구는 비록 장이머우의 무협 영화에 국한되었으나, 장면, 도구, 색채라는 영상 예술의 기본 요소에 대한 전면적인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영화 예술 전반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의경 개념의 제안과 그 구체적인 구축 방식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화 의경 개념의 확립은 세계화, 현지화, 종합화, 개성화가 동시에 추구되는 오늘날의 영상 예술에 참신한 시각을 제시하고 보다 풍부한 영화 예술의 발전을 위한 기틀을 마련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