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 제 1 장 |
기술기반창업과 지식재산권 현황 6
1.1 기술기반창업 현황 9
1.2 기술기업의 지식재산권 현황 13

| 제 2 장 |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기술금융 16
2.1 기술기업의 핵심자산, 지식재산권 19
2.2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기술금융 22
2.3 기술기업의 성장단계별 자금조달 29

| 제 3 장 |
기술금융을 위한 기술가치평가 32
3.1 기술평가의 유형 및 목적 35
3.2 기술가치평가 절차 38
3.3 기술가치평가 의뢰기업 준비사항 43
3.4 기술가치평가 보고서 내용 46

| 제 4 장 |
기술가치평가를 위한 재무제표분석 48
4.1 대표업종과 분석대상 선정 51
4.2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이해 54
4.2.1 재무상태표의 이해 54
4.2.2 손익계산서의 이해 59
4.2.3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상호관련성 63
4.3 주요 재무비율 분석 65
4.3.1 안정성 분석 66
▶ 연습문제 01 유동성 분석 73
▶ 연습문제 02 재무안정성 사례 74
4.3.2 수익성 분석 76
▶ 연습문제 03 수익성 사례 82
4.3.3 활동성 분석 85
▶ 연습문제 04 활동성 사례 94
4.3.4 성장성 분석 97
▶ 연습문제 05 성장성 사례 101
4.4 시장가치의 본질 102
4.4.1 화폐의 시간적 가치 102
4.4.2 미래현금흐름 105
4.4.3 자본비용(적정할인율) 107
▶ 연습문제 06가중평균자본비용 사례 113

| 제 5 장 |
기술가치평가의 정성적 평가 114
5.1 평가요인분석의 구조 117
5.1.1 정성평가와 정량평가 117
5.1.2 평가요인 분석의 논리구조 118
5.1.3 주요 평가항목과핵심변수 연계표 120
5.2 기술성 분석 121
5.2.1 개요 및 정의 121
5.2.2 기술성분석 사례 122
5.3 권리성분석 126
5.3.1 개요 및 정의 126
5.3.2 권리성분석 사례 127
5.4 시장성분석 130
5.4.1 개요 및 정의 130
5.4.2 시장성분석 사례 131
5.5 사업성분석 142
5.5.1 개요 및 정의 142
5.5.2 사업성분석 사례 143

| 제 6 장 |
기술가치 산출을 위한 수익접근법 148
6.1 수익접근법의 개요 151
6.2 기술의 경제적 수명 153
6.3 현금흐름 산정 157
6.3.1 매출액 추정 157
6.3.2 매출원가 및 판관비 164
6.3.3 법인세 등 167
6.3.4 자본적지출 167
6.3.5 감가상각비 169
6.3.6 운전자본 증감 169
6.3.7 투자액 회수 171
6.3.8 추정 현금흐름 172
6.4 할인율 173
6.4.1 할인율 추정 근거 173
6.4.2 기술사업화 위험 프리미엄 175
6.4.3 할인율 추정 결과 176
6.5 기술기여도 및 기술가치산출 178
6.5.1 산업기술요소 180
6.5.2 개별기술강도 181
6.5.3 기술의 비중 183
6.5.4 기술기여도 산출 184
6.5.5 추정 사업가치 및 기술가치 185

부록 1
정성적 평가의 평가항목 189
1.1 기술성 평가항목 189
1.2 권리성 평가항목 193
1.3 시장성 평가항목 195
1.4 사업성 평가항목 198
부록 2
기술사업화 위험 프리미엄 200
부록 3
산업별 할인율 산출표 201
부록 4
업종별 산업기술요소 205

참고문헌 208

이용현황보기

스타트업을 위한 기술금융과 기술가치평가 : 국내 최초로 공개되는 기술금융과 사례 중심의 기술가치평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91780 658.15 -23-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73042 658.15 -23-2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머릿말]
본서는 스타트업의 기업가, 공공 및 민간기관의 기술가치평가 관련자, 이공계 대학원생 및 기술경영대학원생, 회계학과 재학생에게 지식재산권을 통한 기술금융과 기술가치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집필하였습니다.
본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최근 5년(’17~21) 동안에 국내 전체창업에서 기술기반 창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5.4%∼17.2%로 집계됩니다. 국내 기업의 5년차 생존율은 2020년 기준 29.2%이고 창업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제기됩니다. 기술금융은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의 혁신 및 기술사업화를 위한 중요한 자금조달 수단이고 2020년 6월 기준으로 중소기업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 수준으로 지속적 성장성이 전망됩니다. 본서는 기술기반창업과 지식재산권 현황, 기술기업의 핵심자산인 지식재산권,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기술금융 등에 대해 개략적인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둘째, 본서는 기술가치평가 방법 중에서 수익접근법(DCF)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수익접근법은 회계학의 핵심 이론을 차용하고 있어서 해당 이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본서의 ‘제4장 기술가치평가를 위한 재무제표분석’에서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이해, 주요 재무비율 분석 및 시장가치 본질에서 필요한 이론과 연습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셋째, 기술가치평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점은 대상기술의 정성적 평가를 통해 사업의 타당성을 확보한 후에 기술가치평가 모델에 핵심변수를 투입하여 가치를 산출하는 것입니다. 본서는 대상기술의 기술성·권리성·시장성·사업성의 평가요인 및 사례를 통해 체계적으로 정성적분석 과정을 설명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넷째, 실무에서 기술가치평가는 대상기술의 사업화를 전제로 대상기술제품으로 창출되는 미래현금흐름을 적정할인율로 환산한 현재가치에 기술기여도를 적용한 기술가치 입니다. 본서는 지식재산권(특허권)과 관련된 대상기술, 대상기술이 적용되는 제품, 대상기술제품의 사업화에 따른 현금흐름 등의 일련의 사업화 과정에 대해 가상의 특허와 가상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가치평가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서가 독자들의 기술금융과 기술가치평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각자의 상황에서 작게나마 활용되었으면 합니다. 끝으로 본서의 출간을 허락해준 ㈜샘앤북스 출판사의 이낙규 사장님, 연초라 빠듯한 일정에도 최선을 다해 편집과 디자인작업을 해주신 이정희 부장님 이하 직원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바쁘신 일정에도 꼼꼼히 감수해 주신 김용호 박사님과 백석대학교의 신성호 교수님께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2023년 새해를 맞으며
저자 표춘미·최정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