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24
1.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25
2. 연구 목적 30
3. 주요 연구 내용 30
4. 연구 추진 방법 31
Ⅱ.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에 대한 논의 개관 36
1. 지역사회 연계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 37
2. 교과별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 현황의 예비적 탐색 49
Ⅲ.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유형과 연계의 의미 탐색 78
1. 델파이 조사의 개요 79
2. 델파이 조사 결과 81
3. 요약 및 시사점 97
Ⅳ.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 실태 및 관련자 인식 조사 105
1. 중학교 교원ㆍ학생 대상 설문 조사 106
2. 지역사회 교육 자원 관계자 면담 조사 174
Ⅴ.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중학교 교과 수업 사례 분석 225
1. 사례 분석의 개요 226
2. 교과별 사례 분석 결과 231
Ⅵ.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중학교 교과 수업 지원 방안 349
1.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 지원 방안 도출 방향 350
2.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중학교 교과 수업 지원 방안 354
Ⅶ. 요약 및 정책 제언 474
1. 요약 475
2. 정책 제언 485
표목차〈표 Ⅱ-2-1〉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 현황 탐색을 위한 교과별 전문가 협의회 개최 개요 49
〈표 Ⅲ-1-1〉 델파이 조사 참여 전문가 구성(총 35명) 79
〈표 Ⅲ-1-2〉 델파이 조사 개요 80
〈표 Ⅲ-2-1〉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1차 델파이 응답 반영 사례 82
〈표 Ⅲ-2-2〉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동의 정도(2차 델파이 조사) 83
〈표 Ⅲ-2-3〉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 연계의 기대효과'에 대한 1차 델파이 응답 반영 사례 84
〈표 Ⅲ-2-4〉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의 기대 효과: 수업 환경 측면'에 대한 동의 정도(2차 델파이 조사) 86
〈표 Ⅲ-2-5〉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의 기대 효과: 교수 활동 측면'에 대한 동의 정도(2차 델파이 조사) 86
〈표 Ⅲ-2-6〉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의 기대 효과: 학습 경험 측면'에 대한 동의 정도(2차 델파이 조사) 87
〈표 Ⅲ-2-7〉 지역사회 교육 자원 유형(안) 88
〈표 Ⅲ-2-8〉 '지역사회 교육 자원 유형(안)'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응답 사례 89
〈표 Ⅲ-2-9〉 지역사회 교육 자원 유형(안)의 수정 의견에 대한 동의 정도(2차 델파이 조사) 90
〈표 Ⅲ-2-10〉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조건'에 대한 1차 델파이 응답 반영 사례 92
〈표 Ⅲ-2-11〉 '지역사회 교육 자원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에 대한 동의 정도(2차 델파이 조사) 92
〈표 Ⅲ-2-12〉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의 연계의 의미'에 대한 1차 델파이 응답 반영 사례 95
〈표 Ⅲ-2-13〉 1차 델파이 응답 결과를 반영한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의 연계의 의미 구조' 96
〈표 Ⅲ-2-14〉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의 연계의 의미'에 대한 동의 정도(2차 델파이 조사) 97
〈표 Ⅲ-3-1〉 지역사회 교육 자원 유형(최종안) 101
〈표 Ⅲ-3-2〉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의 연계의 의미 구조(최종안) 103
〈표 Ⅳ-1-1〉 교사용 설문의 내용 및 응답 형식 107
〈표 Ⅳ-1-2〉 학교장용 설문의 내용 및 응답 형식 108
〈표 Ⅳ-1-3〉 학생용 설문의 내용 및 응답 형식 108
〈표 Ⅳ-1-4〉 응답 교사의 배경 변인 109
〈표 Ⅳ-1-5〉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구비 정도에 대한 인식 110
〈표 Ⅳ-1-6〉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구비 정도에 대한 인식_기관 및 시설 111
〈표 Ⅳ-1-7〉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구비 정도에 대한 인식_전문가 111
〈표 Ⅳ-1-8〉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구비 정도에 대한 인식_지역사회 구성원 111
〈표 Ⅳ-1-9〉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구비 정도에 대한 인식_지역의 생활 문화 112
〈표 Ⅳ-1-10〉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구비 정도에 대한 인식_지역의 예술 112
〈표 Ⅳ-1-11〉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구비 정도에 대한 인식_지역의 이슈 113
〈표 Ⅳ-1-12〉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에 대한 인식 114
〈표 Ⅳ-1-13〉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자연 및 인공 환경 114
〈표 Ⅳ-1-14〉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지역사회 구성원 115
〈표 Ⅳ-1-15〉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지역의 역사 115
〈표 Ⅳ-1-16〉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지역의 생활 문화 116
〈표 Ⅳ-1-17〉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지역의 예술 116
〈표 Ⅳ-1-18〉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국어 교사 117
〈표 Ⅳ-1-19〉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사회 교사 117
〈표 Ⅳ-1-20〉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과학 교사 118
〈표 Ⅳ-1-21〉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역사 교사 118
〈표 Ⅳ-1-22〉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기술ㆍ가정 교사 119
〈표 Ⅳ-1-23〉 교과 수업과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효과성_미술 교사 119
〈표 Ⅳ-1-24〉 담당 교과 수업에서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의 교육적 의미 121
〈표 Ⅳ-1-25〉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과 역량 증진 도움 여부_국어 122
〈표 Ⅳ-1-26〉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영역별 학습 도움 여부_국어 122
〈표 Ⅳ-1-27〉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수ㆍ학습 방향 구현 도움 여부_국어 123
〈표 Ⅳ-1-28〉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과 역량 증진 도움 여부_사회 123
〈표 Ⅳ-1-29〉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영역별 학습 도움 여부_사회 124
〈표 Ⅳ-1-30〉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수ㆍ학습 방향 구현 도움 여부_사회 124
〈표 Ⅳ-1-31〉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과 역량 증진 도움 여부_역사 125
〈표 Ⅳ-1-32〉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영역별 학습 도움 여부_역사 125
〈표 Ⅳ-1-33〉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수ㆍ학습 방향 구현 도움 여부_역사 126
〈표 Ⅳ-1-34〉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과 역량 증진 도움 여부_과학 126
〈표 Ⅳ-1-35〉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영역별 학습 도움 여부_과학 126
〈표 Ⅳ-1-36〉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수ㆍ학습 방향 구현 도움 여부_과학 127
〈표 Ⅳ-1-37〉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과 역량 증진 도움 여부_기술ㆍ가정 127
〈표 Ⅳ-1-38〉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영역별 학습 도움 여부_기술ㆍ가정 128
〈표 Ⅳ-1-39〉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수ㆍ학습 방향 구현 도움 여부_기술ㆍ가정 128
〈표 Ⅳ-1-40〉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과 역량 증진 도움 여부_미술 교사 129
〈표 Ⅳ-1-41〉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영역별 학습 도움 여부_미술 129
〈표 Ⅳ-1-42〉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교수ㆍ학습 방향 구현 도움 여부_미술 130
〈표 Ⅳ-1-43〉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 연계 빈도 131
〈표 Ⅳ-1-44〉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 연계 영향 요인 132
〈표 Ⅳ-1-45〉 교과 수업에서 많이 활용하는 지역사회 교육 자원 유형 133
〈표 Ⅳ-1-46〉 지역사회 교육 자원 인지 경로 134
〈표 Ⅳ-1-47〉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 연계 방식 135
〈표 Ⅳ-1-48〉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 연계 도움 요인 136
〈표 Ⅳ-1-49〉 지역사회 교육 자원 교과 수업 계획 시 어려운 점 136
〈표 Ⅳ-1-50〉 지역사회 교육 자원 교과 수업 계획 시 어려운 점_교과 연계 수업 경험 유무 137
〈표 Ⅳ-1-51〉 지역사회 교육 자원 교과 수업을 위해 교육 자원 관련자와 접촉 시 어려운 점 138
〈표 Ⅳ-1-52〉 지역사회 교육 자원 교과 수업을 위해 교육 자원 관련자와 접촉 시 어려운 점_교과 수업 연계 경험 유무 139
〈표 Ⅳ-1-53〉 지역사회 기관, 시설, 자연환경 방문 교과 수업 진행 시 어려운 점 139
〈표 Ⅳ-1-54〉 지역사회 기관, 시설, 자연환경 방문 교과 수업 진행 시 어려운 점_교과 수업 연계 경험 유무 140
〈표 Ⅳ-1-55〉 교과와 관련된 지역사회의 삶의 모습이나 문제를 수업에서 활용할 때 어려운 점 141
〈표 Ⅳ-1-56〉 교과와 관련된 지역사회의 삶의 모습이나 문제를 수업에서 활용 시 어려운 점_교과 수업 연계 경험 유무 141
〈표 Ⅳ-1-57〉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 지원을 위한 연수 내용 143
〈표 Ⅳ-1-58〉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 활성화를 위한 학교의 지원 143
〈표 Ⅳ-1-59〉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지원 사항 144
〈표 Ⅳ-1-60〉 지역사회 교육 자원 교과 수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교육 자원 관련 시설 및 기관의 지원 사항 145
〈표 Ⅳ-1-61〉 응답 학교장의 배경 변인 149
〈표 Ⅳ-1-62〉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구비 정도에 대한 인식 150
〈표 Ⅳ-1-63〉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구비 정도에 대한 인식_지역의 이슈 151
〈표 Ⅳ-1-64〉 지역사회 교육 자원 조건 151
〈표 Ⅳ-1-65〉 지역사회 교육 자원 조건_가능한 학교와 가까운 곳에 있어야 한다 152
〈표 Ⅳ-1-66〉 지역사회 교육 자원 조건_특정 대상 및 분야에 대한 선전, 비방, 편견 배제 152
〈표 Ⅳ-1-67〉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의 연계 활성화 수준 153
〈표 Ⅳ-1-68〉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의 연계 활성화 수준_교과 수업 153
〈표 Ⅳ-1-69〉 지역사회 교육 자원 유형(복수 응답) 154
〈표 Ⅳ-1-70〉 지역사회 교육 자원 인지 경로 155
〈표 Ⅳ-1-71〉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의 교육적 의미 156
〈표 Ⅳ-1-72〉 교과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을 위한 학교장 역할 156
〈표 Ⅳ-1-73〉 지역사회 교육 자원 교과 수업 활성화를 위한 학교의 지원 157
〈표 Ⅳ-1-74〉 지역사회 교육 자원 교과 수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청(교육지원청)의 지원 157
〈표 Ⅳ-1-75〉 지역사회 교육 자원 교과 수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청(교육지원청)의 지원 158
〈표 Ⅳ-1-76〉 지역사회 교육 자원 교과 수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교육 자원 관련 시설 및 기관의 지원 158
〈표 Ⅳ-1-77〉 응답 학생의 배경 변인 161
〈표 Ⅳ-1-78〉 교과 수업 시간에 경험한 활동(복수 응답) 161
〈표 Ⅳ-1-79〉 교과 수업 시간에 경험한 활동(복수 응답) 162
〈표 Ⅳ-1-80〉 교과 수업 시간에 경험한 활동(복수 응답) 162
〈표 Ⅳ-1-81〉 지역의 기관 견학, 자연환경 조사, 외부 프로그램 참여 활동 시 좋았던 점 163
〈표 Ⅳ-1-82〉 지역의 기관 견학, 자연환경 조사, 외부 프로그램 참여 활동 시 좋았던 점 163
〈표 Ⅳ-1-83〉 지역의 전문가 강연 청강 및 인터뷰 활동 시 좋았던 점 164
〈표 Ⅳ-1-84〉 지역의 행사 참여 및 지역 문제 수업 시 좋았던 점 164
〈표 Ⅳ-1-85〉 수업 시간에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질 때 좋은 점 165
〈표 Ⅳ-1-86〉 수업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은 활동(복수 응답) 165
〈표 Ⅳ-1-87〉 수업 중 지역에 있는 것을 활용할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_국어 166
〈표 Ⅳ-1-88〉 수업 중 지역에 있는 것을 활용할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_국어 166
〈표 Ⅳ-1-89〉 수업 중 지역에 있는 것을 활용할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_사회 167
〈표 Ⅳ-1-90〉 수업 중 지역에 있는 것을 활용할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_사회 167
〈표 Ⅳ-1-91〉 수업 중 지역에 있는 것을 활용할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_역사 168
〈표 Ⅳ-1-92〉 수업 중 지역에 있는 것을 활용할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_과학 168
〈표 Ⅳ-1-93〉 수업 중 지역에 있는 것을 활용할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_과학 169
〈표 Ⅳ-1-94〉 수업 중 지역에 있는 것을 활용할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_기술ㆍ가정 169
〈표 Ⅳ-1-95〉 수업 중 지역에 있는 것을 활용할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_기술ㆍ가정 169
〈표 Ⅳ-1-96〉 수업 중 지역에 있는 것을 활용할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_미술 170
〈표 Ⅳ-2-1〉 면담자 구성(총 13명) 174
〈표 Ⅳ-2-2〉 지역사회 교육 자원 관계자 면담 내용 175
〈표 Ⅳ-2-3〉 2022년 국립중앙과학관 주중과학교실(중ㆍ고등학교)(2022.5.13. 면담자 A 제공) 176
〈표 Ⅳ-2-4〉 2021년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과의 학교 연계 프로그램 181
〈표 Ⅳ-2-5〉 국립현대미술관 교육과 프로그램(2022. 7. 12. 면담자 D 설명 내용) 189
〈표 Ⅳ-2-6〉 대구교육박물관 1일 현장체험학습 초등ㆍ중등 과정 프로그램 193
〈표 Ⅳ-2-7〉 2022년 고경력 과학기술인 학교 멘토링 강의 주제 목록(2022.9.16. 면담자 G 제공) 214
〈표 Ⅳ-2-8〉 2022년 고경력 과학기술인 학교멘토링 참여 희망학교 신청 서식(2022.9.16. 면담자 G 제공) 215
〈표 Ⅴ-1-1〉 수업 사례 분석 대상 정보 226
〈표 Ⅴ-1-2〉 수업 관찰을 위한 틀 228
〈표 Ⅴ-1-3〉 수업 관찰 후 면담을 위한 틀 229
〈표 Ⅴ-2-1〉 국어 A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31
〈표 Ⅴ-2-2〉 국어 B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37
〈표 Ⅴ-2-3〉 국어 C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43
〈표 Ⅴ-2-4〉 국어 D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51
〈표 Ⅴ-2-5〉 국어 E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57
〈표 Ⅴ-2-6〉 사회 A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63
〈표 Ⅴ-2-7〉 사회 B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수ㆍ학습 활동 268
〈표 Ⅴ-2-8〉 사회 B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69
〈표 Ⅴ-2-9〉 사회 C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수ㆍ학습 활동 274
〈표 Ⅴ-2-10〉 사회 C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75
〈표 Ⅴ-2-11〉 사회 D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수ㆍ학습 활동 280
〈표 Ⅴ-2-12〉 사회 D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81
〈표 Ⅴ-2-13〉 과학 A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87
〈표 Ⅴ-2-14〉 과학 A 교사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학습 내용 289
〈표 Ⅴ-2-15〉 과학 B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294
〈표 Ⅴ-2-16〉 과학 B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302
〈표 Ⅴ-2-17〉 가정 A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308
〈표 Ⅴ-2-18〉 가정 B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313
〈표 Ⅴ-2-19〉 가정 B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 차시별 활동 314
〈표 Ⅴ-2-20〉 가정 C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318
〈표 Ⅴ-2-21〉 미술 A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324
〈표 Ⅴ-2-22〉 미술 B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332
〈표 Ⅴ-2-23〉 미술 C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개요 339
〈표 Ⅴ-2-24〉 미술 C 교사의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 차시별 학습 내용 341
〈표 Ⅵ-2-1〉 지역사회 교육 자원의 유형(델파이 조사 결과) 355
〈표 Ⅵ-2-2〉 지역사회 교육 자원과 교과 수업의 연계의 의미(델파이 조사 결과) 356
〈표 Ⅵ-2-3〉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를 명시화한 국어과 성취기준 및 학습 내용의 예 360
〈표 Ⅵ-2-4〉 국어과 성취기준을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관점에서 구체화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62
〈표 Ⅵ-2-5〉 국어과 영역 내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65
〈표 Ⅵ-2-6〉 국어과 영역 간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66
〈표 Ⅵ-2-7〉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를 명시화한 사회과 성취기준 및 학습 내용의 예 367
〈표 Ⅵ-2-8〉 사회과 성취기준을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관점에서 구체화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70
〈표 Ⅵ-2-9〉 역사과 성취기준을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관점에서 구체화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72
〈표 Ⅵ-2-10〉 사회과 지리 영역 내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74
〈표 Ⅵ-2-11〉 일반사회 영역 내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75
〈표 Ⅵ-2-12〉 사회과 영역 간(지리 영역, 일반사회 영역)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76
〈표 Ⅵ-2-13〉 역사과 영역 내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77
〈표 Ⅵ-2-14〉 사회 과목 영역(지리 영역)과 역사 과목의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77
〈표 Ⅵ-2-15〉 사회 과목 영역(일반사회)과 역사 과목의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78
〈표 Ⅵ-2-16〉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를 명시화한 과학과 성취기준 및 학습 내용의 예 379
〈표 Ⅵ-2-17〉 과학과 성취기준을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관점에서 구체화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81
〈표 Ⅵ-2-18〉 과학과 영역 내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83
〈표 Ⅵ-2-19〉 과학과 영역 간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84
〈표 Ⅵ-2-20〉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를 명시화한 기술ㆍ가정과 성취기준 및 학습 내용의 예 386
〈표 Ⅵ-2-21〉 기술ㆍ가정과 영역 내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87
〈표 Ⅵ-2-22〉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부문별로 제시된 '지역사회' 관련 내용 391
〈표 Ⅵ-2-23〉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를 명시화한 미술과 성취기준 및 학습 내용의 예 392
〈표 Ⅵ-2-24〉 미술과 성취기준을 지역사회 교육 자원 관점에서 구체화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93
〈표 Ⅵ-2-25〉 미술과 영역 내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95
〈표 Ⅵ-2-26〉 미술과 영역 간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도출한 학습 내용의 예 396
〈표 Ⅵ-2-27〉 교과 통합(국어, 사회, 미술) 학습 내용 구성 사례 401
〈표 Ⅵ-2-28〉 국어과 성취기준과 자유학기 주제 선택 활동 연계 교육과정 계획 수립 예시 409
〈표 Ⅵ-2-29〉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 주제 선택 활동, 독서 활동, 교과 수업 연계 시 학급별 시간표 예시 411
〈표 Ⅵ-2-30〉 국어 교과 성취기준과 학교 자체 개발한 자율과정 성취기준 연계 예시 413
〈표 Ⅵ-2-31〉 국어 교과 성취기준과 학년별 자율과정 주제 연계 교육과정 계획 수립 예시 414
〈표 Ⅵ-2-32〉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 학년별 자율과정 주제와 교과 수업 연계 시 학급별 시간표 예시 416
〈표 Ⅵ-2-33〉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 연강 운영을 위한 교사별 시간 변경 예시 417
〈표 Ⅵ-2-34〉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 외부 체험 활동 시 학급별 시간표 예시 418
〈표 Ⅵ-2-35〉 교과 성취기준과 마을 관련 융합 주제 연계 교육과정 계획 수립 420
〈표 Ⅵ-2-36〉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 마을 관련 주제 활동과 역사, 사회 교과 수업 연계 시 학급별 시간표 예시(2개 차시 연강 수업) 421
〈표 Ⅵ-2-37〉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 역사, 사회 수업 연계 시 학급별 시간표 예시 422
〈표 Ⅵ-2-38〉 지역사회 물적 자원의 사례 431
〈표 Ⅵ-2-39〉 시도교육청에서 안내하는 안전 확보를 위한 점검 목록(예시) 432
〈표 Ⅵ-2-40〉 지역사회 인적 자원의 사례 436
〈표 Ⅵ-2-41〉 지역사회 인적 자원과의 협의 사항 438
〈표 Ⅵ-2-42〉 지역사회 문화적 자원의 사례 440
〈표 Ⅵ-2-43〉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에서 실행 원칙별 수업 전략 450
〈표 Ⅵ-2-44〉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의 차시별 교수학습 활동 454
〈표 Ⅵ-2-45〉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한 교과 통합 수업 운영안 개요 460
〈표 Ⅶ-2-1〉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을 위한 중학교 교사 연수 프로그램: 전문 과정(예시) 491
〈표 Ⅶ-2-2〉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수업을 위한 중학교 교사 연수 프로그램: 입문 과정(예시) 492
〈표 Ⅶ-2-3〉 지역사회 교육 자원 연계 교과 수업 지원을 위한 학교장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항목과 방법 494
[그림 Ⅳ-2-4] 미술 수업 결과물 도서관 전시 장면(2022. 6. 23. 면담자 C 제공) 186
[그림 Ⅳ-2-5] 도서관 홍보 영상 미술 수업 결과물(2022. 6. 23. 면담자 C 제공) 186
[그림 Ⅳ-2-6] 국립현대미술관 연구 교사 활동 결과물(2022. 7. 12. 면담자 D 제공)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