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부 서론 15
제1장 KSP 지역연구 16
제1절 추진 배경 및 목적 16
제2절 연구의 구성 및 범위 17
제2부 인도 20
제1장 정치ㆍ제도적 여건 분석 21
제1절 정치ㆍ경제구조와 특징 21
제2절 개발계획 및 개발협력 거버넌스 38
제3절 KSP 사업에의 시사점 41
제2장 경제 여건 및 대외협력 현황 분석 43
제1절 경제성장의 구조적 요인 분석 43
제2절 경제 기초여건 49
제3절 대외협력 현황 분석 63
제4절 요약 79
제3장 KSP 추진방안 및 사업제안 81
제1절 스마트시티 KSP 사업 추진 방안 82
제2절 혁신 스타트업을 위한 창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91
제3절 디지털인디아 이행 지원: 전자정부를 중심으로 104
참고문헌 113
[부록 1] 인도 재부무 경제국 2015년 개정 ODA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 116
제3부 태국 120
제1장 정치ㆍ제도적 여건 분석 121
제1절 역사적 배경 121
제2절 정치제도와 의사결정구조 122
제3절 경제사회발전 정책 140
제2장 경제 여건 및 대외협력 현황 분석 147
제1절 경제성장의 구조적 요인 분석 147
제2절 경제 기초여건 151
제3절 대외협력 현황 분석 164
제4절 요약 170
제3장 KSP 추진방안 및 사업제안 172
제1절 직업교육훈련 173
제2절 혁신 중소기업 육성 186
참고문헌 202
[부록] 204
제4부 케냐 207
제1장 정치ㆍ제도적 여건 분석 208
제1절 정치제도 및 정책결정 구조 208
제2절 국내 경제ㆍ사회 주요 발전 정책 216
제3절 개발협력 및 경제협력 관련 거버넌스 구조 222
제4절 소결 및 KSP 사업에의 시사점(정치ㆍ제도적 관점) 226
제2장 경제여건 및 대외협력 현황 분석 227
제1절 경제성장의 구조적 요인 분석 227
제2절 경제 기초여건 및 산업구조 분석 231
제3절 대외협력 현황 분석 247
제4절 요약 259
제3장 KSP 추진방안 및 사업제안 261
제1절 스마트농업 사업 추진 방안 262
제2절 콘자 스마트시티 건설 추진 방안 272
제3절 콘자 스마트시티 교통인프라 분야 추진 방안 278
제4절 케냐 이러닝(e-Learning) 확대를 위한 인프라 개선 및 디지털 교육 운영 방안 285
제5절 케냐 물류 마스터플랜 수립 298
참고문헌 319
[부록] 325
[그림 2.1.1] 인도 모디 정부의 국정운영 철학과 모디노믹스의 목표 30
[그림 2.1.2] 모디노믹스의 선순환 고성장 기제와 정책과제 31
[그림 2.1.3] 모디노믹스의 핵심과제와 핵심정책 32
[그림 2.1.4] 아드하르 기반 모디노믹스의 핵심과제와 핵심정책 36
[그림 2.1.5] 인도 재무부 직제와 개발협력 소관 부서 40
[그림 2.2.1] 인도의 실질 GDP 43
[그림 2.2.2] 산업별ㆍ수요 측면 GDP 성장 기여도 44
[그림 2.2.3] 인도 GDP 및 빈곤율 주요국 비교(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45
[그림 2.2.4]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 48
[그림 2.2.5] 교육기관 등록률, 경제활동 참가율 50
[그림 2.2.6] 도시화율 변화 및 전망(인도, 중국, 세계) 51
[그림 2.2.7] 산업별 GDP 성장 기여도 및 고용인구 비중 55
[그림 2.2.8] 산업 내 노동생산성 변화 기여도 및 산업 간 구조변화 기여도(2011년~2018년) 56
[그림 2.2.9] 무역 통상 및 ODA 수치 57
[그림 2.2.10] 재정수지, 정부부채 및 GDP 대비 세수 추이 60
[그림 2.2.11] 실질실효환율 및 소비자 물가지수 60
[그림 2.2.12] 미국의 對인도 ODA 지원분야(2017~2019년 평균) 64
[그림 2.2.13] 일본의 對인도 ODA 지원분야(2017~2019년 평균) 67
[그림 2.2.14] EU Institutions의 對인도 ODA 지원분야(2017~2019년 평균) 68
[그림 2.2.15] 한국의 對인도 수출입 추이 74
[그림 2.2.16] 한국의 對인도 OFDI 규모(2011-2020년) 76
[그림 2.2.17] 한국의 對인도 ODA 추이 77
[그림 2.3.1] 인도 스마트시티(100개)의 솔루션 영역별 투자규모 88
[그림 2.3.2] 창업 생태계 구성 요소 92
[그림 3.1.1] 태국 공공프로젝트(계획) 의사결정 과정 136
[그림 3.2.1] 경제규모 및 경제성장률 147
[그림 3.2.2] 일인당 GDP 비교: 중고소득국가 및 아세안 일부 국가 148
[그림 3.2.3] 기간별 성장회계 149
[그림 3.2.4] 국가경쟁력 지수 150
[그림 3.2.5] 영유아 사망률 151
[그림 3.2.6] 일반교육 현황 152
[그림 3.2.7] 경제활동참가 및 고령화 153
[그림 3.2.8] 전력 접근성 154
[그림 3.2.9] 유선전화 및 이동전화 보급 154
[그림 3.2.10] 인터넷 이용자 수 및 보안서버 사용자 155
[그림 3.2.11] 산업별 부가가치 및 노동 156
[그림 3.2.12] 교역량과 순수출 159
[그림 3.2.13] GDP 대비 외국인 직접투자 순유입 160
[그림 3.2.14] 재정수지 161
[그림 3.2.15] GDP 대비 조세수입 비중 162
[그림 3.2.16] GDP 대비 정부부채 162
[그림 3.2.17] 경상수지 163
[그림 3.2.18] 한-태국 교역량 167
[그림 3.2.19] 한-태국 OFDI 168
[그림 3.2.20] 한-태국 ODA 168
[그림 3.3.1] 태국 학력별 일자리 및 구직자 현황(2018년) 181
[그림 3.3.2] 세계 자동차 생산국별 순위 현황 187
[그림 3.3.3] 세계 자동차 생산국별 순위 현황 189
[그림 3.3.4] 태국의 국가 유사도 지수 196
[그림 3.3.5]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198
[그림 3.3.6] 스마트 팩토리 보급사업 중소기업 사례 199
[그림 4.1.1] 케냐의 47개 주 214
[그림 4.2.1] 케냐의 1인당 GDP와 GDP 성장률 추이 227
[그림 4.2.2] 케나의 1인당 GDP 비교(국제달러, Current) 228
[그림 4.2.3] 케냐 기간별 생산성 분석 229
[그림 4.2.4] 케냐 경제성장률 전망 230
[그림 4.2.5] 케냐의 절대빈곤율 231
[그림 4.2.6] 케냐 초, 중, 고등학교 진학률 234
[그림 4.2.7] 케냐 소득5분위별 고등학교 진학률 234
[그림 4.2.8] 케냐 실업률 추이 235
[그림 4.2.9] 청년(15~24세) 노동시장참가율 비교 235
[그림 4.2.9] 청년(15~24세) 노동시장참가율 비교 235
[그림 4.2.10] 케냐와 비교군의 도시화율 추이 및 전망 236
[그림 4.2.11] 케냐와 주변국의 전력보급률 237
[그림 4.2.12] 케냐와 주변국의 송배전 손실률 237
[그림 4.2.13] 이동전화 사용 비중 238
[그림 4.2.14] 인터넷 사용 비율 238
[그림 4.2.15] 케냐 산업별 부가가치 분석 239
[그림 4.2.16] 케냐 산업별 고용비중 분석 239
[그림 4.2.17]/[그림 4.2.18] 케냐의 총저축 변동 추이 244
[그림 4.2.18]/[그림 4.2.19] 케냐의 외국인 직접투자 추이 244
[그림 4.2.19]/[그림 4.2.20] 케냐의 소비자 물가지수 추이 244
[그림 4.2.20]/[그림 4.2.21] 대외 부채 추이 245
[그림 4.2.21]/[그림 4.2.22] 對중국 부채 추이(2001-2017)률 245
[그림 4.2.22]/[그림 4.2.23] 한국의 對케냐 수출입 추이 255
[그림 4.2.23]/[그림 4.2.24] 한국의 對케냐 OFDI 추이(2011~2020) 256
[그림 4.2.24]/[그림 4.2.25] 한국의 對케냐 ODA 지원 추이(2010~2019) 256
[그림 4.3.1] 대륙별 GVC 및 RVC 참여율 264
[그림 4.3.2] 케냐의 수출 작물(커피, 차, 화훼류) 수출 규모 추이 265
[그림 4.3.3] 우리나라의 노지스마트농업 데이터 플랫폼 구상도 266
[그림 4.3.4] 케냐 농축수산협동조합부 구조 269
[그림 4.3.5] 케냐 콘자 스마트시티 기본 구상(안) 276
[그림 4.3.6] 스마트시티 5단계 맞춤형 설계 흐름도 277
[그림 4.3.7]/[그림 4.3.8] 최근 콘자 테크노폴리스 공사 현장 278
[그림 4.3.8]/[그림 4.3.9] 케냐의 교통물류 측면에서의 지정학적 여건 280
[그림 4.3.9]/[그림 4.3.10] 현재까지 추진된 1단계 사업지 도로사업 현황 284
[그림 4.3.10]/[그림 4.3.11] 몸바사 나이로비 간 도로 현황 (왕복 2차선) 285
[그림 4.3.11]/[그림 4.3.12] 아프리카 42개국 인구 100명당 모바일 광대역 가입자 수(2019) 289
[그림 4.3.12]/[그림 4.3.13] 동아프리카 북부지역 물류유통망(Northern Corridor) 299
[그림 4.3.13]/[그림 4.3.14] 몸바사-나이로비-캄팔라 물류비용 및 소요 시간 비교 300
[그림 4.3.14]/[그림 4.3.15] 동아프리카 북부지역 물류유통망(Northern Corridor)상의 문제점 300
[그림 4.3.15]/[그림 4.3.16] 케냐의 교통물류인프라 현황 304
[그림 4.3.16]/[그림 4.3.17] 몸바사항을 중심으로 한 물류유통 흐름 306
[그림 4.3.17]/[그림 4.3.18] 라무항 종합개발사업 계획 307
[그림 4.3.18]/[그림 4.3.19] 케냐의 교통물류 관련 정부조직 체계 309
[그림 4.3.19]/[그림 4.3.20] 케냐 물류 전문인력의 급여 수준 313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