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6
1. 연구 배경 및 목적 17
2. 연구 범위와 구성 21
제2장 공급망 재편 23
1. 아세안의 공급망 재편 전망 25
가. 아세안과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지역 RVC 확대 25
나. 미국의 GSC 재편 전략에 따른 아세안 공급망 변화 28
다. 중국기업과 탈중국 다국적 기업 중심의 아세안 투자 확대 31
라. 통관절차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교역 활성화 35
마. 핵심 산업 중심의 공급망 변화 가속 36
2. 아세안과 주요국의 대응 전략 38
가. 아세안 공동체와 주요 회원국 38
나. 주요 경쟁국과 한국의 대응 전략 50
3. 한국의 대응 방향 61
제3장 디지털 무역 65
1. 아세안의 디지털 무역 및 디지털 전환 현황과 평가 66
가. 전자상거래 중심의 디지털 무역 확대 66
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경쟁력 평가: 회원국간 상당한 격차 존재 70
다. 높은 디지털 무역장벽 78
2. 아세안의 디지털 전환 및 디지털 무역정책 분석 81
가.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및 디지털 무역 촉진 81
나. FTA를 통한 활발한 디지털 통상규범 논의 전개 89
3. 한국의 대아세안 디지털 전환 협력 방향 95
제4장 기후변화 대응 99
1. 아세안의 탄소배출 현황과 국제사회의 저탄소 전환(탄소중립) 논의 100
가. 아세안의 탄소배출 현황 100
나.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논의 동향 105
2. 아세안 주요국의 기후변화 대응 및 국제협력 동향 분석 108
가. 아세안의 기후변화 대응정책 108
나. 아세안 주요국의 기후변화 대외협력 현황 분석 115
3. 한국의 아세안 주요국별 기후변화 협력 방향 123
가. 한국의 대아세안 기후변화 협력 현황 123
나. 아세안 주요국별 협력 수요 분석 132
다. 한국의 대아세안 기후변화 대응 협력 방향 133
제5장 보건 및 개발협력 136
1. 주요 공여국과 아세안의 보건 및 개발협력 현황과 분석 138
가. 주요국의 대아세안 개발협력 현황 138
나. 아세안 주요 공여국의 분야별 개발협력 현황 146
2. 한국과 아세안의 보건 및 개발협력 현황과 분석 156
가. 한국의 대아세안 개발협력 현황 분석 156
나. 한국의 분야별 대아세안 개발협력 158
3. 한국의 대아세안 보건 및 개발협력 방향 163
가. 주요 공여국과 한국의 보건 및 개발협력 비교 163
나. 협력 방향 166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69
1. 연구 결과 요약 170
2. 한-아세안 협력 방향과 시사점 173
가. 한-아세안 협력 방향 173
나. 한-아세안 협력 방안과 시사점 179
참고문헌 187
[부록] 207
Executive Summary 209
판권기 3
그림 2-1. 세계의 GVC 참여율과 글로벌 공급망 압력지수(GSCPI) 추이 24
그림 2-2. 세계 주요 지역의 역내무역 비율 26
그림 2-3. 미국, 중국과의 동아시아 지역간 교역 비중 추이 28
그림 2-4. 아세안과 중국에 대한 FDI 추이(2000~21년) 32
그림 2-5. 4차 산업혁명에 의한 공급망의 디지털화 개요 36
그림 2-6. 아세안의 무역 원활화 추진 현황(2019년과 2021년) 40
그림 2-7. 인도네시아 이슬람 경제 마스터플랜 2019~2024의 주요 내용 45
그림 2-8. 중국의 쌍순환(双循环) 전략 개념도 51
그림 3-1. 아세안 분야별 디지털 매출 추이(GMV) 69
그림 3-2. 아세안 주요국별 디지털 매출 추이(GMV) 69
그림 3-3. 아세안 국별 디지털 전환 여건 비교 71
그림 3-4. 아세안 주요국의 디지털 경쟁력 순위 73
그림 3-5. 아세안과 한국의 부문별 전자정부지수(2022년) 75
그림 3-6. 아세안 주요국과 한국의 8대 축별 GIDES 비교 78
그림 3-7. 국별 디지털무역제한지수 비교(0~1점) 79
그림 3-8. 기존 자유무역협정과 디지털 통상협정 비교 90
그림 4-1. 아세안 국가들의 LULUCF 및 에너지 연소 탄소배출 현황 102
그림 4-2. 아세안 국가들의 LULUCF 부문 탄소배출 상세 구성 비율 103
그림 4-3. 아세안의 에너지 연소 부문 탄소배출 추이 104
그림 4-4. 아세안 국별 에너지 연소 분야별 탄소배출 구성비 105
그림 4-5. 아세안 국가들의 적응ㆍ감축 대외 펀드 수원 비중 110
그림 4-6. 아세안의 기후변화 관련 ODA 수원 추이(2002~20년) 117
그림 4-7. 아세안 5개국에 대한 기후변화 관련 ODA 지원 추이(2002~20년) 118
그림 4-8. 인도네시아의 기후변화 관련 ODA 수원 내역 119
그림 4-9. 말레이시아의 기후변화 관련 ODA 수원 내역 120
그림 4-10. 필리핀의 기후변화 관련 ODA 수원 내역 121
그림 4-11. 태국의 기후변화 관련 ODA 수원 내역 122
그림 4-12. 베트남의 기후변화 관련 ODA 수원 내역 123
그림 4-13. 한국의 대아세안 5개국 기후변화 ODA 지원 내역(2006~20년) 125
그림 4-14.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기후변화 ODA 지원 추이(2006~20년) 126
그림 4-15. 한국의 대말레이시아 기후변화 ODA 지원 추이(2006~20년) 128
그림 4-16. 한국의 대필리핀 기후변화 ODA 지원 추이(2006~20년) 129
그림 4-17. 한국의 대태국 기후변화 ODA 지원 추이(2006~20년) 130
그림 4-18. 한국의 대베트남 기후변화 ODA 지원 추이(2006~20년) 131
그림 5-1. 전 세계 대아세안 총 ODA 지출액 추이(2011~20년) 138
그림 5-2. 중국의 대아세안 주요국별 대외원조 지원 추이(2000~14년) 144
그림 6-1. 한국-아세안 연대 구상 174
그림 6-2. 한국과 아세안 간 부문별 협력 방향 17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