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농정사 에세이 9
1.1. 조선시대 중농사상의 양면성 9
1.2. 세종시대 지리지(地理志)의 농지 등급 14
1.3. 세종시대의 토지 및 과세제도 합리적이었나? 20
1.4. 경국대전의 농지세 과세 27
1.5. 삼정(三政)의 문란과 철종말년의 민란 32
1.6. 조선시대의 호적제도 39
1.7. 대한제국의 재정ㆍ인사ㆍ외교와 기강 43
제2장 농학과 농업기술 50
2.1. 조선조 농학의 형성과 원(元)의 농상집요 50
2.2. 15세기초 농작물재배의 지리적 분포 56
2.3. 농작물의 병해(病害)와 국가의 흥망 63
2.4. 정치와 당쟁이 농서편찬에 미친 부정적 영향 69
2.5. 시대에 따른 조선시대 벼농사 기술의 발전 76
2.6. 작물의 감성과 사시찬요초(四時纂要抄) 82
2.7. 화학과 한말 농학의 개화사(開化史) 88
2.8. 개화기에 우리 농업을 도와준 외국인들 94
2.9. 개화기 농학에 기여한 김가진(金嘉鎭)과 장지연(張志淵) 101
2.10. 전환기 농업의 고랭지채소와 직거래장터 106
제3장 축잠고금 114
3.1. 조선초기 마소의 대명(對明)교역 114
3.2. 조선시대의 우역사(牛疫史) 121
3.3. 원(元)나라의 제주목장 100년 128
3.4. 비싼 수업료 치른 대단위 한우목장 135
3.5. '70년대 양돈파동에서 얻은 것 139
3.6. 경제개발초기, 일거양득이었던 잠사업 144
제4장 조선시대의 농촌사회 150
4.1. 조선말기 농촌의 사회계급 150
4.2. 조선시대 농촌사회와 향약(鄕約) 156
4.3. 동국세시기의 풍년 기원 163
4.4. 조선시대의 농부가(歌), 왜 긴 한숨의 넋두리인가? 168
4.5. 17세기초 허균(許筠)의 팔도명산식품 174
4.6. 사라져버린 권농일, 아쉬운 농촌의 우리 민속 180
제5장 시사를 통해 본 고사 187
5.1. 승정원과 대통령비서실 187
5.2. 목양장(牧羊場)이었던 경무대(청와대) 193
5.3. 이런 경제수석도 있었다 199
5.4. 대선공약과 국가의 장래 206
5.5. 망백(望百)의 비망록 213
5.6. 농업사 연재를 마치며 220
판권기 22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