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장마의 현상 9

1.1. 장마란 무엇인가? 10

1.2. 몬순의 정의와 특징 20

1.3. 몬순의 근원적 발생원인 27

1.4. 아시아 몬순의 특징 33

제2장 장마의 기후학적 특성 41

2.1. 우리나라 연강수량의 계절 집중도 42

2.2. 장마 기간 강수 유형 47

2.3. 장마 시종 및 기간 50

제3장 장마 기간 집중호우 특성 67

3.1. 집중호우 통계 68

3.2. 중규모 호우계의 구조 85

3.3. 장마 전선대 강수계의 다중규모 구조 96

제4장 장마의 변동성 101

4.1. 장마 변동 특성 102

4.2. 계절내 변동 및 연주기 104

4.3. 경년 변동성 107

4.4. 장주기 변동 128

제5장 장마와 재해 137

5.1. 우심피해와 관련된 재해 138

5.2. 우리나라의 이상기후 145

5.3. 최근 10년간 년도별 장마 특성 153

제6장 장마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183

6.1. 장마의 이점 184

6.2. 장마철 첫 강수의 경제적 가치 192

6.3. 미디어 속의 장마 198

[부록 1] 사용한 기상ㆍ기후 자료 및 분석 기간 218

[부록 2]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본 장마의 미래변화 220

[부록 3] 연도별 장마 238

참고문헌 386

판권기 395

표목차

[표 1-1] 우리나라 장마 기간에 영향을 주는 기단 및 그 특징 13

[표 1-2] 기후평균(1991~2020년) 장마 시작, 종료, 지속기간 및 강수량 15

[표 2-1] 주요 도시의 장마 기간 동안 강수량. 1991~2020 기후평균 45

[표 2-2] 주요 도시의 여름 강수량. 1991~2020 기후평균 46

[표 2-3] 현재 기상청 현업에서 이용되는 장마 시작의 결정 요소 55

[표 2-4] 기후학적 장마 시종 정의 방법 61

[표 3-1] 최근 30년(1991~2020)간 중부와 남부지방의 각 관측소에서 기록된 일강수량 기준 총 호우 건수의 월별 평균(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0.1 미만의 값은... 73

[표 3-2] 최근 30년(1991~2020)간 중부와 남부지방의 각 관측소에서 발생한 총 집중호우 건수의 월별 평균(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0.1 미만의 값은 소수 셋째 자리에서... 75

[표 5-1] 최근 10년(2011년~2020년)간 호우에 의한 인명피해 현황 139

[표 5-2] 2011년~2020년 재해 종류별 연간 우심피해 발생률 140

[표 5-3] 최근 10년(2011년~2020년)간 태풍에 의한 인명피해 현황 142

[표 5-4] 장마철 내습한 태풍(1981년~2020년) 144

[표 5-5] 2011년과 평년의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153

[표 5-6] 2011년과 평년의 장마철 총 강수량, 평년차, 평년비 154

[표 5-7] 2012년과 평년(1981~2010년)의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158

[표 5-8] 2012년과 평년(1981~2010년)의 장마철 강수일수 및 평균강수량 158

[표 5-9]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160

[표 5-10] 장마기간 강수일수 및 평균강수량 161

[표 5-11]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162

[표 5-12] 장마기간 강수일수 및 평균강수량 163

[표 5-13] 역대 장마기간 강수량 최저 순위(1973년 이후) 163

[표 5-14]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165

[표 5-15] 장마기간 강수일수 및 강수량 166

[표 5-16] 2016년과 평년(1981~2010년)의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168

[표 5-17] 2016년과 평년(1981~2010년)의 장마기간 강수일수 및 평균강수량 169

[표 5-18] 2017년과 평년(1981~2010년)의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172

[표 5-19] 2017년과 평년(1981~2010년)의 장마기간 강수일수 및 평균강수량 172

[표 5-20] 2018년과 평년(1981~2010년)의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174

[표 5-21] 2018년과 평년(1981~2010년)의 장마기간 강수일수 및 평균강수량 175

[표 5-22] 중부/남부/제주 장마철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기간별 순위 181

[표 5-23] 2020년과 평년(1981~2010년)의 장마기간 강수일수 및 평균 강수량 181

[표 6-1] 해당 연도의 지역별 장마기간 및 장마철 첫 강수 선택기간 193

[표 6-2] 수자원 확보 산출식(기상청 2015) 및 해당 연도의 전국 평균 강수량, 전 국토면적, 유출율, 원수판매율, m³당 용수가격 및 경제적 가치 환산 가격 194

[표 6-3] 대기질 개선 산출식(기상청 2015) 및 해당 연도의 강수 전ㆍ후 대기오염물질 농도(차) 및 경제적 가치 환산 가격 195

[표 6-4] 산불 예방 효과 산출식(기상청 2015) 및 해당 연도의 강수이전 20일간 산불피해면적, 산림피해 복구비용 및 경제적 가치 환산 가격 196

[표 6-5] 가뭄 경감 효과 산출식(기상청 2015) 및 해당 연도의 강수이전 가뭄 해당 지역 전체 가구수, 가구당 가뭄고통 비용 및 경제적 가치 환산 가격 196

[표 6-6] 해당 연도의 전국 평균 강수량 및 각 항목별 경제적 가치 197

그림목차

[그림 1-1] 장마 기간에 볼 수 있는 구름띠(천리안 위성 2호), 정체전선, 북태평양 고기압, 하층 수증기 유입 및 상층 제트 분포 11

[그림 1-2] 장마 기간 동안(6월 하순~7월 중순) 850-hPa 고도의 상당온위(색, K) 및 상당온위 남북경도(점선, 10-5 K m-¹), 그리고 500-hPa 고도의 5880과 5820gpm 선(굵은 실선) 12

[그림 1-3] 장마 시기 기단의 배치(서경환 등 2011) 13

[그림 1-4] 장마 기간(6월 19일~7월 26일) 동안 강수량(색), 하층 바람장(벡터, 850hPa), 그리고 상층 제트 기류(빨강 실선, 200hPa, 3m s-¹ 간격) 14

[그림 1-5] 기후평균(1991~2020) 5일 이동 평균 한반도 강수량(전국 56개 대표지점 평균). 연속적으로 7mm 이상인 시기를 빨간색으로 표현하였음 16

[그림 1-6] 1991~2020년 기간 동안의 연주기와 계절내 변동 성분의 합으로 표현한 강수량의 연내 사이클(전국 56개 대표지점 사용함). 장마철과 2차 우기 기간이 보임.... 18

[그림 1-7] 기후평균(1991~2020) 5일 이동 평균 한반도 강수량(전국 56개 대표지점 평균). (파란색 선; [그림 1-5]와 같음)과 전국 0.1mm 이상 강수일수(주황색 선).... 19

[그림 1-8] 인도 몬순으로 홍수가 된 뭄바이의 도로 20

[그림 1-9] 핼리의 연구를 통해 재구성한 몬순의 모식도 21

[그림 1-10] Ramage(1971)에서 인용한 전통적인 몬순 지역(검정선 안에 표시된 영역) 22

[그림 1-11] 강수량의 변화를 사용한 전 지구 9개의 몬순 지역 24

[그림 1-12] (a) 열대 몬순 지역(적색 영역), 아열대 몬순 지역(녹색 영역), 한대 몬순 지역(청색 영역). 여름철과 겨울철 열대 수렴대의 위치도 함께 표시됨. 적색선은 북반구... 25

[그림 1-13] 연 강수량 분포 26

[그림 1-14]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변화 27

[그림 1-15] 대륙과 해양의 부등 가열에 의한 대기 순환 모식도 28

[그림 1-16] 6월에서 9월까지 연직 적분된 수분 수송(Webster and Fasullo 2003) 28

[그림 1-17] 지구의 자전 효과가 (i) 없을 때와 (ii) 있을 때 대류권 하층의 바람의 변화. PG는 기압 경도력, C는 전향력, F는 마찰력, Low Pressure는 저기압, High Pressure는... 29

[그림 1-18] 전 지구 해륙 및 산맥의 분포. 해양의 깊이와 산의 높이가 제시되어 있음 31

[그림 1-19] 아시아 몬순 시스템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해륙 및 산맥의 분포 31

[그림 1-20] 기후학적 여름 평균 강수량(색), 850-hPa 바람장(벡터) 및 아시아 몬순 영역(적색선). 노란색 선은 티베트 고원 위치를 나타냄. ASM, SAM, EAM, WNPM은... 33

[그림 1-21] 1979년에서 2014년까지 평균한 5일 평균 강수량의 연 변화. 인도 몬순(ISM, 적색), 동아시아 몬순(EASM, 청색), 북서태평양 몬순(WNPSM, 녹색)... 34

[그림 1-22] 아시아 몬순 각 지역별 몬순 시작 시기. 검정색 숫자는 1년을 73으로 나누어 나타낸 시기이며, 30이 대략적으로 6월 1일이 됨. 청색 화살표는 몬순 강수대의 전파 경로를... 35

[그림 1-23] 인도 몬순의 여름철 및 겨울철을 나타내는 대표적 개념도 36

[그림 1-24] 규준 실험의 배경 경계조건과 모의된 강수 36

[그림 1-25] 동아시아 몬순 형성 요인들(Seo et al. 2022) 38

[그림 1-26] 실험을 통해 산출된 동아시아 지역 강수량의 요인별 차지하는 기여도(Seo et al. 2022) 39

[그림 2-1] 30년 기후평균(1991~2020) (a) 연강수량 분포와 (b) 6월~8월 총강수량 분포. GPCP 자료로부터 산출 43

[그림 2-2] 우리나라 기후평균(1991~2020) 연강수량 분포 44

[그림 2-3] 기후평균(1991~2020) (a) 장마철 강수량 분포, (b) 연총강수량에 대한 장마철 강수량의 비 45

[그림 2-4] 기후평균(1991~2020) (a) 여름철(6~8월) 강수량 분포, (b) 연총강수량에 대한 여름철 강수량의 비 46

[그림 2-5] 1991~2020년 장마철에 발생한 우리나라 강수의 종관 패턴 유형. 각각 전체의 30~35%, 20~25%, 15~20%, 20~25%를 차지함(Seo and Yoon 2023) 48

[그림 2-6] [그림 2-5]에 해당하는 3시간 누적 강수량의 분포(Seo and Yoon 2023). 2000~2020년 기간 동안의 미국 NASA IMERG 자료를 사용함 49

[그림 2-7] 6월부터 7월까지 10일 간격 강수량(색, mm day-¹ ), 850-hPa 상당온위 남북경도(파란색 점선, 단위 10-⁴K m-¹), 5820gpm과 5880gpm(적색 굵은 실선).... 52

[그림 2-8] 8월부터 9월까지 10일 간격 그림. 자세한 사항은 [그림 2-7]과 같음 53

[그림 2-9] 120°~140°E 지역 평균한 상당온위(색) 및 정체전선(화살표)의 이동과 그에 따른 장마의 시종, 점선은 전선이 약화되는 시기를 의미. 두 수평선은 우리나라의... 54

[그림 2-10] 여름철(6~8월) 이동성 저기압의 분포. (a) 사이클론발생(사이클로제네시스, 850hPa의 상대와도가 큰 지역), (b) 빈도, (C) 강도. 겨울철뿐만 아니라 여름철의... 56

[그림 2-11] 2011년 중부, 남부, 제주지방 일평균 강수량 시계열과 기상청이 결정한 각 지역의 장마 시작 및 종료 시점(빨간선). 부록3 참조 57

[그림 2-12] 2018년 중부, 남부, 제주지방 일평균 강수량 시계열과 기상청이 결정한 각 지역의 장마 시작 및 종료 시점(빨간선). 부록3 참조 58

[그림 2-13] 중부, 남부, 제주지방 (a) 장마 시작, (b) 장마 종료 날짜, 위 그림과 아래 그림에서 Y축의 시간 간격은 2일임. 제주지방은 파랑, 남부지방은 빨강, 중부지방은... 60

[그림 2-14] 장마의 시종 정의를 위해 사용하는 변수와 그에 해당하는 영역 61

[그림 2-15] 본 장마백서에서 제시한 방법을 사용한 장마 시작과 종료 지수(빨간 선) 및 기상청 공식 시작과 종료 시계열(파란 선), 검은 선은 1979~2020년의 기상청... 62

[그림 2-16] 장마의 시작일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 (a) Z500, (b) EPT, (c) EPT의 남북방향 경도가 최소인 위도, (d) v850의 시계열. 파란 선은 장마의 시작일인... 64

[그림 2-17] 장마의 종료일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 (a) Z500, (b) EPT, (c) u200의 최댓값이 존재하는 위도, (d) OLR의 시계열. 파란 선은 장마의 종료일인... 65

[그림 3-1] 1991~2020년의 기간 중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66개 관측소에서 6~9월에 기록된 1년당 평균 강수일수(≥ 1mm/hr, 왼쪽) 및 집중호우 발생일수(≥ 30mm/hr, 오른쪽) 68

[그림 3-2] 1991~2020년의 기간 중 우리나라 여름철에 기록된 월별 강수 발생일수 (6월부터 9월까지 월별로 1mm/hr 이상 강수의 1년당 평균 발생일수) 71

[그림 3-3] 1991~2020년의 기간 중 우리나라 여름철에 기록된 월별 집중호우 발생일수 (6월부터 9월까지 월별로 30mm/hr 이상 강수의 1년당 평균 발생일수) 72

[그림 3-4] 최근 30년(1991~2020) 동안 6~9월에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에서 발생한 총 호우 발생 건수 (각 그림의 가로 실선은 10년 평균값) 76

[그림 3-5] 1991~2020년의 기간 중 6~9월 전국 62개 관측소의 10년 평균 총 호우 발생 건수 77

[그림 3-6] 최근 30년(1991~2020) 동안 6~9월에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에서 발생한 총 집중호우 발생 일수 (각 그림의 가로 실선은 10년 평균값) 78

[그림 3-7] 1991~2020년의 기간 중 우리나라 여름철에 관측된 월별 호우 발생 일수 (6월부터 9월까지 월별로 80mm/day 이상 강수의 1년당 평균 발생일수) 79

[그림 3-8] 1991~2020년의 기간 중 우리나라 여름철에 관측된 강한 호우 발생 일수 (6월부터 9월까지 150mm/day 이상 강수의 1년당 평균 발생일수) 80

[그림 3-9] 전국 56개 관측소에서 1973~2020년, 6~9월에 관측된 시간당 강수량에 대한 연도별 평균 시계열(점을 연결한 실선)과 추세선(얇은 검은 실선)... 82

[그림 3-10] 1973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 56개 관측소에서 6~9월에 기록된 시간당 강수량의 구간별 비율로, 이는 해당 기간에 1mm hr-¹ 이상 관측된 모든 강수에 대한... 83

[그림 3-11] 2004년 6월 27일 17~18 KST 독립 뇌우 그림. (a) 합성장 레이더 영상, (b) 1시간당 강수량, (c) 강조 GMS 영상(Lee and Kim 2007) 86

[그림 3-12] 1998년 8월 5일 강화도 부근의 대류 밴드 레이더 영상(Lee and Kim 2007) 86

[그림 3-13] 2005년 6월 30일 2230 KST~7월 1일 0130 KST 구름 무리의 광덕산 레이더 영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수 에코가 남동쪽으로 이동하였음(Lee and Kim 2007) 87

[그림 3-14] 2005년 7월 1일 구름 무리 그림. (a) 1시간당 강수량, (b) 강조 적외 영상(Lee and Kim 2007) 88

[그림 3-15] 2003년 8월 6일 스콜선 그림. 처음 두 그림은 군산 공군기지 레이더 영상이며 마지막 그림은 12KST의 위성 영상(Lee and Kim 2007) 89

[그림 3-16] 2013년 7월 8일 10:30(KST)을 기준으로 분석한 (a) 레이더영상과 (b) 연직단면도 및 (c) 서울 강수량 분포 (기상청 2013 - 그림 3) 91

[그림 3-17] (a) 한랭형 호우와 (b) 온난형 호우에 해당하는 강수강도에 대한 운정고도의 빈도 분포 (Song et al. 2019 - Figure 4의 관측). 두꺼운 검정실선은... 92

[그림 3-18] 불안정한 대기에서 발생한 호우의 강도를 유지시켜주는 연직 바람시어 모식도(기상청 2013 - 그림 5) 93

[그림 3-19] (a) 운정고도가 높은 한랭형 호우구름과 (b) 운정고도가 낮은 온난형 호우구름의 모식도 (기상청, 2013 - 그림 6) 94

[그림 3-20] 장마의 정체전선에서 발달하는 강수계의 다중규모 구조에 대한 모식도. (a) 정체전선과 연관된 대규모 순환 및 아종관규모(subsynoptic scale)... 97

[그림 3-21] 장마철(6/23~7/26)에 나타나는 연직구조 (a) 연직바람(색, Pa s-¹ × 10²)과 동서바람(등치선, m s-¹), (b) 상당온위(색, K)와 상당온위 남북경도(등치선, K m -¹ × 10 5 ) 98

[그림 3-22] (a) 중규모 호우계의 레이더 반사도 단면도 및 (b) 대류성 구름계과 층운형 구름계의 구분(Houze 2004) 99

[그림 3-23] 최성기에 달한 중규모 호우계의 연직 단면도(Houze et al. 1989; 기상청 2013) 100

[그림 4-1] 한반도 56개 관측소 평균, 5일 평균 강수량. 선은 3mm day-¹ 간격 102

[그림 4-2] 장마를 포함하는 동아시아 몬순 시스템의 고유한 변동 요소 및 다른 기후 시스템과의 상호작용 103

[그림 4-3] 우리나라 56개 관측소 평균 및 기후 평균(1991~2020) (a) 총 성분 및 연주기와 계절내 변동 성분 합산, (b) 연주기 성분, (c) 계절내 변동 성분 105

[그림 4-4] 기후평균(1991~2020) 850hPa 상당온위 남북 경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 과정. (a) 연주기와 계절내 변동의 합산 성분, (b) 계절내 변동 성분 106

[그림 4-5] (a) 우리나라 지역 평균 및 장마 기간 평균 강수량(1973~2020), (b) 장마 강수량의 웨이블렛 파워 스펙트럼 분석 결과 108

[그림 4-6] 장마 기간 총 강수량 시계열(1973~2020) (a) 중부, (b) 남부, (c) 제주지방 평균 109

[그림 4-7] 장마 기간 동안의 우리나라 전국 강수량 강도 지수. 점선은 표준편차를 표현함. 평균은 356.0mm이며 표준편차는 143.8mm 110

[그림 4-8] (a) 강장마 해와 (b) 약장마 해의 강수량 합성 (c) 강장마 해와 약장마 해의 강수량 차이 111

[그림 4-9] (a) 강장마 해와 (b) 약장마 해의 850-hPa 바람장(벡터), 850-hPa 유선 함수(색), (c) 강장마 해와 약장마 해의 차이 112

[그림 4-10] 강한 북서태평양 여름몬순과 약한 북서태평양 여름몬순의 합성도 편차. (a) 500hPa 등고선, (b) 850hPa 바람. 음영된 부분은 95% 신뢰구간(Wang et al. 2001) 114

[그림 4-11] 북서태평양 몬순-동아시아 몬순 원격상관 패턴 모식도 114

[그림 4-12] 200-hPa 지위 고도에서 나타나는 7월달 북반구 중위도 전체 원격 상관 패턴(CGT) (Ding and Wang 2005) 116

[그림 4-13] 여름철 북반구 전체 원격 상관 패턴에 의한 인도 몬순-동아시아 몬순 관련성 116

[그림 4-14] 인도양의 해수면 온도가 따뜻한 경우 캘빈 파동의 유도와 상층 제트 및 기압골의 형성에 의해 여름철 강수가 적게 오는 물리과정 117

[그림 4-15] 엘니뇨가 발달하는 (a) 여름철 JJA(0), (b) 최성기인 겨울철 D(0)JF(1), 그리고 (c) 그 후 소멸하는 여름철 JJA(1)까지 엘니뇨와 몬순의 관계 모식도.... 118

[그림 4-16] 해양-대기 상호작용에 의한 아열대 고기압의 강화 과정(Wang et al. 2000) 120

[그림 4-17] 동태평양 엘니뇨 발달 시기의 여름철 물리 과정(상층 CGT 원격상관 패턴 발생) 120

[그림 4-18] 중태평양 엘니뇨 발달 시기의 동아시아 몬순 지역 반응 121

[그림 4-19] 라니냐 발달 시기의 동아시아 몬순 지역 반응 122

[그림 4-20] 7~9월 태풍 생성 위치. 빨간 점은 강한 엘니뇨 시기, 파란 점은 강한 라니냐 시기 123

[그림 4-21] 장마 강수 강도에 회귀 분석한 봄철(4, 5월) 유라시아 적설 면적의 분포. 보이는 값은 1달 안에 눈으로 덥혀있는 날의 퍼센트를 나타냄. 박스 구역이 한반도... 124

[그림 4-22] 위 [그림 4-21]의 박스안 눈면적 지수 시계열에 회귀 분석한 우리나라 여름철(6, 7월) 강수량의 패턴. GPCP 강수 자료를 이용하였음 124

[그림 4-23] [그림 4-7]의 한반도 장마 강도 시계열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한 봄철(3, 4, 5월, 왼쪽) 및 여름철(6월과 7월, 오른쪽) 대서양지역 해수면 온도 편차(K).... 126

[그림 4-24] [그림 4-7]의 한반도 장마 강도 시계열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한 여름철(6월과 7월) 500-hPa 지위고도 편차. 특징적인 유라시아 원격상관 패턴이 보이며... 126

[그림 4-25] 11개 관측소 평균 여름철 (6월~8월) 강수량 편차. 파란선은 11년 이동 평균. 이용된 관측소는 강릉, 서울, 인천, 포항, 대구,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여수 128

[그림 4-26] 1973~2020년 동안 56개 전국 관측소 5일 평균 강수량(왼쪽) 및 각 구간별 기후값(오른쪽) 129

[그림 4-27] 1973~1993, 1994~2020기간 평균 강수 시계열. 56개 전국 관측소 평균 130

[그림 4-28] 각 10년 구간별 장마 기간 전국 평균 강수량. 56개(1989년까지) 또는 62개(1990년 이후) 관측소값을 이용함 131

[그림 4-29] 1778년부터 2020년까지 6월부터 9월 평균 서울 강수량 시계열 132

[그림 4-30] 1778년부터 2020년까지 6월부터 9월 평균 서울 강수량의 웨이브렛 파워 스펙트럼 132

[그림 4-31] 서울의 5일 총 강수량. 장마 시작(onset, 흑색선, 6mm/day 이상), 최고점(summit, 적색선), 그리고 우기의 종료(retreat, 청색선, 6mm/day 이하)는... 133

[그림 4-32] 5일 평균(펜타드) 서울 강수량의 여름철 사이클. 243년 전기간 평균(검정선)과 1908~2020년 평균(왼쪽 청색선) 및 1991~2020년 평균(오른쪽 청색선) 134

[그림 5-1] 최근 36년간(1985년~2020년) 호우피해 발생 횟수 139

[그림 5-2] 유형별 기상재해 구성비(1911년~2020년) 140

[그림 5-3] 2004년에서 2013년 10년간 시ㆍ군ㆍ구별 우심피해 발생빈도 141

[그림 5-4]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연도별 태풍의 수(1951년~2020년, 5월~10월 기간 합계) 142

[그림 5-5]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연도별 태풍의 수(1951년~2020년 여름철) 142

[그림 5-6] 2019년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과 그 이동경로 143

[그림 5-7] 2019년 9월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과 그 이유 143

[그림 5-8] 이산화탄소(CO₂) 농도와 기온 변화 146

[그림 5-9] 폭염 일수(33℃ 이상) 146

[그림 5-10] 한파 일수(아침최저 -12℃ 이하) 147

[그림 5-11] (a) 1979~1997년 및 (b) 1998~2017년 동안 북반구 겨울철(12월~1월) 지표 기온의 선형 추세 147

[그림 5-12] 강수량 변화 148

[그림 5-13] 강수 일수(30mm 이상) 148

[그림 5-14] 가뭄 일수(6개월 이동 평균) 149

[그림 5-15] 지난 10년간(2010~2019) 우리나라의 대표적 이상기후 캘린더 150

[그림 5-16] 7월 8~27일 (좌) 총 강수량 및 (우) 강수량 평년비 160

[그림 5-17] 7월 8~27일 500hPa 평균고도 및 편차장 및 장마전선 위치 161

[그림 5-18] (좌)장마기간 강수량 및 (우)강수량 평비 162

[그림 5-19] (좌)장마기간 강수량 및 (우)강수량 평비 164

[그림 5-20] 장마기간(6.24~7.29) (좌)강수량 및 (우)강수량 평년비 165

[그림 5-21] 2015년 우리나라에 직접 영향을 준 태풍 진로도 167

[그림 5-22] 장마기간(6.18~7.30) 강수량 및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 168

[그림 5-23] 전국 45개 지점의 장마기간(2017.6.24.~7.29.) 평균기온 및 평년편차 분포도 170

[그림 5-24] 전국 45개 지점의 장마기간 평균기온 시계열(1973~2017년) 171

[그림 5-25] 전국 45개 지점의 장마기간(2017.6.24.~7.29.) 강수량 및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 171

[그림 5-26] 장마 기간(6.19.~7.11.) 강수량 및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 174

[그림 5-27] 장마 기간(6.19.~7.11.) 강수량 및 강수량 평년비 분포도 175

[그림 5-28] 장마 시작 전(6.1.~24.) 전국 45개 지점의 강수량 시계열(1973~2018년) 175

[그림 5-29] 7월 8~11일 (위)200hPa 고도 편차와 (아래)500hPa 고도 편차 (빨강/파랑채색: 평년보다 높/낮은고도, 검정실선: 평균고도) 176

[그림 5-30] 500hPa 지위고도 편차 분포도 (왼쪽) 상층 기압골의 영향기간(2018년 6월 26일~28일), (오른쪽) 태풍 '쁘라삐룬'의 영향기간(2018년 7월 1일~2일) 177

[그림 5-31] (왼쪽) 6월 19~25일 500hPa(약 5.5km 상공) 평균고도선과 850hPa(약 1.5km 상공) 기온편차(채색) (오른쪽) 5월 북극해 얼음면적 분포도 178

[그림 5-32] 6.26.~7.29. 500hPa(약 5.5km 상공) 고도편차(채색)와 평균고도선(실선) 179

[그림 5-33] 장마 기간(6.10.~8.16.) (왼쪽) 강수량과 (오른쪽) 강수량 퍼센타일 분포도 180

[그림 5-34] 2020년 6~8월 전국 강수량 일(파랑)/월(녹색) 변화 시계열 181

[그림 5-35] 7월 (왼쪽) 해수면 온도와 지구장파복사 분포도, (오른쪽) 500hPa 평균 지위고도선과 850hPa 기온 평년편차 182

[그림 6-1] 장마의 이점 184

[그림 6-2] 장마의 경제적 가치 185

[그림 6-3] 장마기간 동안 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량 변동 185

[그림 6-4] 장마 기간의 강우량 186

[그림 6-5] 장마의 환경적 이점 187

[그림 6-6] 2009년 전 도시 월평균 미세먼지 농도 188

[그림 6-7] 2009년 전 도시 월평균 이산화질소 농도 188

[그림 6-8] 2009년 전 도시 월평균 아황산가스 농도 189

[그림 6-9] 장마의 환경적 이점 중 수질개선효과 189

[그림 6-10] 가뭄에 해소되고 난 뒤 벼의 모습 190

[그림 6-11] 장마철 비로 가뭄이 해소된 농촌의 모습 190

[그림 6-12] 다양한 레인부츠 191

부록표목차

[표 A-1] 전국의 종관기상관측소 목록, 1991년부터의 분석 기간에 한하여 붉은색 및 굵은 글씨 처리된 관측소의 강수 자료를 활용하였음 219

[표 A-2] 동아시아 여름철 강수의 모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15개의 CMIP6 모델 목록 221

[표 A-3] 동아시아 여름철 강수에 관한 CMIP6 모델의 모의 성능 결과 223

부록그림목차

[그림 A-1] 15개 CMIP6 모델의 현재기후(historical) 강수 모의 결과. (a)는 각 모델의 기후 평균 비교 결과, (b)는 각 모델의 기후 평균에 대한 표준편차의 비교결과임 222

[그림 A-2] 2020~203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 예측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25

[그림 A-3] 2020~203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와 현재(1995~2014) 차이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26

[그림 A-4] 2020~203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 변화율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27

[그림 A-5] 2040~205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 예측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28

[그림 A-6] 2040~205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와 현재(1995~2014) 차이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29

[그림 A-7] 2040~205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 변화율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30

[그림 A-8] 2060~207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 예측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31

[그림 A-9] 2060~207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와 현재(1995~2014) 차이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32

[그림 A-10] 2060~207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 변화율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33

[그림 A-11] 2080~209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 예측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35

[그림 A-12] 2080~209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와 현재(1995~2014) 차이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36

[그림 A-13] 2080~2099년 여름철 동아시아 미래 변화율 (a) 강수량, (b) 하층 수증기 플럭스, (c) 하층 지위고도, (d) 지표기온 237

이용현황보기

장마백서. 2022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96586 R 551.5781 ㄱ488ㅈ 20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이용가능
0002996587 R 551.5781 ㄱ488ㅈ 20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이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