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제출문 2
목차 3
Chapter 1. 개요 13
1.1. 사업개요 15
1.2. 사업 배경 및 목적 16
1.3. 사업범위 17
Chapter 2. 데이터 기반의 융합 위성영상 제공 및 위성정보시스템 개선 19
2.1. 메뉴체계 구성 및 관리기능 개선 21
2.1.1. 다양한 자료 표출방법 재설계 및 고도화 추진 21
2.1.2. 다중위성영상 선택, 키보드 이동 기능 26
2.1.3. 자료활용 등 통계분석 기능 31
2.1.4. UI 디자인 개선 34
2.2. 관측, 수치자료의 융합표출 42
2.2.1. 위성영상과 타 자료 융합표출, 분석환경 개발 42
2.2.2. 스마트 영상표출체계 구현 54
2.2.3. 개인화 지원기능 고도화 59
2.2.4. 태풍경로 표출방법의 고도화 62
2.3. 데이터 선택 및 표출 기능 69
2.3.1. 위성정보시스템 내 데이터추출 등 표출 환경 구축 69
2.3.2. 사용자 맞춤형의 산출물 시험운영 환경 구축 77
2.3.3. 다중 위성자료의 데이터 기반 융합표출 구현 79
2.3.4. 데이터 기반 이미지 분산 및 영상 표출 기법 개발 82
2.4. 날짜 기반의 위성영상/자료 검색과 표출 84
2.4.1. 날짜 기반의 위성영상/자료 검색과 획득이 가능한 검색/표출시스템 개발 84
2.5. 통합위성분석시스템 체계분석 및 개선 89
2.5.1. 통합위성분석시스템 체계분석 89
2.5.2. 통합위성분석시스템 개선 107
Chapter 3. 사용자 친화적인 양방향 서비스 구축 및 통합누리집 구현 129
3.1. 국·영문 누리집에 사용자-제공자 상호작용 처리를 위한 양방향 서비스 구현 131
3.1.1. 통합검색 기능 구현 131
3.1.2. 해시태그 검색 기능 구현 133
3.1.3. 영문홈페이지 현행화 134
3.1.4. 메인페이지 개편 138
3.2. 위성센터 통합 웹서비스 구현 139
3.2.1. 우주기상예특보시스템 (spaceweather.kma.go.kr)과 북극해빙 감시 시스템 (seaice.kma.go.kr) 통합 139
3.3. 데이터기반 영상처리기법 구현 143
3.3.1. 데이터 기반의 산출물 자료를 GIS 상에 표출하는 기능 구현 143
3.4 영문 홈페이지 콘텐츠 교정 144
3.4.1. 위성 수신 데이터(NetCDF file)의 위성영상 중첩기능 구현 145
Chapter 4. 다중 위성영상의 검색·표출의 데이터베이스 및 관리기술 개발 147
4.1. 융복합 자료활용을 위한 위성 데이터베이스 체계 개발 149
4.1.1. 외국위성자료 및 GK2A지상국 메타데이터 자료 관리 화면 구현 149
4.1.2. DB Table Comment SQL 153
4.1.3. DB Table Column Comment SQL 153
4.2. 국내외 위성자료 수집, 서비스 체계 및 통합관리시스템 개선 154
4.2.1. 위성자료 수집, 표출, 처리내역, 장애내역 등 DB 기반 통합관리시스템 개선 154
4.3. 위성항법시스템 전파엄폐 자료처리시스템 기술개발 158
4.3.1. 전지구위성항법시스템-전파엄폐(GNSS-RO) 수신 자료처리 기술 158
4.3.2. 위성의 정확한 궤도 결정(POD)을 위한 기술 개발 171
4.4. GNSS 수집체계 개선 182
4.4.1. 현업 GNSS 수집 및 처리 프로그램 연계 지상 GNSS 모니터링 페이지 구축 182
Chapter 5. 위성자료의 융합활용·개발을 위한 협업·공유 플랫폼 개발 187
5.1. 외부사용자와 위성센터간 소통 플랫폼 구현 189
5.2. 사용자 간 협업/공유 가능한 공동 알고리즘 개발원형 개발 190
5.3. 데이터 융합활용 분석 환경 및 기능 개발 194
Chapter 6. 결론 199
〈그림 1-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16
〈그림 2-1〉 사용자 신규알림함 버튼 22
〈그림 2-2〉 신규알림함 목록 페이지 23
〈그림 2-3〉 사용자 신규알림 상세 페이지 24
〈그림 2-4〉 위성정보시스템(신) 홈페이지 화면 24
〈그림 2-5〉 '구역 선택' 메뉴 예시 25
〈그림 2-6〉 기능 예시 1-1 - 구역 선택 25
〈그림 2-7〉 기능 예시 1-2 - 선택한 구역으로 이동 25
〈그림 2-8〉 기능 예시 2-1 - 구역 선택 26
〈그림 2-9〉 기능 예시 2-2 - 벡터 레이어 표출 26
〈그림 2-10〉 '다중' 메뉴 및 '다중 위성 선택' 기능 창 활성화 화면 27
〈그림 2-11〉 '다중 위성 선택' 기능 창 접힘/펼침 상태 27
〈그림 2-12〉 '다중' 메뉴 및 '다중 위성 선택' 기능 창 28
〈그림 2-13〉 타임라인(위성 영상 단일 선택) 28
〈그림 2-14〉 타임라인(위성 영상 다중 선택) 28
〈그림 2-15〉 활성 창에 따른 타임라인과 레이어 29
〈그림 2-16〉 다중 위성 영상 선택 기능 초기화 30
〈그림 2-17〉 기능 활성화 상태의 타임라인과 레이어 30
〈그림 2-18〉 위성정보시스템(신) 통계 화면 31
〈그림 2-19〉 조회수 및 조회누적용량 조건 선택 영역 32
〈그림 2-20〉 트래픽 조건 선택 영역 33
〈그림 2-21〉 위성별, 일별 통계 차트 X축 비교 34
〈그림 2-22〉 그리기 아이콘 비교 34
〈그림 2-23〉 다크모드 적용 화면 35
〈그림 2-24〉 다크모드 메인 색상 및 활성화 색상 36
〈그림 2-25〉 다크모드 상단바 36
〈그림 2-26〉 다크모드 달력 위젯 37
〈그림 2-27〉 다크모드 중첩 목록 37
〈그림 2-28〉 다크모드 데이터 기반 화면 38
〈그림 2-29〉 다크모드 좌우측 하위 메뉴 화면 38
〈그림 2-30〉 다크모드 그리기 도구 39
〈그림 2-31〉 다크모드 투영 39
〈그림 2-32〉 다크모드 태풍경로 40
〈그림 2-33〉 좌측 메뉴바 비교 화면 40
〈그림 2-34〉 4:3 비율 화면 41
〈그림 2-35〉 수치자료 화면 구성 42
〈그림 2-36〉 관측자료 화면 구성 43
〈그림 2-37〉 수치자료 - 상당온위 1 43
〈그림 2-38〉 수치자료 - 상당온위 2 44
〈그림 2-39〉 수치자료 - 가강수량 1 44
〈그림 2-40〉 수치자료 - 가강수량 2 45
〈그림 2-41〉 수치자료 - 가강수량 3: 투명도 조절 45
〈그림 2-42〉 수치자료 - 가강수량 4: 색채우기 해제 46
〈그림 2-43〉 NetCDF 데이터 이미지 생성 및 호출 순서도 1 47
〈그림 2-44〉 GTS AMDAR API URL 파라미터 48
〈그림 2-45〉 윈드프로파일러 API URL 파라미터 49
〈그림 2-46〉 관측자료 - GTS AMDAR 1 49
〈그림 2-47〉 관측자료 - GTS AMDAR 2 50
〈그림 2-48〉 관측자료 - GTS AMDAR 3: 축적 변경 50
〈그림 2-49〉 관측자료 - GTS AMDAR 4: 지점 정보 51
〈그림 2-50〉 관측자료 - 윈드프로파일러 1 52
〈그림 2-51〉 관측자료 - 윈드프로파일러 2 52
〈그림 2-52〉 관측자료 - 윈드프로파일러 3: 지점 정보 53
〈그림 2-53〉 관측자료 융합 표출 53
〈그림 2-54〉 특정현상 탐지 시 사용자 알림 기능 흐름도 54
〈그림 2-55〉 특정현상 탐지 시 사용자 알림 메시지 55
〈그림 2-56〉 산불 현상 표출정보 예시 56
〈그림 2-57〉 안개 현상 표출정보 예시 57
〈그림 2-58〉 황사 현상 표출정보 예시 57
〈그림 2-59〉 특정현상 탐지 시 사용자 알림 관리 메뉴 버튼 58
〈그림 2-60〉 특정현상 탐지 시 사용자 알림 관리 화면 58
〈그림 2-61〉 사용자 작업 상태(설정) 저장 화면 60
〈그림 2-62〉 사용자 작업 상태(설정) 불러오기 화면 60
〈그림 2-63〉 태풍경로 화면 구성(변경 전) 62
〈그림 2-64〉 태풍경로 화면 구성(변경 후) 63
〈그림 2-65〉 태풍 예상 경로 수치 모델과 범례 63
〈그림 2-66〉 태풍 예상 경로 API URL 파라미터 65
〈그림 2-67〉 태풍 반경 생성 1 - 접선 폴리곤 65
〈그림 2-68〉 태풍 반경 생성 2 - 마지막 지점 원형 폴리곤 66
〈그림 2-69〉 태풍 반경 생성 3 - 병합 폴리곤 66
〈그림 2-70〉 태풍 목록 66
〈그림 2-71〉 18호 로키 태풍 정보 67
〈그림 2-72〉 제 18-14호 태풍경로 67
〈그림 2-73〉 제 18-11호 태풍경로+예상경로 68
〈그림 2-74〉 태풍경로 수치모델 예상경로 68
〈그림 2-75〉 데이터기반 - '위성' 화면 구성 69
〈그림 2-76〉 NetCDF 데이터 이미지 생성 및 호출 순서도 2 70
〈그림 2-77〉 데이터기반 - 안개 표출 1 70
〈그림 2-78〉 데이터기반 - 안개 표출 2 71
〈그림 2-79〉 데이터기반 - 안개 표출 3: 투명도 조절 71
〈그림 2-80〉 데이터기반 - 황사 표출 1 72
〈그림 2-81〉 데이터기반 - 황사 표출 2: 투명도 조절 72
〈그림 2-82〉 데이터 선택 표출 화면 구성 73
〈그림 2-83〉 데이터기반 - 데이터 선택 표출 1 73
〈그림 2-84〉 데이터기반 - 데이터 선택 표출 2 74
〈그림 2-85〉 데이터기반 - 데이터 선택 표출 3 74
〈그림 2-86〉 특정 현상 탐지 대상 경로 설정 관련 XML 내용 75
〈그림 2-87〉 대류운 발생 탐지 알림 메시지 화면 예시 76
〈그림 2-88〉 대류운 현상 표출정보 예시 76
〈그림 2-89〉 NetCdf file To Json File 77
〈그림 2-90〉 데이터기반 팝업 한계점 77
〈그림 2-91〉 config 파일 이용한 자동화 테스트 77
〈그림 2-92〉 컬러 수증기(6.3μm) 표출 화면 79
〈그림 2-93〉 상층수증기 구름표면온도 정량 값 표출 화면 80
〈그림 2-94〉 중층수증기 구름표면온도 정량 값 표출 화면 81
〈그림 2-95〉 하층수증기 구름표면온도 정량 값 표출 화면 81
〈그림 2-96〉 데이터 기반 이미지 표출 개선 타일링 작업 순서도 83
〈그림 2-97〉 위성, 센서 기반 위성영상 자료 검색 기능 순서도 84
〈그림 2-98〉 위성, 센서 기반 위성영상 자료 검색 기능 화면 예시 85
〈그림 2-99〉 날짜기반 위성영상 자료 검색 기능 화면 예시 85
〈그림 2-100〉 타입, 영역 조건 선택 콤보 박스 "자료없음" 목록 표출 화면 예시 86
〈그림 2-101〉 위성, 센서 기반 위성영상 자료 검색 기능 순서도 86
〈그림 2-102〉 날짜기반 위성영상 자료 검색 기능 흐름도 87
〈그림 2-103〉 위성정보시스템 표출영상정보.xlsx 메타 데이터 시트 화면 예시 87
〈그림 2-104〉 바람 1000hPa (High) 자료 응답시간 상세 결과 92
〈그림 2-105〉 통합위성분석시스템 자료 조회 흐름도 93
〈그림 2-106〉 분석 대상자료 전체 응답시간 94
〈그림 2-107〉 분석 대상자료 전체 영상이미지 표출 화면 94
〈그림 2-108〉 한반도 대류운발생 탐지 1 이미지 표출 관련 자바소스1 95
〈그림 2-109〉 한반도 대류운발생 탐지 1 이미지 표출 관련 자바소스2 95
〈그림 2-110〉 바람 1000hPa (High) 이미지 표출 관련 자바소스1 96
〈그림 2-111〉 바람 1000hPa (High) 이미지 표출 관련 자바소스2 96
〈그림 2-112〉 바람 1000hPa (High) 이미지 표출 관련 자바소스3 97
〈그림 2-113〉 바람 1000hPa (High) 이미지 표출 관련 자바소스4 97
〈그림 2-114〉 RGB 주야간합성-TP 자료의 CPU 자원사용률 101
〈그림 2-115〉 한반도 대류운발생 탐지1 자료의 CPU 자원사용률 101
〈그림 2-116〉 AWS 1분 평균 바람 자료의 CPU 자원사용률 102
〈그림 2-117〉 온도 925hPa (Low) 자료의 CPU 자원사용률 102
〈그림 2-118〉 바람 925hPa (Low) 자료의 CPU 자원사용률 103
〈그림 2-119〉 분석 대상자료 전체의 CPU 자원사용률 103
〈그림 2-120〉 수치모델자료 원본 데이터 관련 소스1(AbstractGeoJSONMakeTiles4Projection.java) 104
〈그림 2-121〉 수치모델자료 원본 데이터 관련 소스2(AbstractGeoJSONMakeTiles4Projection.java) 104
〈그림 2-122〉 수치모델자료 원본 데이터 관련 소스3(FilePatternNwp.java) 105
〈그림 2-123〉 WAS 로그 내 에러 메시지 106
〈그림 2-124〉 자료코드 관리 메뉴 107
〈그림 2-125〉 자료코드 관리 페이지 좌측 화면 108
〈그림 2-126〉 자료코드 관리 페이지 우측 화면 109
〈그림 2-127〉 KIM전구(High) 자료 추가 후 자료열기 팝업 화면 예시 109
〈그림 2-128〉 HIMAWARI9 자료 추가 후 자료열기 팝업 화면 예시 109
〈그림 2-129〉 KIM전구(High) 자료 추가 후 code.json 비교 화면 예시(왼쪽 : 추가 전, 오른쪽 : 추가 후) 110
〈그림 2-130〉 HIMAWARI9 자료 추가 후 code.json 비교 화면 예시(왼쪽 : 추가 전, 오른쪽 : 추가 후) 110
〈그림 2-131〉 자료목록 설정 파일 경로 관련 XML 내용 111
〈그림 2-132〉 context-file-patterns.xml에 파일패턴 객체 추가 예시 114
〈그림 2-133〉 context-file-himawari8.xml에 파일패턴 정의 객체 추가 예시 114
〈그림 2-134〉 context-file-patterns.xml에 파일패턴 객체 추가 예시 115
〈그림 2-135〉 context-file-patterns.xml에 파일패턴 정의 객체 추가 예시 116
〈그림 2-136〉 파일패턴 클래스(FilePatternHimawari8.java) 예시 117
〈그림 2-137〉 타일 생성 여부 클래스(Himawari8MakeTiles.java) 예시 118
〈그림 2-138〉 이미지 클래스(Himawari8ImageGEOS.java) 예시 119
〈그림 2-139〉 이미지 생성 클래스(SatelliteGraySpatialImageImpl.java) 예시 120
〈그림 2-140〉 파일 패턴 클래스(FilePattern.java) 예시 121
〈그림 2-141〉 파일패턴 클래스(FilePatternHimawari8.java) 예시 122
〈그림 2-142〉 수치모델자료 표출 변수 "ELEMENT128"(enum 자료형) 124
〈그림 2-143〉 신규 KIM 수치모델자료 표출 변수 객체(bean) 추가 예시 125
〈그림 2-144〉 수치모델자료 등치선 정보 관련 소스수정 예시 127
〈그림 2-145〉 수치모델 등치선 정보 nwp.json 내용 추가 예시 127
〈그림 2-146〉 신규 산출물 추가 작업 절차 흐름도 128
〈그림 3-1〉 프로서치 아키텍쳐 131
〈그림 3-2〉 프로서치 시스템 구성도 131
〈그림 3-3〉 통합검색 기능 132
〈그림 3-4〉 해시태그 검색(#위성 #트위터) 133
〈그림 3-5〉 해시태그 검색 결과(#위성 #트위터) 133
〈그림 3-6〉 메인화면 디자인 시안 138
〈그림 3-7〉 누리집 메인메뉴 139
〈그림 3-8〉 우주기상 예특보 정보 화면 캡쳐 139
〈그림 3-9〉 해빙소개 화면 캡쳐 140
〈그림 3-10〉 해빙 표면 거칠기 소개 화면 캡쳐 141
〈그림 3-11〉 일별 해빙 면적 142
〈그림 3-12〉 일별 해빙 거칠기 142
〈그림 3-13〉 사용자 산출물(CSV) 데이터 업로드 143
〈그림 3-14〉 사용자 산출물(CSV) 중첩 143
〈그림 3-15〉 NetCDF 바람세파일 배경지도 중첩 144
〈그림 3-16〉 NetCDF 파일의 바람정보를 바람깃으로 배경지도 중첩 145
〈그림 4-1〉 사이트메뉴 관리를 통한 GK2A지상국 메타데이터 메뉴 추가 149
〈그림 4-2〉 GK2A 지상국 메타데이터 조회 화면 150
〈그림 4-3〉 GK2A 지상국 메타데이터 수정 화면 150
〈그림 4-4〉 사이트메뉴 관리를 통한 외국위성자료 메타데이터 메뉴 추가 151
〈그림 4-5〉 외국위성자료 메타데이터 조회 화면 152
〈그림 4-6〉 외국위성자료 메타데이터 등록 화면 152
〈그림 4-7〉 외국위성자료 메타데이터 수정 화면 153
〈그림 4-8〉 국내외모니터링 날짜 검색 영역 154
〈그림 4-9〉 파일 경로 및 파일키 설정 파일 화면 155
〈그림 4-10〉 국내외모니터링 화면 156
〈그림 4-11〉 위성(METOP-B) 디렉토리 내 파일 목록 클릭 영역 156
〈그림 4-12〉 위성(METOP-B) 디렉토리 내 파일 목록 팝업 화면 157
〈그림 4-13〉 스케줄 텍스트 파일 팝업 화면 157
〈그림 4-14〉 옥외 시험 구성 158
〈그림 4-15〉 야외시험 구성 160
〈그림 4-16〉 위성 궤도 예측 프로그램 화면 160
〈그림 4-17〉 GPS 위성 패스 일정 161
〈그림 4-18〉 데이터 수신 프로그램 화면 161
〈그림 4-19〉 2차 야외 실험 구성 162
〈그림 4-20〉 위성 궤도 예측 프로그램 화면 163
〈그림 4-21〉 Pseudo-range 정밀도 비교 분석 : Closed Loop Tracking vs Open Loop Tracking 166
〈그림 4-22〉 carrier phase의 변화 추이 166
〈그림 4-23〉 레벨 1 처리 과정 167
〈그림 4-24〉 RO 수신기 출력 및 Excess phase 그래프 168
〈그림 4-25〉 Test_Runner 출력 화면 169
〈그림 4-26〉 GPS 항법의 에러 버짓 172
〈그림 4-27〉 POD 처리의 예 173
〈그림 4-28〉 POD 처리 시나리오 175
〈그림 4-29〉 POD 처리 과정 175
〈그림 4-30〉 Microcosm 처리 결과 176
〈그림 4-31〉 GNSS 모니터링 전처리 흐름도 182
〈그림 4-32〉 단계별 경로 설정 파일 내용 184
〈그림 4-33〉 GNSS 일별 페이지 화면 185
〈그림 4-34〉 GNSS 월별 페이지 화면 185
〈그림 5-1〉 소통플랫폼 189
〈그림 5-2〉 카테고리 목록 190
〈그림 5-3〉 토픽 목록 191
〈그림 5-4〉 토픽 첨부파일(소스) 192
〈그림 5-5〉 토픽 수정이력 193
〈그림 5-6〉 융합데이터 1 선택 194
〈그림 5-7〉 융합데이터 2 선택 195
〈그림 5-8〉 데이터 융합키 선택 196
〈그림 5-9〉 데이터 융합 197
〈그림 5-10〉 융합 차트 확인 198
〈그림 5-11〉 융합 차트 확인 19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999838 | 551.6354 -22-16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2999839 | 551.6354 -22-16 | v.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