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환경 분야 팬데믹 시기별 대응체계 구축방안 마련 연구 : 건강, 에너지, 폐기물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response system for each period of pandemic in the field of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fields of health, energy and waste / 연구책임자: 서양원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한국환경연구원(KEI), 2022
청구기호
363.7 -23-41
자료실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형태사항
vii, 211 p. : 삽화, 도표, 서식 ; 25 cm
총서사항
KEI 사업보고서 ; 2022-08-01
Post-코로나19 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정책 연구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806681
제어번호
MONO12023000031540
주기사항
부록: 1. 팬데믹 관련 환경보건 분야 정책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질문지 ; 2. 일반 국민 대상 팬데믹 전후 환경 위해 인식 및 실태 변화 조사 질문지
참고문헌: p. 159-166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제1장 서론 22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2

2. 연구 범위 및 수행 체계 23

3. 연구 내용 및 추진 방법 24

제2장 코로나19 시기별 환경인자 및 건강영향 상관관계 분석 26

1. 코로나19 시기별 국내외 현황 분석 26

가. 코로나19 감염 현황 26

나. 국내 코로나19 감염 현황 특성 분석 32

2. 코로나19 시기별 환경영향 변화 분석 44

3. 코로나19 시기별 환경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49

4. 코로나19 시기별 환경요인에 따른 건강영향 분석 55

가. 미세먼지의 급성건강영향 평가 자료 및 방법 55

나. 미세먼지의 전체원인 사망영향 56

제3장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에너지 수요 영향 분석 60

1. 국내 에너지 수요 변화 양상 분석 60

가. 코로나19 발생 전후 전력 소비량 변화 분석 61

나. 코로나19로 인한 전력 소비량 변화 분석 64

2. 코로나19 이후 주요국 부문별 에너지 수요 비교 분석 70

가. 국제 에너지 시장 현황 70

나. 에너지 수요 변화 비교분석 :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대한민국 80

다. 정책적 시사점 91

제4장 코로나19 시기에 따른 폐기물 발생 변화와 대응방안 97

1. 소비 변화와 폐기물 발생 변화 분석 97

가. 분기별 소비동향(2018~2022년) 97

나. 온라인 음식서비스 매출액(2018~2022년) 98

다. 국내 택배 물동량 추이(2010~2021년) 99

라. 개인 신용카드 데이터에 따른 소비현황 100

마. 국내 팬데믹 전후 생활계폐기물 발생 현황 비교 103

2.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국제적 변화 분석 104

가.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가정 발생 생활폐기물 변화 분석(23개국 조사) 104

나. 개인보호장비(PPE) 사용에 따른 글로벌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106

3. 팬데믹 이후의 자원순환 정책 방향 108

가. 코로나 팬데믹 기간과 이후 효과적인 폐기물 관리: 도전, 기회, 그리고 혁신(2020) 108

나. 팬데믹 전후의 일회용품 사용 정책 변화와 시사점 110

다. 팬데믹 전후 환경 위해 인식 및 실태 변화 조사 결과(2021, 2022년) 113

라. 팬데믹 전후 7R 정책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2022년) 118

4. 정책적 시사점 122

제5장 팬데믹 관련 환경 분야 인식 변화 및 실태 조사 123

1. 팬데믹 관련 위해 인식 125

가. 코로나19 피해 관련 인식 125

나. 팬데믹 전후 환경 인식 128

다. 위험 인식 비교 129

라. 코로나19 관련 위해 정보 인식 131

2. 팬데믹 전후 행동 및 실태 135

가. 일상활동 135

나. 에너지 137

다. 실내공기 139

라. 팬데믹 관련 제품 사용 실태 141

마. 기타 생활환경 142

바. 일회용품 사용 실태 143

3. 팬데믹 정책 관련 인식 148

4. 시사점 149

제6장 환경 분야 팬데믹 시기별 대응체계 구축 방향 150

1. 환경 분야 팬데믹 취약성 평가 대상 선정 기법 마련 150

가. 취약성 개념 및 취약집단 선정 기법 검토 150

나. 취약성 평가 항목 후보군 도출 검토 예시 152

2. 환경 분야 팬데믹 시기별 대응체계 구축 방향 도출 153

가. 환경 분야 팬데믹 시기별 대응체계 구성 요소 153

나. 팬데믹 대응을 위한 원헬스 접근법 탐색 162

제7장 결론 174

1. 연구 요약 174

2. 향후 연구 추진사항 178

참고문헌 180

[부록 Ⅰ] 팬데믹 관련 환경보건 분야 정책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질문지 189

[부록 Ⅱ] 일반 국민 대상 팬데믹 전후 환경 위해 인식 및 실태 변화 조사 질문지 202

Executive Summary 222

판권기 2

〈표 2-1〉 질병관리청 제공 데이터 개요 32

〈표 2-2〉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기본 통계량(2020.1.20~2022.6.25) 36

〈표 2-3〉 국내 코로나19 global Moran's I 37

〈표 2-4〉 국내 코로나19 시기별 확진자 클러스터 통계 43

〈표 2-5〉 전문가 조사 주요 내용 44

〈표 2-6〉 변수별 시군구별 기본통계량 51

〈표 2-7〉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환경요인 변수의 상관계수 51

〈표 2-8〉 시기별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의료폐기물 발생의 공간회귀분석 결과 54

〈표 2-9〉 서울시와 대구시의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전체원인 사망영향 58

〈표 3-1〉 전력 소비 계약종별 정의 62

〈표 3-2〉 코로나19가 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선행연구 목록 65

〈표 3-3〉 코로나19 확진자 수의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영향 69

〈표 3-4〉 코로나19 이후 국내 온실가스 배출 추이 79

〈표 3-5〉 2020~2021년 1차에너지원별 수요 변화: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대한민국 81

〈표 3-6〉 미국의 최종에너지 부문별 소비 83

〈표 4-1〉 미국 주요 주정부의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관련 정책 - 코로나 전후 변화 111

〈표 4-2〉 7R 용어 설명 118

〈표 4-3〉 감염병 시기별 용어 설명 118

〈표 4-4〉 '7R을 실천하는 데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응답 119

〈표 4-5〉 '7R과 관련된 정책은 어느 시기에 적용가능하고 지속가능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응답 119

〈표 4-6〉 '7R의 정책에 대해 우리나라의 정책 추진은 잘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응답 120

〈표 4-7〉 '7R의 정책에 대해 앞으로 적극적인 개선 추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응답 120

〈표 4-8〉 '향후 팬데믹 등 감염병 발생 시 시행하여야 할 중요한 자원순환 정책은 무엇인지'에 대한 응답 121

〈표 5-1〉 설문조사 개요 123

〈표 5-2〉 일반 국민 대상 설문조사 주요 내용 124

〈표 6-1〉 팬데믹 관련 환경 분야에 대한 취약성 평가 대상 항목, 취약성 지표 및 우선순위 선정 방법에 대한 전문가 의견 152

〈표 6-2〉 팬데믹 사전 대비 및 사후 대응을 위한 환경 분야 관련 R&D 및 정책연구에 대한 전문가 수요 161

〈표 6-3〉 팬데믹 진행 시기별 환경보건 분야 중점 고려사항에 대한 전문가 의견 162

〈표 6-4〉 원헬스(One Health)의 정의 163

〈표 6-5〉 제2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 중 원헬스 연관 과제 164

〈표 6-6〉 로마선언 중 원헬스가 포함된 원칙 165

〈그림 1-1〉 연구 수행 체계 24

〈그림 2-1〉 국내 코로나19 일일 및 누적 확진자 수(2020.1.20~2022.1.29) 27

〈그림 2-2〉 국내 코로나19 일일 및 누적 확진자 수(2022.1.30~2022.11.30) 29

〈그림 2-3〉 국내 코로나19 일일 중증환자 및 사망자 수(2020.1.20~2022.11.30) 29

〈그림 2-4〉 미국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2020.1.20~2022.11.30) 30

〈그림 2-5〉 미국 코로나19 중증환자 및 사망자 수(2020.1.20~2022.11.30) 30

〈그림 2-6〉 영국 코로나19 일일 및 누적 확진자 수(2020.1.20~2022.11.30) 31

〈그림 2-7〉 영국 코로나19 중증환자 및 사망자 수(2020.1.20~2022.11.30) 31

〈그림 2-8〉 국내 2020년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2020.1.20~2020.12.31) 33

〈그림 2-9〉 국내 2021년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2021.1.1~2021.12.31) 33

〈그림 2-10〉 국내 2022년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2022.1.1~2022.6.25) 34

〈그림 2-11〉 국내 코로나19 시기별 일일 확진자 수(2020.1.20~2022.6.25) 35

〈그림 2-12〉 국내 코로나19 시기별 확진자 지역별 분포도 38

〈그림 2-13〉 국내 코로나19 시기별 10만 명당 확진자 발생 지역별 분포도 39

〈그림 2-14〉 국내 코로나19 시기별 상대위험비 지역별 분포도 41

〈그림 2-15〉 국내 코로나19 시기별 확진자 클러스터 분석 42

〈그림 2-16〉 코로나19 시기별 구분 기준 45

〈그림 2-17〉 팬데믹 발생 이전 환경 분야별 중요도 46

〈그림 2-18〉 팬데믹 발생 시기 환경 분야별 중요도 46

〈그림 2-19〉 팬데믹 종료 이후 환경 분야별 중요도 47

〈그림 2-20〉 팬데믹 기간의 환경 분야별 영향 48

〈그림 2-21〉 팬데믹 종료 이후 환경 분야별 영향 48

〈그림 2-22〉 코로나19 시기별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의료폐기물 발생량 50

〈그림 2-23〉 코로나19 시기별 의료폐기물 배출량의 시군구별 공간분포 53

〈그림 2-24〉 2006~2020년 16개 시도별 미세먼지의 전체원인 사망영향 57

〈그림 2-25〉 연도별 미세먼지의 전체원인 사망영향 결과의 메타분석 59

〈그림 3-1〉 코로나19 발생 이후 나라별 에너지 소비량 변화율 60

〈그림 3-2〉 국내 전력 소비 추이 63

〈그림 3-3〉 계약종별 전력 소비 추이 64

〈그림 3-4〉 이탈리아 일별 전력 사용량, 2019년 vs 2020년 66

〈그림 3-5〉 코로나19 시기 동안의 스페인 전력 사용량 변화량(a)과 변화율(b) 67

〈그림 3-6〉 외부 충격에 따른 세계 에너지 수요, 온실가스 배출 영향 71

〈그림 3-7〉 세계 천연가스 지역별 부문별 수요(2019~2021년) 72

〈그림 3-8〉 코로나19 이후 세계 GDP, 에너지 수요, 온실가스 배출량 변동 추이(2019~2021년) 73

〈그림 3-9〉 주요국의 에너지원별 소비 변화('19년 대비 '21년 변화율) 74

〈그림 3-10〉 주요국 수송 부문 생산활동('20년 1~3월 동월 대비 '21년 증감률) 75

〈그림 3-11〉 우리나라 코로나19 이후 1차 에너지 공급 및 에너지원단위 추이 76

〈그림 3-12〉 우리나라 코로나19 이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추이 78

〈그림 3-13〉 코로나19 이후 1차에너지 소비 주요국 비교 81

〈그림 3-14〉 코로나19 전후 에너지원단위(1000Btu/2015$ GDP PPP) 주요국 비교 82

〈그림 3-15〉 일본의 에너지 연소에 따른 부문별 CO2 배출량 86

〈그림 3-16〉 코로나19 전후 1차에너지 소비 변화율 비교 87

〈그림 3-17〉 코로나19 전후 경제성장률 비교 88

〈그림 3-18〉 코로나19 전후 부문별 에너지 소비 변화율 비교 90

〈그림 3-19〉 코로나19 전후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율 비교 91

〈그림 3-20〉 코로나19 이후 재생발전 비용 경쟁력 추이 93

〈그림 3-21〉 1,300억 유로의 재정 부양 패키지 주요 구성 추정 96

〈그림 4-1〉 2018~2022년 분기별 소비동향 98

〈그림 4-2〉 온라인 음식서비스 매출액(2018~2022년)과 2018년 대비 증감률,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99

〈그림 4-3〉 택배 물동량 및 1인당 연간 택배 이용 건수(2010~2021년) 100

〈그림 4-4〉 개인 신용카드 사용액 수준(2019년 동월 대비) 101

〈그림 4-5〉 시도별 1인당 카드사용액 101

〈그림 4-6〉 서울시 2020년 신한카드 업종별 전년 대비 매출액 변화(일부 업종 제외) 102

〈그림 4-7〉 전국 카드소비 품목별 비중 변화 추이(2019~2021년) 103

〈그림 4-8〉 2019, 2020년 생활계폐기물 총합계 및 소계 비교 104

〈그림 4-9〉 코로나 팬데믹과 lockdown(봉쇄/거리두기)에 따른 생활폐기물 발생량 및 관리 부담 증가의 개념도 105

〈그림 4-10〉 lockdown(봉쇄/거리두기) 기간 중 종류별 폐기물 발생 변화 106

〈그림 4-11〉 코로나 팬데믹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개인보호장비의 생체의학 폐기물 종류 107

〈그림 4-12〉 국가별 일회용 마스크 폐기량 추정 107

〈그림 4-13〉 코로나19 위기 동안의 생활폐기물 관리 동향 및 실천행동 108

〈그림 4-14〉 팬데믹 기간의 폐기물 관리 우선순위 109

〈그림 4-15〉 코로나19 이후 일회용품ㆍ쓰레기양 등 사용 변화 수준(2021년) 113

〈그림 4-16〉 코로나19 이후 일회용품ㆍ쓰레기양 등 사용 변화 수준(2022년) 114

〈그림 4-17〉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대비 환경문제 변화 수준(2021년) 114

〈그림 4-18〉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대비 환경문제 변화 수준(2022년) 115

〈그림 4-19〉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대비 환경문제 관심도 변화 수준(2021년) 115

〈그림 4-20〉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대비 환경문제 관심도 변화 수준(2022년) 116

〈그림 4-2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행동 변화 수준(2021년) 116

〈그림 4-22〉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행동 변화 수준(2022년) 117

〈그림 4-23〉 감염병 팬데믹 발생 시 환경 분야 및 정책 강화 수준(2021년) 117

〈그림 4-24〉 '향후 팬데믹 등 감염병 발생 시 시행하여야 할 중요한 자원순환 정책은 무엇인지'에 대한 응답률 비교 121

〈그림 5-1〉 코로나19 확진 판정 경험, 횟수, 시기 126

〈그림 5-2〉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및 감염 시 건강영향 및 피해 심각성 126

〈그림 5-3〉 코로나19 이후 환경성 질환 변화 수준 127

〈그림 5-4〉 코로나19로 인해 겪은 사회ㆍ경제적 피해가 환경 피해로 이어진 경험 여부 127

〈그림 5-5〉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대비 환경문제 관심도 변화 수준 128

〈그림 5-6〉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대비 환경문제 변화 수준 129

〈그림 5-7〉 환경ㆍ사회 이슈 관련 위험 인식 비교 ① 129

〈그림 5-8〉 환경ㆍ사회 이슈 관련 위험 인식 비교 ② 130

〈그림 5-9〉 환경ㆍ사회 이슈 관련 위험 인식 비교 ③ 131

〈그림 5-10〉 코로나19 관련 관심 있는 정보 및 관련 정보의 양 적합성 131

〈그림 5-11〉 코로나19로 인한 환경영향 정보 습득 여부 및 내용 132

〈그림 5-12〉 코로나19 관련 환경정보 관심 수준 및 정보의 양 적합성 133

〈그림 5-13〉 코로나19 관련 환경정보 이해 수준 및 이해가 어려운 이유 133

〈그림 5-14〉 코로나19 관련 필요한 환경정보 134

〈그림 5-15〉 코로나19 관련 환경정보 전달 선호매체 134

〈그림 5-16〉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언택트 방식 업무수행 경험 및 재택시간 증가 수준 135

〈그림 5-17〉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외부활동 및 이동수단 이용 빈도 변화와 다중이용시설ㆍ대중교통 이용 자제 횟수 136

〈그림 5-18〉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자가용 이용횟수 변화와 그 이유 136

〈그림 5-19〉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행동 변화 수준 137

〈그림 5-20〉 코로나19 이전 대비 에너지 관련 변화 수준 및 이유 138

〈그림 5-21〉 코로나19로 인한 에너지 소비습관 관심 정도 변화 수준 및 생활습관 실천의향 여부 138

〈그림 5-22〉 전년도 대비 실내공기질 변화 수준 및 환기횟수 변화 수준 139

〈그림 5-23〉 전년도 대비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행동 변화여부 140

〈그림 5-24〉 전년도 대비 어린이 활동공간 내 변화 여부 및 환기횟수 변화 수준 140

〈그림 5-25〉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생활화학제품 사용 변화 수준 및 건강 변화 경험 여부 141

〈그림 5-26〉 마스크 사용 개수(1주일 평균) 142

〈그림 5-27〉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실내 생활환경 관련 변화 수준 142

〈그림 5-28〉 평소 건강증진을 위해 하는 활동 143

〈그림 5-2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폐기물ㆍ일회용품 변화 수준 및 향후 감소방법 144

〈그림 5-30〉 1회용 컵 보증금제 인지 여부 및 참여의향, 보증금액 적정 여부 144

〈그림 5-31〉 선호하는 1회용 컵 반납장소 145

〈그림 5-32〉 최근 5년간 여행장소와 여행 시 쓰레기의 양 145

〈그림 5-33〉 여행 시 개인용 텀블러 구비 수준 및 PET병ㆍ1회용 컵 소비 수준 146

〈그림 5-34〉 여행 시 불필요한 일회용품 제공받은 경험 여부와 제공받은 물품 146

〈그림 5-35〉 여행 시 버리는 쓰레기 감소방법 147

〈그림 5-36〉 여행 시 관광지역 쓰레기 문제 해결방법 147

〈그림 5-37〉 감염병 팬데믹 발생 시 환경 분야별 정책 강화 수준 148

〈그림 5-38〉 감염병 팬데믹 발생 전후 방역, 환경, 경제 정책 중요 수준 149

〈그림 6-1〉 환경 분야 팬데믹 취약성 평가 툴에 평가대상 포함 필요 여부 151

〈그림 6-2〉 환경 분야 팬데믹 취약성 평가 지표 개발의 추진 방향 151

〈그림 6-3〉 환경 분야 팬데믹 시기별 대응체계 구성 예시 153

〈그림 6-4〉 공유 체계 구축이 필요한 팬데믹 관련 환경 분야 DB 수요 154

〈그림 6-5〉 팬데믹 관련 환경 분야 중 위해소통이 중요한 분야 154

〈그림 6-6〉 팬데믹 발생 이전 팬데믹으로 인한 환경 피해의 예방 및 사전 대비를 위한 환경보건 정책 분야별 중요도 155

〈그림 6-7〉 팬데믹 진행 기간 중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시기의 팬데믹 대응을 위한 환경보건 정책 분야별 중요도 156

〈그림 6-8〉 팬데믹 진행 기간 중 위드코로나 시기의 팬데믹 대응을 위한 환경보건 정책 분야별 중요도 156

〈그림 6-9〉 팬데믹 종료 이후 사후 관리를 위한 환경보건 정책 분야별 중요도 157

〈그림 6-10〉 팬데믹 시기별 환경보건 관련 대책, 제도 및 사업 추진의 영향 158

〈그림 6-11〉 팬데믹 시기별 피해구제 관련 대책, 제도 및 사업 추진의 영향 158

〈그림 6-12〉 팬데믹 시기별 생활환경 관련 대책, 제도 및 사업 추진의 영향 159

〈그림 6-13〉 팬데믹 시기별 화학물질 관련 대책, 제도 및 사업 추진의 영향 159

〈그림 6-14〉 팬데믹 시기별 화학제품 관련 대책, 제도 및 사업 추진의 영향 160

〈그림 6-15〉 팬데믹 시기별 화학사고 관련 대책, 제도 및 사업 추진의 영향 160

〈그림 6-16〉 원헬스 개념 163

〈그림 6-17〉 원헬스 개념에서 환경의 역할 166

〈그림 6-18〉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의 출현과 코로나19의 발생 167

〈그림 6-19〉 야생생물 매개 감염병 출현 증가의 요인과 '원헬스'의 개념인 '사람-동물-환경'이 생태계의 건강과 연계되는 주요 요인들에 대한 모식도 168

〈그림 6-20〉 생물다양성과 인간의 건강 169

〈그림 6-21〉 공간적 관점에서의 기능 변화 170

〈그림 6-22〉 건강과 복지(웰빙)에서의 지연기반해법(NbS)의 혜택 171

〈그림 6-23〉 팬데믹 예방 및 대응의 원헬스적 접근에 대한 전문가 의견 172

〈그림 6-24〉 팬데믹의 원헬스적 접근 방향성 173

〈그림 6-25〉 원헬스 기반 감염병 대응을 위해 우선 연구가 필요한 분야 173

〈그림 7-1〉 연도별 코로나19 분석 시기, 주요 연구 내용 및 연구 목적 17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00437 363.7 -23-4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000438 363.7 -23-4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