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 멋있으면 다 언니 《춘향전》 6
2. 소문 살인 《은애전》 20
3. 환생했더니 하렘물인 건에 대하여 《구운몽》 32
4. 쌍놈의 새끼 《이춘풍전》 46
5. 우리는 사랑일까 《방한림전》 58
6. 꿩-니버스 《장끼전》 70
7. 호러, 스릴러, 코미디 중 택1 《옹고집전》 82
8. 전설의 금서 《설공찬전》 96
9. 이것이 조선의 컬트다 《변강쇠전》 108
10. 비공식 커플의 떡상을 기원하며 《운영전》 122
11. 초현실적 존재에 대한 등급 심사 《김원전》 134
12. 경외의 마음 《홍계월전〉 146
13. 금쪽이의 독서 《장화홍련전》 158
14. 과몰입 오타쿠의 세상 〈만복사저포기〉 170
15. 무엇에라도 기대는 마음 《금방울전》 180
16. 악당 출현 《사씨남정기》 188
17. 애벌레의 꿈 《박씨전》 202
18. 치아 수집가 《배비장전》 214
19. 공감을 했는데요, 안 했습니다 《홍길동전》 228
20. 전통의 삼각관계 《주생전》 240
21. 저기 네 남편 지나간다 《흥부전》 252
22. 무서운 사랑 《포의교집》 264
23. 오직 한 가지 버전의 딸 《심청전》 276
24. 고통에 복용하세요 《숙향전》 288
25. 추천의 글 302

이용현황보기

애욕의 고전소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076162 811.3109 -23-6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서귤이 들려주는 이야기들의 이야기,
고전소설에서 만나는 사랑과 욕망!


《애욕의 고전소설》은 한국의 고전소설 24편을 서귤의 시각으로 보고 전달하는 책이다. 서귤 작가는 한국소설 속 여성 캐릭터의 욕망을 새롭게 조명한 《애욕의 한국소설》 이후 시간을 거슬러 이야기의 원형이 되는 한국 고전들을 주목한다. 그리하여 탄생한 《애욕의 고전소설》은 더욱 빛나는 캐릭터 해석과 탐구정신, 통찰력으로 우리를 이야기의 세계로 이끈다. 《애욕의 고전소설》은 익숙해서 안다고 잘 안다고 생각한 작품들 이를테면 《심청전》이나 《흥부전》, 《홍길동전》 등을 다른 각도에서 생각해보게 만들며 또 《방한림전》, 《운영전》, 《주생전》처럼 시대를 앞선 작품을 친근하게 소개한다. 《옹고집전》, 《장끼전》, 《변강쇠전》의 진정한 매력, 그리고 《춘향전》, 《홍계월전》, 《이춘풍전》, 《배비장전》처럼 뛰어난 여성 캐릭터에 주목하여 이야기를 전달한다.
이 책은 이야기가 가진 힘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고전은 어떻게 고전이 되는가. 누군가 뛰어난 한 사람이 쓴 것이 그대로 전해지는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이 이야기를 덧붙이고 전해지며 다시 시대에 맞는 인물이 등장하고 다시 읽히면서 이름 없는 작가들, 작자 미상이 만드는 것들이다. 그러니 고전 한 편을 읽는 것은 수많은 작가의 이야기와 시대를 읽는 것이다. 이 책을 읽은 후에는 다시 고전소설을 찾아 읽고 나에게 있는 서사를 덧붙여 또 다른 작자 미상의 이야기를 만들지도 모른다.
그리고 고전소설을 한 편씩 소개하면서 작가 본인이 소설에 빠진 학창 시절부터 대학원까지 이어지는 고전소설 덕질, 이후 작가로 살아가는 과정에서 생긴 고민과 문제들을 보여주는데 그건 동시대인들의 고민과 닿아있기에 우리의 이야기라는 느낌이 들게 한다. 모든 이야기가 그래서 공감이 되고 친근하게 여겨지는 장점이 있다. 또 서귤 작가 특유의 유머와 능청스러움이 읽는데 재미를 더한다.
《애욕의 고전소설》은 널리 알려진 작품부터 낯설지만 고전의 반열에 있는 가치 있는 작품까지 새로운 시각으로 다루며 각 에피소드마다 보이는 매력적인 캐릭터, 흥미로운 사건과 내포된 문제의식 그리고 역사적인 사실과 정보까지 매우 알차고 깊이 있는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10] 풋풋한 청춘들의 불같은 사랑 이야기, 《춘향전》. 워낙 유명해서 작품을 안 봤더라도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 같은 구절을 일종의 밈(Meme)처럼 아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이 장면 나체로 업혀 있는 중이다.
[P. 42~43] 인생의 끝자락에 벌어진 아들의 귀양과 가문의 몰락. 평생을 바쳐 일궈온 모든 것이 무너진 상황. 유배지에서 아들이 보낸 소설 속, 이토록 다양하고 화려한 여성 인물들을 보며 그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힘껏 사랑하고 우애하며 이름을 떨치는 그들을 보며 즐거웠을까, 자유로웠을까, 부러웠을까? 그러다 가끔은 초라해질 때도 있었을까? 내가 어제 드라마를 보며 느꼈던 감정과 같이 아무런 접점이 없다고 생각한 조선시대 명문가 안주인의 마음에 나를 뉘어본다. 고전을 읽다 보면 이런 순간이 온다.
[P. 66] 이런 모습을 보고 있으면 뭔가 뭉클한 기분이 든다. 사회가 요구하는 대로 살지 않아도 된다. 다른 방식의 삶을 상상해도 괜찮다는 작은 응원이 수백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이어지고 있다.